•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stress

검색결과 1,260건 처리시간 0.033초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양육시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ental health of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parenting efficacy: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time)

  • 장하영;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75-183
    • /
    • 2024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양육시간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장애아동 약육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장애아를 둔 부모였으며 총 315명이었다. 자료는 SPSS Win. Ver. 25와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양육 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 양육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부적인 상관관계, 양육 효능감과 정신건강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양육시간은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매개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시간은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을 거쳐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만성정신질환자 가족의 누적스트레스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File-up Stress of Family Caregivers with a Family Member having a Chronic Mental Illness)

  • 한금선;이평숙;박은숙;박영주;유호신;강현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86-594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file-up family stress in the family with a family member having a chronic mental illness.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65 families with a member having a chronic mental illness, in an outpatient clinic of a General Hospital and Government Psychiatric Hospital in Seou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score of file-up stres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level of hardiness (r=-.31, p=.00), family support (r=-.13, p=.00), family cohesion (r=-.25, p=.00), and sense of coherence (r=-.26, p=.00).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file-up stress was family hardiness and the variance was 11.1%. Acombination of hardiness, family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account for 14.8 % of the variance in file-up stress of the family with a member having a chronic mental illnes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support, hardiness, cohesion, and sense of coherence a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file-up stress in the family with a member having a chronic mental illness.

경기지역 여자고등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 빈도와 입시 스트레스, 정신 건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Entrance Examination Stres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 Women)

  • 박효정;임선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1-18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entrance examination stres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 women. Methods: A survey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925 adolescent women in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ments included the Rome III criteria (to diagnose IBS), the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cale (to evaluate stress), symptom check list90R (SCL-90R to evaluate mental health),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to evaluate quality of life). Frequency, $X^2$-test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the SPSS 1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frequency of IBS in the women was 22.8%. One hundred thirty eight women (65.4%) had the mixed constipation and diarrhea subtype of IBS. Compared to the women without IBS, those with IB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cale, SCL-90R, all subscales of SCL-90R, and lower scores on WOLQOL-BREF.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s targeting adolescent women with IB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alleviate the associated stress and mental health and to promote quality of life.

  • PDF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유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18-729
    • /
    • 2009
  • 본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생활지도와 취업지도에 효율적인 관리지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계열 간에는 스트레스요인이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보건계열은 소망대처를 비보건계열은 정서완화 대처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왔다. 정신건강에서 강박증은 보건계열이 공포와 적대감은 비보건 계열이 높음을 나타냈다. 적극적 대처는 편집증과 부적관계를, 소극적 대처는 많은 정신건강 하부구조와 정적관계를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적절하지 못했을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 측과 교수는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학교생활과 취업지도에 도움이 되리라 사려 된다.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를 위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정신건강상태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Mental Health and the Coping Behavior for the Children of Alcoholics)

  • 양승희;이평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7-8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mental health and coping behavior for children of alcoholic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3. The subjects were 20 adolescents from 13 to 18 years ol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the SAS program.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active coping, positive cognitive restructuring, and support-seeking for problem solv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elped children of alcoholics by enhancing self-esteem,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lcohol, and improving emotional and problem focused coping abilities. This eventually enhanced mental health.

대구·경북 지역 119 구급대원의 코로나19 감염 관련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Covid-19 infection related to mental health among 119 paramedics in Daegu & Gyeongbuk)

  • 김예림;류소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5-10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measured the mental health levels of 119 paramedics, and identified the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levels with safety environme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coronavirus risk awareness. Methods: A total of 119 out of 428 from Daegu and Gyeongbuk took part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emales (β=-.137, p=<.001) showed a higher relevance to negative mental health than males. The moderate satisfied (β=-.088, p=.014) and dissatisfied (β=-.147, p=.006) showed a higher relevance to negative mental health than higher satisfied. Moderate stress perception (β=-.199, p=<.001) and higher stress perception (β=-.414, p=<.001) showed a higher relevance to negative mental health than lower stress perception. Corona-virus risk awareness (β=-.050, p=.045) was related to negative mental health and safety environment (β=.136, p=<.001).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β=.147, p=<.001) were related to positive mental health. Conclusion: Conclusiv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high-quality intervention programs using significantly influencing variables to impact the mental health of 119 paramedics.

정신건강 위험 예측 및 관리를 위한 멘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기술 연구 (Mental Healthcare Digital Twin Technology for Risk Prediction and Management)

  • 양세모;이강윤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22
  • 감정 노동 및 서비스업 종사자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및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감정노동자의 정신건강 관리는 스트레스 상황 당시의 정서반응을 고려하기 어렵고 개인의 기저 상태가 반영되지 않아 기존 정신건강 관리의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위험 관리 솔루션인 멘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솔루션 기술을 제시한다. 감정노동으로 인한 정신건강 위험 관리를 위해, 정서/신체반응 및 환경 등의 개인별 스트레스 위험요인을 다양한 모달리티로 추출하고 가상 공간에서 동적 객체의 동기화/모델링을 통하여 스트레스 위험도를 정밀 예측하는 솔루션 탐색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사용자에게 맞는 인터벤션을 제공하여, 감정노동자의 환경에 맞게 모달리티와 객체의 구성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개선 가능한 개인 맞춤형 정신건강 위험 예측을 위한 멘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제공한다.

한방음악치료가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한 정상 성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for Mental Stress on Short-ter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김진이;김수정;서주희;유춘길;윤인애;박은영;성우용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on heart rate variability(HRV) in normal subjects under mental stress. Methods : 34 healthy volunteers(control group:17, experimental group:17)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volunteer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After 10-minutes rest period and instrumentation, both groups performed a mental stress test for 12-minutes. HRV was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mental stress. And th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for 10-minutes. In the control group, they rested for 10-minutes. And HRV was recorded. Results : After giving mental stress stimulation to both groups, LF and LF/HF rati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HF, mean HRV were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LF, LF/HF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F, SDN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pplying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In control group, L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LF/HF ratio was decreased and HF, SDNN were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is results show that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could be relatively useful to decrease sympathetic activity and prevent the altera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due to mental stress.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사회적 지지 매개 효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Youth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 장선아;고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62-673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다문화 청소년 패널 제4차(중1)~제6차(중3)의 1,573명을 AMO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이 이중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사회적 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런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청소년의 스트레스요인에 따른 신체증상, 정신건강 비교분석 -중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ymptoms, mental health according to stress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 한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800-580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스트레스,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을 확인하여 스트레스 예방과 관리에 필요한 간호중재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T시에 위치한 중학생 171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스트레스와 신체증상, 정신건강과 신체증상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학생들의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에서 학업문제 요인으로 나타냈고, 이것은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진학에 대한 입시부담을 안고 있는 현실을 대변해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정신건강, 신체증상간의 유의한 상관성은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