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health centers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4초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음독환자의 약물중독 분석 (The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in Emergency Medical Center)

  • 이태용;김선예;조병준;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750-757
    • /
    • 2010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음독환자의 발생현황 및 중독학적 특성이 거주 지역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5개 병원 응급의료센터의 의무기록을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총 624명 내원 환자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음독환자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중독 원인물질이 농약인 경우가 농촌지역 노인군에서 도시지역 노인군보다 높았으며, 성별 분포, 동거가족 유무, 질병력, 자살기왕력, 내원시 의식 상태, 내원시 음주 상태 등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농약 중독은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농약의 판매와 관리에 대한 새로운 지침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지역과 연령 특성을 고려한 자살방지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중독예방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0-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Using KNHANES 2010-2014)

  • 강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28-63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암 생존자들이 일상생활로 복귀하여 안정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 관리본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2010-2014)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암 생존자 610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진단경과 기간은 약 11년이었다.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활동제한 여부(${\beta}$=.30, p<.001)였으며, 연령(${\beta}$=-.20,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19, p<.001), 경제수준(${\beta}$=.12, p=.004), 성별(${\beta}$=-.08, p=.027)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체적 혹은 정신적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혹은 사회활동 제약이 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암 생존자들의 일상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지, 관리할 수 있는 인력 혹은 건강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s the SIS 3.0 Valid for Use at a Rehabilitation Setting in Korea for Patients with Stroke?

  • Song, Jumin;Lee, Haej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4호
    • /
    • pp.252-25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oke Impact Scale 3.0 (K-SIS 3.0)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Patients with stroke longer than 3 month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specialized rehabilitation centers in Busan. Information on patients was collected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odified Bathel Index (MBI), Beck Depression Index (BDI), WHODAS 2.0-12 item, and K-SIS. Floor and ceiling effects of each domain of K-SIS were examin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domain of the K-SIS was calculated using Cronbach's ${\alpha}$. Correlation between K-SIS and each scale was assess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ine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K-SIS was found to have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0.93$). Each domain of the consistency ranged from 0.86 to 0.94, except the emotion (${\alpha}=0.51$).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MMSE and domains of memory and thinking, and communication (r=0.48 and 0.52 respectively). BDI was negatively related to domains of emotion, ADL, mobility, and participation (r=-0.43, -0.49, -0.52 and -0.33 respectively). Specific daily activity (MBI) and general functioning (WHODAS 2.0) were also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omains of ADL, mobility, and participation (ranging from r=-0.41 to r=-0.59). No ceiling and floor effect was observed. Conclusion: Excell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SIS were obtained in the study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K-SIS may be used for patients with stroke for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functioning in the clinical context.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여성 노인의 보행과 균형 능력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Walk and Balance Ability of Women Elderly with or Without Falls Experience)

  • 황병준;김종우;서현규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24
    • /
    • 2011
  • Background: The elderly are likely to fall due to physical and mental atrophies, and experiencing falls may result in fear of falls and lack of self-confidence, which also leads to hesitation to physical activities and changes in walk and balance, the major variables in independent daily life. Methods: In three senior citizen centers located in D city, 22 elderly women aged 65 or older were chosen, and they filled in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ir agreement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medical histories. As to whether they had falls experience, the medical history items in the questionnaire asked them if they had falling down or falls once a year, twice for the three years. The objects were divided to NFE (non-falls experience) and FE (falls experience). Results: 1. As to walking abilitie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FE and FE regarding walk width, stepping with two feet, and stride length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erms of cadence. 2. As to balancing abilities,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FE and FE in terms of the physical body center area. As to the sit-to-stand, tandom gait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nd neither in the timed up and go test. Conclusions: The elderly with falls experience has inferior walking and balancing abilities to those without falls experience, and thus they are more exposed to the risks of falls.

  • PDF

Effect of Anti-Aging Standard Forest Healing Program With Multiple Visits to a Forest Facility on Cognition in Older Age Patients

  • Jinseok Park;Sheng-Min Wang;Dong Woo Kang;Beom Lee;Hojin Choi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3
    • /
    • 2024
  • Background and purpose: The anti-aging standard forest healing program (ASFHP), which uses forest therapy, wa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sychological,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However,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to directly visiting the fores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ulti-session ASFHP with forest visit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older people with visits to forest facilities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same program conducted indoors. Methods: Individuals aged over 70 years with concerns about cognitive decline were recruited at dementia relief centers and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 total of 33 people were administered ASFHP under the supervision of a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control group stayed indoor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visited a forest healing center and repeated the program 20 weeks. Results: The multiple-session ASFHP positively affected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total scores (p=0.002), memory (p=0.014), Korean version of the Repeatable Battery for the Assessment of Neuropsychological Status total scores (p<0.001), immediate recall (p=0.001), visuospatial/construction (p<0.001), language (p<0.001), forest healing standard questionnaire total scores (p=0.002), and cognitive function (p=0.019), regardless of location. The forest visits during the ASFHP showed positive effects on orientation (p=0.035), delayed recall (p=0.042), emotional stability (p=0.032), physical activity (p=0.005), and health (p=0.022). The CIST scores of the memory domain were the strongest indicator of the multiple-session ASFHP effects. Conclusions: The 20-week multi-session ASFHP with forest visit showed effects on cognitive improvement and physical and emotional stability compared to indoor education.

Humidifier disinfectant lung injury, how do we approach the issues?

  • Choi, Jihyun Emma;Hong, Sang-Bum;Do, Kyung-Hyun;Kim, Hwa Jung;Chung, Seockhoon;Lee, Eun;Choi, Jihyun;Hong, Soo-Jong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19.1-19.7
    • /
    • 2016
  •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been exposed to toxic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the victims are infants, the magnitude of the damage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y larger than what has currently been revealed. The current victims are voicing problems caused by various diseas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ung, upper respiratory tract, cardiovascular, kidney, musculoskeletal, eye, and skin diseases, etc. However, there has been difficulty in gaining validation for these health problems and identifying causal relationships due to lack of evidence proving that toxic HD is the specific causes of extrapulmonary diseases such as allergic rhinitis. Furthermore, the victims and bereaved families of the HD case have not received any support for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feelings of injustice, and anger caused by the trauma. In addition, becaus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toxic materials within the HDs such as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osphate, poly(oxyalkylene guanidine) hydrochloride, chloromethylisothiazolinone /methylisothiazolinone have yet to be determined, the deman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HD issue is growing. The victims of the HD cases require support that goes beyond financial aid for medical costs and living expense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government-led integrated support centers that provide individualized support through health screenings; in other words, we need an integrated facility that provides the appropriate social support to allow the victims to recover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 as to well prepare them to return to a normal life.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plan requires not only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hose departments already directly involved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ut also active support on a national scale from pan-governmental consultative bodies.

국내 지역사회 거주 만성질환 노인 대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Program and Its Measurement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 in the community)

  • 신가인;박혜연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57-267
    • /
    • 202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사용하는 측정도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문헌검색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Google Scholar, RISS, Dbpia였으며, PICO 기준틀을 기반으로 연구질문을 선정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여 포함기준과 배재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문헌은 Level 1-2의 질적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간호사가 가장 많이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노인 50명 이하를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주로 보건소와 노인정, 경로당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고혈압을 가진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문헌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종속변수는 모든 문헌에서 인지적 영역을 다루었고, 그 뒤로 신체적 영역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문헌이 많았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자기관리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노인의 다양한 인지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삶의 질의 영역에 관련된 측정도구를 제시하며 다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힌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대상 실천역량 향상 프로그램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Enhancement Program of the Social Work Practice Competency for children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 배은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27-1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 대상 실천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매 120분간 주1회로 5주간 실행되었다. 양적 평가를 위하여 유사실험설계의 비동일 비교집단 설계가 사용되었으며, 질적 평가를 위하여 프로그램관련 기록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적 평가에서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숙련도와 클라이언트관계변화 임파워먼트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평가에서는 종사자의 실천역량 향상, 아동의 변화에 대한 인식, 프로그램의 강점 및 보완점 인식이라는 주관적 경험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전달체계인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 실천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실천에 있어 전문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건강한 발달 및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와 가족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Brief Family Education Programs for Schizophrenic Out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a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 설진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261-28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와 가족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형적인 실험연구인 전-후 시험 통제집단설계를 이용하여 그 개입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병적 지식, 가족의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거부감과 불안 그리고 정신분열병 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에서 긍정적인 개입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볼 때,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와 재활 그리고 환자 가족의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자원으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 인력의 확보,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 내용의 개발, 프로그램 종료 후의 가족모임에 대한 지원 등을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제안하였다.

  • PDF

직무만족이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 돌봄 사회 서비스 (Impact Of Convergence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levels : On Some Care Service Providers)

  • 김향령;노은경;김승희;전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05-113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사업 종사자들 간의 직무만족이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광주, 전남, 전북지역에 소재한 지역자활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하반기 보수교육을 이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방식에 의해 실시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을 보정하고서, 정신건강과 관련한 조직 내 클라이언트 관계((${\beta}=0.669$, p=.000), 업무량 (${\beta}=0.393$, p=.063), 인간관계가(${\beta}=0.229$, p=.068)에 대한 만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높은 설명력을 가진다고 한다. 자격증 보유여부에서도 요양보호사(${\beta}=4.815$, p=.003), 산모신생아도우미에서(${\beta}=4.348$, p=.011) 다른 것들 보다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면,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업무량을 적정화하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할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