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care facilitie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자신감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입소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Analyses on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Confidence among Individual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y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 전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63-57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자신감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영향요인 및 메카니즘이 입소기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정신요양시설 실태조사에 참여한 정신요양시설 입소 정신장애인 1,742명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입소기간에 따른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평균입소기간이 10년 미만 입소 정신장애인(n=962)와 10년 이상 입소 정신장애인(n=780)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력, 유병기간, 정신과적 증상, 및 인지된 스티그마는 직 간접적으로 정신건강자신감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영향력의 효과분해 결과 유일하게 유병기간만 인지된 스티그마를 통한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3) 다중집단분석 결과는 입소기간에 따른 영향요인 및 메카니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Spiritual Care for Cancer Patients in Iran

  • Memaryan, Nadereh;Jolfaei, Atefeh Ghanbari;Ghaempanah, Zeinab;Shirvani, Armin;Vand, Hoda Doos Ali;Ghahari, Shahrbanoo;Bolhari, Jaf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289-4294
    • /
    • 2016
  • Background: Studies have shown that a return to spirituality is a major coping response in cancer patients so that therapists can adopt a holistic approach by addressing spirituality in their patient ca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uideline in the spiritual field for healthcare providers who serve cancer patients in Iran. Materials and Methods: Relevant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scientific documents that through study questions were reviewed and modified by a consensus panel. Results: The statements were arranged in six areas, including spiritual needs assessment, spiritual care candidates, the main components of spiritual care, spiritual care providers, the settings of spiritual care and the resources and facilities for spiritual care. Conclusions: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and preparation of these guidelines, health policy-makers should also seek to motivate and train health service providers to offer these services and facilitate their provision and help with widespread implementation.

직장보육시설 실내환경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oor Plan of the Day Care Centers in Workshop Area)

  • 김정진;장선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호
    • /
    • pp.59-65
    • /
    • 1999
  • As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creases, the problems of day care appears seriously in Korea. The government made of nurture law for infants in 1991 and drove more establishment day care center, However, currently only 7.3% of 1.86 million infants, of working mother's infants under age 5, are caring. The employers supporting day are facilities which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enable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stability of mental state, but the number of such facilities was recorded as 114 in 1996. therefore, the support for the facilities are demanding in terms of quantity but it is required improvements of in terms of quantity because infants are easily influenced by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ants of employers more efficient and better interior environment for day care and education facilities. By analyzing actual condition of plans and space utilization of selected facilities were cases and found out the problems in the selected facilities. The study of study identified are explained. 1. The object of study identified are explained. 2. Relevant theories and studies on environmental structure of infant day care. 3. The present conditions of infant day care are investigated and analysed with selected facilities as cases. 4. The concept and basic direction of design was made based on above researches.

  • PDF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분산구조분석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 임영아;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10-220
    • /
    • 2017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MOS-SSS), 신체적(ADL, IADL) 및 정신적(CES-D, MMSE-K) 건강수준이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개소의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5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조사원이 조사대상 요양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 평균 점수는 사회적지지 총점이 낮은 군일수록, ADL 및 IADL이 정상범위노인 군보다 기능장애노인 군에서, CES-D가 정상상태 군보다 우울상태 군에서, MMSE-K가 정상상태 군보다 인지기능장애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사회적지지,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장애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우울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신체적 기능은 정신적 기능이나 사회적지지 보다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신체적 기능의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nalysis of the needs of forest healing facilities for female cancer survivors

  • Eun Kum Lee;Bum Jin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735-747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space requirements for forest healing program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of female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and 60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3, 12 cancer survivors were survey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orest and Daejeon Healing Forest. One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two researchers conducted a forest healing program once a week for eight sessions of two hours each,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space were assessed using pre and post program questionnaires, an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on mood status was evaluated.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were supplemented by qualitative studies conducted through post-interviews.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very high (4.8/5.0). There was a notable increase in vigor and a decrease in total mood disturbance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oilets and water facilities (11), tool boxes (9), pest control facilities (3), deck facilities (3), forest hut (3), electrical outlets (2), shade shelters (2), and shoe hairy (1) were proposed as required facilities for cancer survivor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orest healing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distress in female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and 60s and appropriate facility standards for the forest healing space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ancer survivors.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권리보장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Mental Care Facility Workers' Rights Guarante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 김경미;이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41-2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권리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정신요양시설 종사자 132명이었고, 연구도구는 권리 및 보호관련 특성, 권리인식 및 권리보장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권리보장의 차이에서는 종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권리인식과 권리보장 간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권리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권리인식, 권리옹호 필요성 인식 및 종교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권리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권리옹호활동이 필요하다. 권리보장 강화는 정신장애인 회복에 도움을 줄 것이다.

농촌지역 정신보건관리실태: 보건소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Present Conditions of Mental Health Care in Rural Areas: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 이원영;김동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14
    • /
    • 2003
  • 이 연구는 농촌지역 정신보건의료서비스의 필요도와 공급수준을 파악하고 일차정신보건시설로서 보건소가 운영하는 정신보건사업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필요도는 유병률과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로 한정하여 2001년도에 보건복지부가 주관하여 실시한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도농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공급수준은 입원 및 요양 병상수와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의 기초자치 단체별 설치율로 한정하여 전자는 2002년도에 보건복지부 산하 지역사회 기술지원단이 작성한 보고서 결과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였고 후자는 보건복지부의 2003년도 정신보건사업 안내서와 정신보건의료기관 총람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농촌지역의 보건소 정신보건사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2년도에 각 기초자치단체가 중앙에 제출한 제3기 지역보건 의료계획서들 중 농촌형지역과 도농복합형지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중앙 및 광역자치단체 정부의 지원 여부에 따라 지원한 경우 1-2개, 지원하지 않는 경우 광역자치단체별로 각각 2개소를 무작위 추출하여 정신보건사업내용부문을 사업대상 및 등록, 구조, 과정으로 나누어 정신보건사업안내서에 제시한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였고 담당자들이 작성한 정신보건사업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03년 4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니코틴 장애를 제외한 평생유병률과 일년유병률은 도시지역이 24.9%, 13.2%, 농촌지역이 28.2%, 17.7%이었으며 정신분열증, 주요우울증, 불안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등 주요 정신질환 역시 도시보다 농촌지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일년간 정신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은 전체적으로 8.9%에 불과하였다. 둘째, 입원 및 요양 병상수는 2001년 현재 인구 천명당 0.97병상이며 요양시설을 포함할 경우 1.27병상으로 세계 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인구 천명당 1.0병상, 그리고 병상 감소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유럽이 0.93병상임을 고려할 때 양적으로 부족하지는 않다. 그러나 광역자치단체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서울, 인천, 울산 등 대도시지역이 충북, 충남, 경남, 전남지역의 1/6내외수준이었다. 셋째,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의 기초자치단체 충원율을 살펴보면, 정신과 의원은 광역시 및 특별시형은 100%인 반면 농촌형지역 89곳 중 15곳(16.9%)만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사회복귀시설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농촌지역의 충원율이 7.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중앙 및 광역자치단체의 지원율이 광역시 및 특별시형이 42%인 반면 농촌형지역은 2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촌형지역과 도농복합형지역 모두에서 지원을 받지 않은곳이 자체예산을 추가로 확충하지 않아 사업인력 및 예산이 매우 취약하고 중앙정부가 제시하는 기본사업에 대한 충실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농촌지역이 도시지역에 못지 않게 정신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높으나 서비스 이용률은 매우 낮았으며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의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들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로서 보건소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나 중앙의 지원율은 오히려 농촌지역 보다 도시지역이 더 높았고 지원을 받지 않는 보건소의 정신보건사업프로그램은 매우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앞으로 중앙정부는 일반의료서비스에 있어서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정책을 추진하듯이 정신보건정책에 있어서도 이러한 고려가 필요하다.

  • PDF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entally Ill People in Mental Care Facilities)

  • 이선영;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231-2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7월 1일 부터 28일까지였고, 연구대상은 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215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병식, 삶의 만족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beta}=.518$, p=.000), 외출 (${\beta}=.155$, p=.001), 자아존중감 (${\beta}=.155$, p=.013), 우울 (${\beta}=-.147$, p=.015), 성별 (${\beta}=-.125$, p=.011)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우울수준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유료 노인 낮보호 시설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e-Based Model Development of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 정신숙;정연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8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a fee - based model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by inquiring into the current condition of facilities in America and in Korea, and in surveying the opinion of domestic elderly about day care facilities. A field trip to U.S. day care services was held between July 5 and July 15 in 1997, and an on-the-spot study for domestic facilities took place during March in 1998. Our research reveals that the overall supply of day care facilities can not meet future demand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refore a model must be created for day care centers of a that consists of a director from a professional group. an adequate environment, and a standardized in order to offer a qualified public health service linked to the home and community in Korea. The director of a day care center is a critical variab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fessional skills relate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he person's quality of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in appointing director for the center. This study belleves that a professional nurse should be the director of a day care center.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 day care facility should be made up of considerable space comparable to the number of residents, should be in a comfortable and safe location, and should have equipment that provides a qualified, safe service to the elderly. Our model is designed for 20 persons and allocates 4 Peng per person. This model is comprised of a reading room. a craft room, a health room, a room for physical therapy, a dining room, a staff office, and a multi -purpose room connected to other rooms. Day care service should be a comprehensive service program meeting the multidimensional needs of the elderly. A comprehensive service program needs a team of various professionals made up of the elderly family, participants, nurses, social workers, physical therapists, nutritionists, and medical doctors. The program will also include health care service, physical therapy, speech therapy. diet, occupational therapy, transportation service, health and an education program, etc. In conclusion, a model of a day care center is developed with the following components: a professional director and an environment and program, that considers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 model should also motivate self-reliance self-fulfillment in the elderly in order to fulfill their health needs and to prevent isolation from society and mental depression. Furthermore, This facility will be a beneficial factor in reducing a family's burden on caring for the elderly that includes unnecessary hospital expenses. The following is a suggestion based on results this study: A servi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fit the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needs of the elderly.

  • PDF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 of Outpatients Visiting Two Primary Care Settings

  • Jo, Sun-Jin;Yim, Hyeon Woo;Jeong, Hyunsuk;Song, Hoo Rim;Ju, Sang Yhun;Kim, Jong Lyul;Jun, Tae-Yo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5호
    • /
    • pp.257-263
    • /
    • 2015
  • Objectives: Although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in South Korea's general population is known, no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patients who visit primary care facilities have been published. This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 in patients that visit two primary care facilities. Methods: Among 231 consecutive eligible patients who visited two primary care settings, 184 patients consented to a diagnostic interview for depression by psychiatrists following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criteri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r level of education between the groups that consented and declined the diagnostic examinatio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 and the proportion of newly diagnosed patients among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 of patients in the two primary care facilities was 14.1% (95% confidence interval [CI], 9.1 to 19.2),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5.4% (95% CI, 2.1 to 8.7), dysthymia 1.1% (95% CI, 0.0 to 2.6), and depressive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7.6% (95% CI, 3.7 to 11.5). Among the 26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19 patients were newly diagnosed. Conclusions: A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a higher prevalence of depressive disorders was observed among patients at two primary care facilities. Further study is needed with larger samples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a primary care setting-based depression screening, management, and referral syste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mited health care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