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Function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26초

신경퇴화 및 지적장애 예방에 관한 고지능검사도구 이용의 실효성 연구 (The Efficiency of Intelligence Quotient Test at Prevention of Mental Retardation and Dementia)

  • 염승민;전상훈;이민기;김다은;양대욱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1-111
    • /
    • 2013
  • To develop the Korean-Version-Improvement program for ordinary people, we investigate how Korean-High-Intelligent people use their cognitive function, intellectual capacity and Intelligent Quotient test. Using Mensa iq test, we classify intelligent examination tool into various components; visual, geometrical component and cognitive interpretation component. Also we organized each component, got database of intelligent subjects sample, classified itemized availability. Based on these things, we prove efficiency of intelligent examination tool. We found out that high intelligent people showed high Intelligent Index using visual cognitive stimu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when subjects were exposed to certain situation; solving the problem. This intelligent examination tool is low price and safe and easily carrying out with personal computer. If we develop intelligence quotient examination customized with mental retardation populations, a variety of subjects will improve their cognition with efficiency and inexpensively.

정상인의 연식기능과 신경증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gnitive Function and Psychiatric Disturbance in Normal Adults)

  • 정희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7-54
    • /
    • 1984
  • In an attempt to take Comprehensive nursing care the author tested cognitive function and psychiatric disturbance produced by normal adults. Mini-mental state and simple reaction time were tested and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wo hundred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the results follow: 1. The score of mini-mental state of the elderly group was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younger group in the tests of cognitive dysfunction. The score of MMS of the female group, the illiteracy group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the test of cogntive dysfunction. 2. Reaction time of the elderly group was slower than that of the younger group. Reaction time of the female group was slower than that of the male group. Reaction time of the illiteracy group was the slowest & the unskilled group was s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3. As a result of the results of psychiatric disturbance the score of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of the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er group in the tests of psychiatric disturbance. The test of psychiatric disturbance sho-wed that the score of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of the femal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group in the tests of psychiatric disturbance. The illiteracy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psychiatric disturbance among other groups and the unskill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4. Education had higher correlation to mini-men-tat state, while age negative correl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variables age had higher correlation to reaction time, while educ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variables. Sex had low correlation in these tests.

  • PDF

전라남도 일부 지역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원활 정도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차이 (Dietary Patterns among the Elderly in Jeollanam-do Area based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State)

  • 윤은주;전순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83-796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patterns among the elderly over 75 years old living in Jeollanam-do area in May 2012. Although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36 consenting subjects, only 194 who completed the ADL, IADL, and K-MMSE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Using ADL, IADL, K-MMSE scores, cluster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and resulted in two groups: IFG (Insufficiently Functioning Group) and SFG (Sufficiently Functioning Group). Chi-square tests for nominal scales, Mann-Whitney tests for ordinal scales, and ANOVAs and t-tests for interval and ratio scal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wo groups. More than 70% of IFG were illiterates compared to 28.1% of SFG. 'Excessive eating', 'appetite', 'digestion', and 'balanced diet'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SFG more frequently had snacks and ate out and were more likely to take health supplements than IFG. Among the 100 major food items, consumption frequencies of several foods differed between group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중도 정신지체아동의 보행 후 이동동작 개선에 관한 연구 - 단일 사례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Postwalk Locomotion in Child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 Single Subject)

  • 송주영;이효정;김진상;최진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1호
    • /
    • pp.119-127
    • /
    • 2000
  • In this case report we demonstrated the improvemen of gait pattern and the facilitation of postwalk locomotion on the child who has severe mental retardation with Incomplete gait pattern. Treatments included to stimulate vestibular using balance board and vestibular stimulator, to train weight hearing and shifting, to facilitate visual perception motor coordination, and to train walk ann postwalk locomotion in environment similar to actual daily life. It was performed 130 sessions for 10 months. With this treatment, she could accomplished dynamic stability so that she didn't fall at walk after $1\~2$ months of treatment, and could have done climbing up and down without hand support after 10 months. I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total motor function was improved to $89.98\%$ from $73.53\%$.

  • PDF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The Effect of Task oriented Imagination Training on the Function of Upper limb and Daily Activities of Chronic Stroke Patients)

  • 손영효;김승일;정화식;박수희;정현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63-1174
    • /
    • 2015
  •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3개월 이상 경과된 만성 뇌졸중환자 3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분배하였다. 실험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과 상상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만을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는 8주간 주5회 회30분씩 시행되었다. 중재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 기능은 MFT, OPTIMAL을, 일상생활활동은 M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보였으며(p<.001), 실험군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국내 임상재활 적용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Computer 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on Clinical Rehabilit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 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93-3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임상재활 현장에서 적용된 컴퓨터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CF 분류 기준을 근거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1995년~2014년까지 게재된 연구들 중 15편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질적 평가는 PEDro score를 사용하였고 대상 논문들의 표본수와 사전-사후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연구는 PEDro score 6점 이상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338명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분석대상의 통합된 효과크기는 1.030, ICF 분류의 활동과 참여 1.120, 감각기능 1.199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정신기능의 효과크기는 0.557로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재활 현장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재활 치료에 대한 대체 또는 보조적 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특히 ICF 분류의 활동과 참여, 신체기능의 감각기능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고 신체기능의 정신기능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 근거가 미흡하였다.

12주간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 안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401-408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원에 입소한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실시가 인지기능, 우울과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H요양원에 입소한 노인 60명이며, 정신상태 판별검사와 노인 우울척도, 불안 측정, 생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과 불안 및 생활만족도 모든 요인에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정신상태 인지기능과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에서의 노인들에게 적절한 운동의 형태와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A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 김윤희;양명숙;박희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291-301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에서 개인의 정신건강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자료는 대전광역시와 충남, 충북 등에 위치한 4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생활스트레스, 자살생각,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직접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인인 정신건강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은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사이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개인의 정신건강은 피폐해지며, 일상적인 생활기능조차도 상실하게 되는 연속적인 현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과 그 관계에 영향을 주는 내담자의 정신건강적인 측면에 상담자가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대하여 융복합적 정책 접근을 논의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o the Caregiving Satisfaction of Mother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 김연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371-398
    • /
    • 2006
  • 본 연구는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돌봄만족감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인지역의 지역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및 낮병원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이며, 총 231명이다.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정신장애 관련 요인으로 정신장애인의 유병기간, 입원횟수 및 사회기능이, 어머니의 개인적 요인으로 연령, 결혼상태, 가족수입, 신체적 건강이, 그리고 관계적 요인으로 정신장애인과 어머니관계의 질과 어머니가 가족, 친구 및 의미 있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받는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0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최종 회귀분석모델에서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결혼상태, 가족수입, 정신장애인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사회적 지지였으며,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 등 정신장애 관련 요인은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으로 실재하는 돌봄만족감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과 더불어 이를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개입 방안이 연구의 함의로 제시되었다.

  • PDF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The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the Insurance Reviewer)

  • 송경진;이정원
    • 서비스연구
    • /
    • 제11권1호
    • /
    • pp.31-44
    • /
    • 2021
  • 국내의 의료보험 제도의 순기능은 높이 평가받지만 불완전한 보장성의 문제로 인해 국민들은 민영의료보험 가입을 통해 보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최근 민영의료보험의 가입률이 높아지게 되었고, 청구율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이처럼 민영의료보험을 찾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민영의료보험사의 근로자는 직무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특히 보험금 지급을 담당하는 보험심사 근무직의 경우 보험금을 고객과의 소통, 회사의 수익 상출에 기여 등 다양한 이유로 직무스트레스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고자 서술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능력·자기신뢰도, 우울, 수면장애·불안, 일반건강·생명력의 정신건강 4가지 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험심사 근무직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근로자로 하여금 직무수행에 대한 열의를 감소시키고 이직률, 퇴사율을 높이는 등 조직적인 측면에서의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신체 건강을 악화시키고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여 정신건강을 피폐하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직무스트레스 예방법과 대처법을 제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