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iscus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1초

강의 연속주조시 Mold Oscillation에 따른 Flux층 내의 동적 압력변화 해석 (The Analysis of Dynamic Pressure in the Molten Flux near the Meniscus during Mold Oscillation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 박태호;김지훈;최주;예병준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3
    • /
    • 2004
  • The pressure of the mold flux acting on the meniscus shell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oupling analysis of heat transfer in the mold and fluid flow in the flux caused by the mold oscillation. Finite element method was employed to solve the conservation equation associated with appropriate boundary conditions. As reported by previous workers, the axial pressure is positive on the negative strip time and negative on the positive strip time. A maximum pressure is predicted toward the top of the meniscus shell which has the thin shell arid a maximum value is in proportion to the relative mold oscillation velocity. The relative mold oscillation velocity was changed by the effect of meniscus level fluctuation. Therefore the pressure of the mold flux acting on the meniscus shell was different each cycle of the mold oscillation due to the irregularity of relative mold oscillation velocity.

한쪽 슬관절에서 내측 및 외측에 동시에 발생한 원판형 연골 - 1예 보고 - (Simultaneous Medial and Lateral Discoid Meniscus in one Knee joint)

  • 조영호;안혁수;장세앙;남승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5-98
    • /
    • 2006
  • 원판형 연골은 주로 슬관절의 외측에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며 드물게 내측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측 및 외측에 동시에 발생한 원판형 연골은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15세 남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 및 관절경을 이용하여 한쪽 슬관절에서 내측 및 외측에 동시에 발생한 원판형 연골을 진단하고 양측 모두에 대해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횡 파열로 오인하게 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증례 보고 - (Abnormal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to misdiagnosis to horizontal tear - A case report -)

  • 김동희;곽지용;박진성;황선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28
    • /
    • 2011
  • 23세 남자 환자에서 MRI 소견상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의 횡파열 소견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의 많은 형태들이 보고 되었으나 저자들의 경우에서처럼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로 진단 되었으나 실제 관절경 소견으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부착으로 인해 오인된 경우에 해당되는 드문 경우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외측 반월상 연골에서 발생한 외상성 완전 방사상 파열 자가 치유의 자연 경과: 증례 보고 (Natural History of Spontaneous Healing of a Traumatic Radial Tear of the Lateral Meniscus: A Case Report)

  • 심재앙;윤용철;이신우;이범구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8권1호
    • /
    • pp.21-26
    • /
    • 2015
  • Complete radial tears of the lateral meniscus are relatively rare. Once torn, the injury can be debilitating due to disruption of the circumferential fibers of the meniscus. We experienced a case of a lateral meniscus with a complete radial tear at the midbody, where the two torn ends were displaced more than 1 cm and could not be approximated during arthroscopy. Thirteen months after surgery, follow-up MRI and second-look arthroscopic findings showed that the complete radial tear has healed spontaneously. However, twenty nine months after the second-look arthroscopy, the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knee pain during exercise. On follow-up MRI, increased sclerosis and newly developed bone marrow edema were observed in the lateral femoral condyle, compared with previous MR images. Finally, we performed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due to the defective properties of the completely healed lateral meniscus.

  • PDF

슬관절 내측 원판형 연골 - 1례 보고 - (Discoid Medial Meniscus in the Knee - A case report -)

  • 경희수;김경훈;오창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8-62
    • /
    • 2009
  • 슬관절의 내측 원판형 연골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저자들은 최근 내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된 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남자 20세로서 특별한 외상력 없이 수년간의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내측 원판형 연골로 잠정 진단되었다. 관절경 검사상 완전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수평파열이 동반되어 있었다. 이에 관절경하 연골판 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증상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다.

  • PDF

궤양성 위 암종에 나타난 초승달 징후의 펫/시티 소견 (PET/CT Manifestation of the Meniscus Sign of Ulcerating Gastric Carcinoma)

  • 박용휘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4호
    • /
    • pp.335-336
    • /
    • 2007
  • Meniscus-like presentation of ulcerating gastric carcinoma o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radiograph was first described in 1921 by Carman and has since been known as a useful differential diagnostic sign in radiology. In 1982 using then newly introduced computed tomography (CT) Widder and Mueller revisited the meniscus sign. Their study was primarily focused on a dynamic assessment of the demonstrability of the meniscus sign that largely depends on the judgment and technical skill of examiner, especially graded compression and patient positioning. One year earlier Balfe et al. assessed the diagnostic reliability of gastric wall thickening as observed on CT scan in adenocarcinoma, lymphoma and leiomyosarcoma and concluded that it is not a reliable finding. In contrast, however, Lee et al. recently emphasized that the wall thickness measurement on CT of exophytic carcinoma, myoma and ulcers was a useful diagnostic means. Thus, it appears that gastric wall thickening or mucosal heave-up is by itself not as reliable as the meniscus sign. The electronic search of world literature failed to disclose earlier report of this sign demonstrated by $^{18}F-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PET/CT). The present communication documents $^{18}F-FDG$ PET/CT finding of the meniscus sign as encountered in a case of ulcerating gastric carcinoma, the histological diagnosis of which was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Unlike most gastric tumors without ulceration that tend to unimpressively accumulate $^{18}F-FDG$ the present case of Borrmann type III gastric carcinoma demonstrated markedly increased $^{18}F-FDG$ uptake.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외 최신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 for Meniscus Injury)

  • 한시훈;오태영;오민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4-17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view the current clinical studies about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 for meniscus injury. Methods: Clinical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 of meniscus injury were searched through 11 online databases. We analyzed the authors, publication year, country, study design, subjects, treatment methods, treatment effects, evaluation tools and adverse events of the selected studies. Results: 23 studies which included 9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8 case reports, 4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2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lected through the databases. A total of 9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s were used, among them, acupuncture treatment was the most used. The most commonly used outcome was effective rat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firm that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meniscus injury.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clin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or meniscus injury are needed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scientific evidence through studies with a high level of evidence.

최소 절개술에 의한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 수술기법 (Technical Note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using Minimal Incision)

  • 민병현;김호성;장동욱;강신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4-61
    • /
    • 1999
  • 광범위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최근의 치료는 수많은 연구와 임상적 접근을 통해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의 기능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냉동 보관된 반월상 연골의 동종이식은 연골의 정상적인 회복을 위한 유용한 방법중 하나이다. 저자들의 첫 4례의 동종연골이식은 관절경의 도움으로 시행하였고, 이후 22 예에서는 최소한의 관절 절개를 이용하였다. 또한 모든 동종 연골 이식에서 반월상 연골의 안정성과 회복을 위해 반월상 연골에 골교를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술시 동시에 시행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은 일명 Key-hole technique을 사용하여 골터널에 의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우선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원통형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내측연을 따라 골 터널을 만들어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press-fit하도록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일반적인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관절경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외측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과는 달리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반원통 모앙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외측연을 따라 반원통 모양의 골 요지를 만든다. 반월상 연골을 골 요지에 얻고 인도 봉합사를 경골의 전면으로 뽑아내 이를 묶음으로써 고정을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이식술과 같은 방법으로 봉합한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에 반월상 연골을 이식할 수 있었다.

  • PDF

대퇴 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 -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 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단순 방사선 소견 - (Femoral Condyle Cut-off Sign - New Indirect Sign of Radiologic Finding in Knee with Discoid Lateral Meniscus -)

  • 하철원;성기선;박재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5-219
    • /
    • 2003
  • 목적 :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판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방사선 소견인 대퇴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 이의 진단적 의의를 특이도, 민감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관절경 시술로 확진 된 50예의 완전 원판형 연골군과 50예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unnel view에서 보이는 대퇴 외과와 내과의 내측부의 최장 길이를 측정하여 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원판형 연골군에서 대퇴 내과부 길이와 외과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0.716 이였으며, 정상 대조군에서는 0.902 이었다. 이를 T-test로 분석했을 때, t-value는 -11.13 (p<0.0001)로 두 군간에 매 우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경계값(cut point)을 0.8로 하여 chi-square test로 분석했을 때 통계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감도 $76\%$, 특이도 $100\%$였으며, 양성 예측도 $100\%$, 음성 예측도 $80.6\%$로 나타났다. 절삭 징후는 육안적으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진단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간접적인 소견이라고 생각한다. 결론 : 대퇴 외과 절삭 징후는 단순 방사선 검사의 Tunnel view에서 원판형 연골을 진단할 수 있는 좋은 방사선 소견이며, $100\%$의 특이도와 $100\%$의 양성 예측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진단소견으로 판단된다.

  • PDF

내측 원판형 연골 - 2명 보고 - (Medial Discoid Meniscus - A Report of Two Patients -)

  • 고해석;박범석;최성필;강도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0-65
    • /
    • 2012
  • 외측 원판형 연골판은 비교적 흔히 관찰할 수 있으나, 내측 원판형 연골판은 매우 드문 반월상 연골판 기형이다. 외측 원판형 연골판의 발생율은 1.4%에서 15.5%이며, 내측 원판형 연골판의 발생율은 0.06%에서 0.3%로 외측에 비해 현저히 낮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좌측 슬관절은 증상이 있고 우측은 증상이 없는 양측성 내측 원판형 연골판 1명과 환측 슬관절에만 파열을 동반한 일측성 내측 원판형 연골판 1명을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관절경 검사로 발견하여, 증상이 있는 내측 원판형 연골판을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여 증상 호전을 보였다. 저자들은 2명, 3예의 내측 원판형 연골판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