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encoding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3초

고속 스케일러블 동영상 부호화 알고리듬 (A Fast Scalable Video Encoding Algorithm)

  • 문용호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85-290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encoding algorithm for scalable video encoding without compromising coding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n multiple motion estimation processes performed at the enhancement layer, we show redundant motion estimations and suggest the condition under which the redundant ones can efficiently be determined without additional memory. Based on the condition, the redundant motion estimation processes are excluded in the proposed algorith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fast encoding method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and additional memory.

The Effect of Studying Flight Training Materials utilizing Encoding Techniques on Situational Awareness Capabilities of Students in PPL Training

  • Moon, Jeong Yoon;Lee, Jang Ryong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4-163
    • /
    • 2020
  • The pilot's aeronautical decision-making during the flying greatly affects flight safety, and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awareness has been greatly emphasized as a prerequisite for making the right decision. This is the reason why more research and interests are needed to help students entering the pilot training program develop excellent situational awareness from the initial stage of training. Situational awareness is closely related to long-term memory activities in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pedagogy and cognitive psychology have emphasized the encoding techniques as an effective long-term memory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pilot students' using the encoding techniques to learn flight education materials in the early stage of their training at domestic univers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situational awareness.

H.264/AVC 동영상 압축 표준에서 Coeff_token 부호화를 위한 효율적임 메모리 구조 설계 (Design of Efficient Memory Architecture for Coeff_Token Encoding in H.264/AVC Video Coding Standard)

  • 문용호;박경춘;하석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77-83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mory architecture for coeff_token encoding in H.264/AVC standard. The VLCTs used to encode the coeff_token syntax element are implemented with the memory. In general, the size of memory must be reduced because it affects the cost and operation speed of th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codewords in VLCTs, new memory architecture is design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memory architecture results in about 24% memory savin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mory architecture.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문서의 인코딩 및 언어 판별 (Encoding and language detection of text document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 김선범;배준우;박희진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4-130
    • /
    • 2017
  • 문자 인코딩은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며 문자 인코딩 판별 소프트웨어들이 존재한다. 기존의 널리 쓰이는 인코딩 판별 소프트웨어인"uchardet"의 경우 변조되지 않은 일반 문서의 인코딩 판별 정확도는 91.39% 이지만 언어 판별 정확도는 32.09%에 불과하다. 또한 문서가 치환 암호에 의해 암호화 된 경우 인코딩 판별 정확도는 3.55%, 언어 판별 정확도는 0.06%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eep learning 알고리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한 문서의 인코딩 및 언어 판별 방법을 제안하며, 기존의 인코딩 판별 소프트웨어"uchardet"보다 뛰어난 결과를 보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일반 문서의 인코딩 판별 정확도는 99.89%이며, 언어 판별 정확도는 99.92%이다. 또한 문서가 치환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경우에는 제안하는 방법의 인코딩 판별 정확도는 99.26%이며, 언어 판별 정확도는 99.77%로 매우 뛰어나다.

MPEG DCT 계수의 특징을 이용한 효율적인 VLC/VLD의 VLSI 설계 (VLSI design of efficient VLC/VLD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PEG DCT coefficients)

  • 공종필;김영민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3B권1호
    • /
    • pp.79-86
    • /
    • 1996
  • 본 논문은 가변길이코드의 encoding/decoding를 위한 간단하고도 메모리 측면에서 효율적인 구조를 제안한다. MPEG1 DCT계수를 encoding/decoding함으로써 구현한 본 구조에서 114개의 DCT계수를 메모리 매핑하는데 최소인 7비트의 어드레스가 할당되도록 하였고,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용 쉬프트 레지스터와 code mapping ROM을 결합시킨 구조로써 최소의 플립플롭 및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속도측면에선 COMPASS tool(0.8${\mu}m$ CMOS technology standard cells)을 사용해서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encoding/decoding의 경우 모두 50Mbps의 동작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H_2}^{15}O$ PET을 이용한 정상인의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중추 뇌기능지도화 (Functional Mapping of the Neural Basis for the Encoding and Retrieval of Human Episodic Memory Using ${H_2}^{15}O$ PET)

  • 이재성;남현우;이동수;이상건;장명진;안지영;박광석;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1
    • /
    • 2000
  • 목적: 삽화기억은 어떠한 사실이나 정보에 관하여 기억해낼 때 그것들이 기억 구조 속으로 들어가던 순간의 개인적인 사건이나 과거의 사실들과 연관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부호화 및 인출에 관여하는 중추가 서로 나뉘어져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O-15 $H_2O$ PET을 이용한 뇌활성화실험을 통해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중추의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남자 6명 ($30.0{\pm}1.4$세)에 대하여 두 번의 대조과제와 각 한번의 삽화기억 부호화 및 인출 자극과제를 시키면서 동시에 $H_2O$ PET을 시행하였다. 부호화 자극과제에 대한 대조과제에서는 화면 중앙에 나타난 십자 모양 고정점을 자극과제와 같은 시간동안 보게하여 시자극 효과를 포함하게 하였으며, 인출 자극과제에 대한 대조과제에서는 30개의 화살표를 보여주며 화살표가 위(총 15개)를 가리키면 버튼을 누르게 하여 시자극과 손가락 운동에 의한 효과도 포함되게 하였다. 부호화 자극과제에서는 특정 단어가 연상되는 사물 그림 30개를 4초 간격으로 보여주면서 기억하도록 하였으며, 30분 후에 시행한 인출 자극과제에서는 앞에서 보여주었던 15개의 영상과 새로운 15개의 영상을 섞어서 동일한 간격으로 보여주며 기억할 수 있는 그림이 나오면 버튼을 누르게 하였다. 모든 영상을 표준지도에 정규화하고 공분산분석으로 전체 혈류차이를 제거한 후 각 자극과제와 해당 대조과제 사이에 국소혈류량이 차이나는 영역을 찾아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결과: 인출 자극과제에서 올바르게 기억해낸 그림의 평균 개수는 9.3개(${\pm}3.3$)였으며 없던 그림을 있었다고 잘못 지적한 경우는 평균 3.0개(${\pm}2.8$)였다. 부호화시에 좌측 대뇌반구에서는 하측전두이랑의 판개부와 삼각부, 후두엽의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합 피질 등이 활성화되었고, 우측에서는 전전두엽, 내전두엽 및 대상회, 청각-시각 연합영역인 중측두회전과 하측측두회전의 후부,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함 피질, 소뇌 등이 확성화죄었다. 인출 시에 좌측대뇌반구에서는 삼각부,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합 피질, 하측두회전, 1차 시각 피질과 시각 연합피질, 소뇌 등이 활성화되었고, 우측에서는 전전두엽, 시각 연합 피질, 소뇌, 내측두엽 등이 활성화되었다. 주로 활성화된 전두엽에서 좌측 판개부늘 삽화기억 부호화의, 우측 전전두엽은 인출의 중추라 해석되며, 좌측 삼각부는 다른 인지기능에 의하여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O-15 $H_2O$ PET을 이용한 뇌활성화실험을 통하여 삽화기억의 부호화 및 인출 중추를 국소화할 수 있었다.

  • PDF

메모리 크기를 최소화한 인터리버 및 길쌈부호기의 설계 (A design of convolutional encoder and interleaver with minimized memory size)

  • 임인기;김경수;조한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2B호
    • /
    • pp.2424-2429
    • /
    • 1999
  • 본 논문은 길쌈 부호화 (convolutional en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기법을 사용하는 채널 부호기에 있어서 메모리 크기를 최소화한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구현방식에서는 프레임 데이터를 보관하는 입력버퍼 RAM과 인터리빙을 위한 인터리버 RAM을 별도로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크기가 큰 인터리버 RAM을 사용하는 대신 입력버퍼 RAM 1개를 추가로 사용하여 길쌈 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채널 부호기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설계 방법을 여러 디지털 이동통신 모뎀의 채널 부호기에 적용한 결과 기존 설계 방식에 비해 33% ∼60%의 메모리 크기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프레임 데이터 수신 시 처리 절차가 간편해지고 타이밍 마진을 늘일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 PDF

Action Recognition with deep network features and dimension reduction

  • Li, Lijun;Dai, Shul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2호
    • /
    • pp.832-854
    • /
    • 2019
  • Action recognition has been studied in computer vision field for years. We present an effective approach to recognize actions using a dimension reduction method, which is applied as a crucial step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feature descriptors after extracting features. We propose to use sparse matrix and randomized kd-tree to modify it and then propose modified Local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mLFDA) method which greatly reduces the required memory and accelerate the standard Local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For feature encoding, we propose a useful encoding method called mix encoding which combines Fisher vector encoding and locality-constrained linear coding to get the final video representations. In order to add more meaningful features to the process of action recognition,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utilized and combined with mix encoding to produce the deep network featur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is a competitive method on KTH dataset, HMDB51 dataset and UCF101 dataset when combining all these methods.

기억의 신경심리학 (Neuropsychology of Memory)

  • 이민규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1호
    • /
    • pp.1-14
    • /
    • 1997
  • This paper reviewed models to explain memory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to assess memory. Memory was explained in cognitive and neuroanatomical perspectives, Cognitive model describes memory as structure and process. In structure model, memory is divided into three systems: sensory memory, short-term memory(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In process model, there are broadly three categories of memory process: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Memory process work in memory structure. There are two prominent models of the neuroanatomy of memory, derived from the work of Mishkin and Appenzeller and that of Squire and Zola-Morgan. These two models are the most useful for the clinician in part because they take into accoun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limbic and frontal cortical region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concerns the role of the amygdala in memory processess. Mishkin and his colleagues believe that the amygdala plays a significant role while Squire and his colleagues do not. The most popular and widely used tests of memory ability such as WMS-R, AVLT, CVLT, HVLT. RBMT, CFT, and BVRT-R, were reviewed.

  • PDF

HDTV용 엔트로피 부호화기의 메모리 포화 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mory Saturation Prevention of the Entropy Encoder for He HDTV)

  • 이선근;임순자;김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5A호
    • /
    • pp.545-553
    • /
    • 2004
  • 네트워크 환경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의 확대는 HDTV와 같은 응용 서비스의 보편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핸드폰과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과 xDSL과 광케이블에 의한 유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실시간 처리는 필수조건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영상정보에 대해서 최소의 평균 부호장을 가지며 순간적 디코딩 능력이 뛰어난 허프만 부호화와 압축 수행속도가 우수한 렘펠-지브 알고리즘의 장점을 접목하여 채널 전송률 및 압축과 정중의 처리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적 메모리 할당 기법을 HDTV의 엔트로피 부호화기에 적용하여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구현된 최적 메모리 할당 기법을 사용한 엔트로피 부호화기 시스템은 메모리 포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동영상에 대한 압축률이 허프만 부호나 LZW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