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effect functio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6초

해부 실습 시 포름알데히드 노출이 학생들의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maldehyde on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student during cadaver dissection)

  • 사공용;조희윤;이인국;이경수;전만중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85-89
    • /
    • 2016
  • Background: Formaldehyde is used to preserve cadaver in medical schools, and students are exposed to formaldehyde during cadaver dissection classes. When humans are exposed to formaldehyde, it induces mucosal inflammation, skin inflammation, and declining of neurobehavioral function including attention and memory executive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ormaldehyde exposure on student's neurobehavioral performance during cadaver dissection classes. Methods: The level of formaldehyde was measured in a cadaver dissection class. A total of 16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ore respiratory protection masks, while the other group did not. Among many subtests in Korean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backward digit span was tested on all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class. Results: The length of memorized digit span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a greater decrease in neurobehavioral function after formaldehyde exposure in the non-mask group than the mask group. Conclusion: Formaldehyde exposure during cadaver dissection may likely decrease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students. Therefore, proper ventilation system and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are necessary to protect medical school students from adverse effects of formaldehyde exposure.

리치미디어 컨텐츠 구현에 있어 상호작용 모델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Model for Implementation of Richmedia Contents)

  • 김민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01-210
    • /
    • 2004
  • 기호 통합 텍스트로서 웹은 "정보"라는 무형의 지식개념을 위한 핵심적 플랫폼으로 전 세계에 걸쳐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소통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통과정의 파악은 정보구조 조직화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늘어만 가는 정보의 양적 팽창과 더불어 컨텐츠 질을 결정 하는데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공학적, 언어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웹 사이트내에서 리치미디어 컨텐츠들의 형태, 기능, 감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컨텐츠 조직화시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적 소통을 행하는지 그 추이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웹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들의 접근요소에서 인터페이스 최종 귀착지까지의 과정을 통해 그 변화과정을 소통모델로 재인하고 그 과정 중에 나타나는 정보기능에 중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방법적인 측면으로 쉐논과 웨버 모델의 기능특성과 야콥슨 모델의 네 가지 기능(교감, 지시, 시적, 메타언어적)을 중심으로 정보 소통 시 웹 컨텐츠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지에 관하여 그 가능성의 도출 작업을 수행한다. 웹이라는 신지형의 구조에서 속도, 저장 공간, 압축기술, 정보여과 과정과 같은 새로운 개념들은 의사소통의 채널로 작용하는 웹이 표현되어지는 컨텐츠의 양식 변화에 많은 부분 영향을 미침으로써 컨텐츠 표현에 있어 통합매체의 소통환경을 파악하는 것은 컨텐츠 조직화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것이다.

  • PDF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Capacity Performance Function of the Stroke)

  • 김지원;김미영;황보선;장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4
    • /
    • 2014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function recovery of repeated measurement of stroke who received ADL training. Method : Twenty stroke patients were treated by ADL program therapy from May to June. All of in twenty stroke patients, 10 stroke patients take part in Occupational Therapy and 10 stroke patients take part in ADL training for 30 min five times a week during four weeks in M- hospital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room, local in Changwon and Geoje. We used two assessment on is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Third Edition(MVPT-3) for visual perception the other is Modified Barthel Index(MBI) for ADL. Result : First, Visual Short Term Memory(VSTM) score was changed statistical significance OT intervention group than compare with ADL training group(p<.05). Second, Visaul Closure(VC) score was changed statistical significance OT intervention group than compare with ADL training group(p<.05). Third, Spatial Orientation(SO) score was changed statistical significance OT intervention group than compare with ADL training group(p<.05). The fourth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Third Edition(MVPT-3) score was changed statistical significance OT intervention group than compare with ADL training group(p<.05). The fifth Modified Barthel Index(MBI total) score was changed statistical significance OT intervention group than compare with ADL training group(p<.05). Conclusion : Therefore, ADL training can be on method the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N-3계 지방산 적절 함량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첨가가 기억력 관련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Adequate Diet on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in Rat)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17-922
    • /
    • 2009
  •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motor activity 실험에서 동물들의 자발적인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 주어진 시간 내 움직인 시간과 움직인 거리에는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과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간에 유의적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학습효과 실험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의 경우 목적 플랫트폼까지 걸리는 시간이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에 비하여 다소 길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관찰할 수가 없었다. 수영 속도(swimming speed)에서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의 경우,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빨랐으나 수영 풀에서 움직인 거리 (swimming distance)에는 두 식이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두 식이군의 흰쥐들이 수영한 시간(swimming time)과 쉬고 있는 시간(resting time)의 경우, 쉬는 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수영 시간 또한 n-3 지방산이 적절이 함유된 식이(Adq group)로 사육된 쥐가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쥐(Adq+DHA group)보다 수영한 시간이 길었으나 여기서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기억력 테스트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group) 및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 모두는 목적 플랫트폼이 있었던 A 지역에 대한 기억이 우수하여 다른 지역들인 B, C, D를 지나가는 횟수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음을 관찰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신에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로 사육된 쥐와 비교할 때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흰쥐가 Morris water maze를 이용한 공간기억력 실험에서 다소 우수한 기억 학습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음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인지재활 영역에서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in Cognitive Rehabilitation)

  • 박인지;박흥석;김태훈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29-38
    • /
    • 2012
  • 서론 : 본 연구는 인지재활의 주요영역인 실행 장애, 기억력 장애, 지각 장애, 주의력 장애, 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의 가상현실의 적용 사례를 문헌고찰 함으로써,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론 :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한 인지프로그램은 평가 뿐 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인지 요소의 훈련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 프로그램은 실제 환경에서의 평가이자 훈련이기에 기존 컴퓨터에 기초한 평가 및 훈련과 비교하여 실제 환경으로 전이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가상현실의 재활 프로그램에 적용은 최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다 큰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곧 혁신적인 치료 기술의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다. 이 과정에 가상현실은 미래에 보다 많이 연구 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인지영역에서 가상현실은 기존의 평가들 보다 향상된 실제 환경으로의 전이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론 : 인지영역에서 가상현실의 적용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평가 뿐 만 아니라 훈련이 통합된 재활 프로그램으로 활용도가 광범위 할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oacupuncture Analgesia Is Improved by Adenoviral Gene Transfer of Dopamine Beta-hydroxylase into the Hypothalamus of Rats

  • Kim, Soo-Jeong;Chung, Eun Sook;Lee, Jun-Ho;Lee, Chang Hoon;Kim, Sun Kwang;Lee, Hye-Jung;Bae, Hyuns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6호
    • /
    • pp.505-510
    • /
    • 2013
  • Electroacupuncture (EA) is a modified form of acupuncture that utilizes electrical stimulation. We previously showed that EA stimulated rats were divided into responders that were sensitive to EA and non-responders that were insensitive to EA based on the tail flick latency (TFL) test. The dopamine beta-hydroxylase (DBH) gene was more abundantly expressed in the hypothalamus of responder rats than non-responder rats. To determine whether overexpression of DBH gene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modulate EA analgesia, we constructed a DBH encoding adenovirus and which was then injected into the hypothalamus of SD rats. Microinjection of DBH or control GFP virus into the hypothalamus had no changes on the basal pain threshold measured by a TFL test without EA treatment. However, the analgesic effect of EA was significantly enhanced from seven days after microinjection of the DBH virus, but not after injection of the control GFP virus. DBH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othalamus of DBH virus injected rat than control GFP virus or PBS injected rats. Moreover, expression of the DBH gene did not affect the body core temperature, body weight, motor function or learning and memory ability. Although the functional role of DBH in the hypothalamus in the analgesic effect of EA remains unclear, our findings suggest that expression of the DBH gene in the hypothalamus promotes EA analgesia without obvious side-effects.

건식 식각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한 효율적인 그림자 테스트 알고리즘과 토포그래피 진화에 대한 연구 (Efficient Shadow-Test Algorithm for the Simulation of Dry Etching and Topographical Evolution)

  • 권오섭;반용찬;원태영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2호
    • /
    • pp.41-4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플라즈마 건식 식각 공정을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셀 제거 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시뮬레이터의 성능을 보고한다. 마스크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한 그림자 효과(shadow effect)를 고려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오차의 누적을 막기 위한 알고리즘을 새로이 적용하였다. 입사하는 이온의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해석적 모델과 몬테 카를로 방법을 모두 적용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유닉스(UNIX) 환경에서 공정 조건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그래픽 사용자 환경(graphic user interface, GUI)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3D-SURFILER(SURface proFILER)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콘택 홀(contact hol) 구조의 시뮬레이션에서 셀의 수를 36,000($30{\times}40{\times}30$)으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하였을 때 SUN ULTRA 1 시스템에서 약 10Mbyte의 메모리가 사용되었으며, 시뮬레이션 시간을 20분이었다. 종횡비(aspect ratio)가 1.57인 콘택 홀 구조에서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RIE)을 시뮬레이션하였으며, 이온의 증속 식각의 정도를 나타내는 손상 계수의 변화와 압력이 600mTorr일 때의 이온의 입사 분포에 의한 토포그래픽(topography) 진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 PDF

불규칙파 중에 Turret 계류된 부유체의 천이운동해석 (Transient Surge Motion of A Turret Moored Body in Random Waves)

  • 김동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2-99
    • /
    • 1991
  • 해상에 계류된 부유체는 입사하는 파도에 의해 선형항인 파랑하중과 함께 2차항인 표류력을 받는다. 2차항의 표류력은 자유표면조건의 비선형성에 의해 서로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2개의 선형 성분파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장주기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대개의 계류계의 수평 인장력은 관성력항에 비해 아주 작은 양이고, 따라서 계류계의 설치로 나타나는 부유체의 수평운동 고유주기는 장주기이므로 때로는 공진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야기된 대진폭운동은 작업조건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계류계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 부유체의 계류계로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Turret 계류계의 설계에도 이러한 장주기 표류력에 대한 고려와 함께 풍향성이 있는(weathervaning) 천이운동시 Roller Bearing에 걸리는 수평하중에 대한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불규칙파중에 계류된 부유체에 작용하는 장주기 표류력을 2차 전달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뒤 장주기 표류력에 의한 전후동요를 시간기억 효과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계류계로는 분산된(spread) Turret형 계류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계류계의 수평인장계수를 매시간 단계마다 계산하는 방법으로 비선형성을 고려하였다.

  • PDF

β-아밀로이드 단백질 생성에 대한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s on β-Amyloid Production)

  • 최민우;정차균;김형락;김재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5-91
    • /
    • 2017
  • Alzheimer's disease (AD) is a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of insidious onset that causes gradual loss of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and it is the most common form of dementia in the elderly. AD is characterized by neuritic plaques and neurofibrillary tangles in the brain, together with loss of neuronal cells. The major neuropathological hallmark of AD is the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neurotoxic ${\beta}-amyloid$ ($A{\beta}$) peptides, such as $A{\beta}1-42$, in the brai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argachromenol (SCM), sargaquinoic acid (SQA) and sargahydroquinoic acid (SHQA) isolated from Sargassum serratifoilum ethanol extract (SSE) on $A{\beta}$ production in vitro using APP751-transfected Chinese hamster ovary cells (CHO-751). CHO-751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SE, SCM, SQA and SHQA, and the level of extracellular $A{\beta}1-42$ was evalua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SE and SHQA reduced the production of $A{\beta}1-42$ in CHO-751 cells. Therefore, SHQA isolated from S. serratifolium has potential as an inhibitor of neurotoxic $A{\beta}$ peptide production.

귀비탕 가미방을 포함한 한방치료로 호전된 알코올성 치매 환자 1례 (A Case Report of Alcohol-Related Dementia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Including Gwibi-Tang-Gami)

  • 이형민;김정화;양승보;이현중;조승연;박성욱;고창남;박정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78-684
    • /
    • 2016
  • Objectives: This clinical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a patient with alcohol-related dementia.Methods: A patient with cognitive disorder and memory impairment due to alcohol abuse was treated with the herbal medicine “Gami Gwibi-t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ogether with basic Western medicine. Th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by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an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used to estimate the severity of structural brain damage.Results: Following treatment with Gami Gwibi-tang, patent’s MMSE-K score and CDR improved.Conclusion: This clinical case study provides evidence of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including Gwibi-tang-gami, on alcohol-related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