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er buckling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8초

라이즈비에 따른 단층 및 복층 래티스 돔의 좌굴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and Double-layer Lattice Dome According to Rise ratio)

  • 권영환;정환목;석창목;박상훈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289
    • /
    • 1998
  • In the latticed domes which is a set of space frame, buckling is derived if the external force reaches a limitation by the lightness of the material and the minimization of the member section area. these are concerned with a geometric shape, network pattern, the number of layer, and so on. Most of all, the number of layer of the lattice dome is a important factor from the viewpoint of initial and structur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with double-layer latticed domes and investigated the relativity of buckling-stress-ratio and member-density-ratio according to rise ratio to improve that designers could extend the range of .design selection

  • PDF

편심하중을 받는 박벽개단면 압축재의 임계하중 (Critical Loads of Eccentrically Loaded Struts with Thin-Walled Open Sections)

  • 나영진;이수곤
    • 전산구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5-140
    • /
    • 1996
  • 박벽개단면을 갖는 단일 형강재는 압축재로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트러스에서 복재가 이런 경우이다. 이 때에는 부재의 조립 때문에 발생하는 필연적 편심을 구조설계시에는 보통 무시한다. 그러나 편심의 영향은 부재를 설계할 때, 특히 압축부재의 설계에서는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비틀림이나 혹은 휨과 비틀림에 의해서 좌굴을 일으키는 압축재의 임계하중은 지배하는 비분방정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 등변앵글(L), 리프채널(C)의 편심변화에 따른 내하력을 도표로 나타내기로 한다. 또한 식이복잡하므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한 후, 그 결과를 SURF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 PDF

설비하중을 고려하는 단층래티스돔의 좌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Latticed Domes under Equipment-Loading)

  • 박지영;정환목;권영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4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3-88
    • /
    • 1994
  • Recently, the equipments of the structure are increasing remarkably.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domes under concentrated loading such as a large-scale illuminating, visional, and sound equipment. The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latticed domes with triangular network under the uniformly distributed vertical-loading and the partially concentrated equipment-load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equipment-loading on the buckling strength is much more sensitive in domes of overall buckling than in domes of member buckling.

  • PDF

고장력(SM570)강재의 압축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 Tensile Strength Steel(SM570) Plates in Compression Members)

  • 임성우;고상기;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23-23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축력을 받는 기둥재에 사용 가능성이 큰 고장력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SM570의 압축좌굴내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중심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단 주압축 실험결과 강구조 계산규준이 정하고 있는 판폭두께비의 제한치를 만족시키는 기둥부재의 최대내력은 국부좌굴에 의해 결정되며, 판폭두께비의 제한치를 만족시키지는 못하는 경우에는 최대내력이 도달하기 전에 국부좌굴에 의해서 급격히 저하하였다. 또한 압축 좌굴내력이 SM570 강재의 설계기준값인 $4.1tonf/cm^2$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비대칭 연결재를 갖는 조립식 압축부재의 좌굴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I - 연결재 간격의 영향 - (An Experimental study of Buckling Behavior in Built-up Compression Member with Unsymmetric Connectors I - Effect of Distance of Connecting Members -)

  • 강상훈;한만엽;조병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A호
    • /
    • pp.207-2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연결재를 갖는 조립식 압축부재의 연결재 간격에 따른 좌굴 거동을 알아보기 위한 실 대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압축부재인 H-300 형강 10 m 부재 3개를 볼트 연결하여 총 길이 30 m가 되도록 2 m 간격으로 2열 배치한 후 연결재 간격이 4 m, 5 m, 6 m인 경우에 대하여 압축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재 간격에 따른 실험 좌굴하중을 평가하고 이를 유한요소해석 좌굴하중 및 Timoshenko 식에 의한 좌굴하중과 비교 분석 하였으며, 연결재 간격의 증가에 따른 조립식 압축부재의 좌굴 거동으로 인한 종방향 변위, 횡방향 변위, 변형률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연결재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조립식 압축부재의 좌굴 하중은 비선형적으로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결재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실험 좌굴 하중과 이론 좌굴 하중의 차이 및 실험 좌굴 하중과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차이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펄트루젼 I형 FRP 압축재의 설계 (Design of Pultruded I-shape FRP Compression Member)

  • 주형중;이승식;이종석;윤순종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46-53
    • /
    • 2012
  • 펄트루젼 공정에 의해 생산된 FRP 부재는 길이에 제한이 없이 임의의 단면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구조용 부재로 사용하기 적합하며, 특히, 각종 화학적 유해환경 등에서 그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습윤환경 및 해양환경 등의 부식환경에서 그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설계를 위한 관련 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FRP 구조재는 대부분 단면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판요소로 구성된 박판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재를 압축재로 사용할 경우 강도한계상태는 주로 좌굴거동에 의해 결정된다. 이 연구에서는 FRP I형 단면 압축재에 대한 좌굴거동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고, 기존 실험적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설계방법 및 설계흐름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은 ANSI/AISC 360-10의 방법과 유사한 형태로서 설계자의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해 PFPR I형 단면 압축재의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재 내력과 접합부 내력을 고려한 송전강관철탑의 극한하중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ltimate Load of Electric Transmission Tower Considering Member Strength and Joint Strength)

  • 김우범;전범준;서용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35-443
    • /
    • 2010
  • 현행 송전강관철탑의 경우 허용응력 설계개념을 도입한 철탑설계기준을 적용하여 설계, 제작되고 있다. 이 철탑설계기준의 압축재의 설계 강도 결정은 압축재의 허용좌굴응력에 의하여 결정되고 있으나 이는 접합부의 내력을 고려치 않은 값이다. 부재가 압축좌굴내력에 도달하기 전에 접합부의 변형으로 인하여 국부변형에 의한 접합부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의 보강형태별로 접합부내력을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지난 연구에서 도출한 등가비선형해석기법의 부재내력과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부재파괴와 접합부파괴의 선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실용적인 평가 및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단면 형상 및 국부 보강에 따른 직선 부재의 충돌 성능 (Crash Performance of a Straight Member for Various Section Shapes and Local Reinforcement)

  • 이헌봉;강성종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97-103
    • /
    • 2013
  • Crash performance of the straight member was studied by FE analysis. One end of model was fixed and the other end was impacted by 1,000kg rigid mass with velocity of 16.0m/sec. The maximum and mean load were discussed to compare crash performance. The members with various section shapes were analyzed and the flange location was changed. Also, spot weld points were added in the initial buckling region to investigate its effect. Final rectangular section model which has flanges at the center and reinforcement in initial buckling region showed high enhancement in crash performance.

연단보강된 직교이방성 Channel 단면 압축재의 탄성국부좌굴 (Elastic Local Buckling for Orthotropic Channel Section Compression Members with Edge Stiffeners)

  • 최원창;정상균;윤순종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1-9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tical investigation pertaining to the local buckling behavior of orthotropic channel section compression members stiffened with unsymmetric stiffeners at its free edges. In the analysis, tile edge stiffener is modeled as a beam element or a plate element. The result of both cases is presented in graphical form so that the effects of edge stiffeners on the local buckling strength of edge stiffened channel section member can be found.

  • PDF

리브 보강된 콘크리트 충전 HSS 가새부재의 이력 거동 (Seismic Behavior of Concrete-Filled HSS Bracing Members Reinforced by Rib)

  • 한상환;여승민;김욱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53-6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새 골조에서 사용되는 가새 부재를 보강하여 가새 골조의 이력 거동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HSS(Hollow Structural Section) 가새 부재는 국부 좌굴의 발생으로 인하여 인장측 성능에 비해 압축측 성능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국부 좌굴의 심각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새 부재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Lee and Goel(1987)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충전은 HSS 가새 부재의 국부좌굴의 심각성을 감소시켜 파괴 수명을 증가시켰으나, 가새 부재 중앙부의 국부좌굴을 방지하지 못하여 지속적인 압축 강도의 저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새 부재의 압축 강도를 증가시키고 중앙부의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충전 HSS 가새 부재의 중앙부를 리브로 보강한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브 보강길이를 변수로 한 총 4개의 실물 크기의 가새 부재를 제작하였다. 하중은 압축과 인장이 대칭인 하중이력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좌굴 모드, 사이클 최대 압축강도와 에너지 소산능력에서 나타난 리브 보강 가새 부재의 성능은 리브 보강길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63%의 길이로 보강한 실험체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