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2초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의 멜라닌 생성 저해 및 미백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and whitening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조은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8-63
    • /
    • 2019
  • 본 연구에서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tyrosinase 억제활성과 melanocyte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 및 멜라닌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능을 수행하였다.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은 tyrosinase 억제능을 관찰한 결과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백 효과가 melanoma 세포인 B16F10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내 멜라닌 함량 및 tyrosinase 억제능을 살펴보았다.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진행 하였으며, 세포내 멜라닌 함량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를 보여주었다. 이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이 세포 내 MITF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tyrosinase, TRP-1 및 TRP-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미백 산업 분야 및 식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다면 천연 미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복령 주정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억제를 통한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of Poria cocas Ethanol Extract by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 박혜정;권은정;김문무;이경록;홍일;이도경;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5-490
    • /
    • 2014
  • 백복령(Poria cocas)은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지금까지 melanin 합성에 대한 백복령의 직접적인 효과는 과학적으로 잘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백복령 주정 추출물(PCEE)의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기 위해, 쥐의 B16F1 세포를 이용하여 DOPA synthesis assay, tyrosinase activity assay, Western blotting for melanogenic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and TRP-2]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PCEE가 3,4-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OPA)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록 tyrosinase의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TRP-1 과 TRP-2의 단백질 발현 수준은 PCEE에 의해 조절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PCEE가 미백 효능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품 개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N-Linked Glycosylation 저해에 의한 닭의장풀 추출물의 미백효능 (Whitening Effect of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L.) Extract by Inhibition of N-Linked Glycosylation Process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이승현;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78
    • /
    • 2009
  •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Dayflower)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elanin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닭의장풀 추출물은 버섯 tyrosinase 활성 실험에서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melanin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활성시험 결과에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1,000 ${\mu}g/mL$의 농도에서 약 3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능도 우수하여 닭의장풀 추출물 250 ${\mu}/mL$ 이상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의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melanin 합성의 key protein 인 tyrosinase 발현의 우수한 저해 능력을 보였고,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발현 억제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N-glycosylatin 억제를 통해 melanin 합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melanin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tyrosinase, TRP-1)의 발현 저해 및 TRP-2의 N-glycosylation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추출물은 melanin 합성의 효소 경로를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산 식물을 이용한 미백 기능성화장품 원료에 대한 검색 (Screening of Plants in Jeju for Whitening Materials in Cosmeceutical)

  • 이선주;부희정;이정아;정덕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5-119
    • /
    • 2005
  • 제주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의 미백활성을 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mushroom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우리는 개민들레 줄기, 까마중, 미국미역취, 돌외, 주목의 메탄을 추출물에서 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tyrosinase 활성은 없었다.

육미지황탕가감방(六味地黃湯加減方)이 멜라닌 생성 및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gagambang (YMG) on Melanin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 김진경;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6-8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inhibitory effect of Yukmijihwangtang-gagambang (YMG)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Methods: To demonstr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YMG on melanin synthesis, we measured the amount of released and produced melanin in B16F10 melanoma cell. Also, we evaluated tyrosinase-activity in vitro as well as in B16F10 melanoma cell. And to investigate the action mechanism we assessed the gene expressions of tyrosinase, TRP-1, TRP-2, MMP-2, PKA, PKC${\beta}$, ERK-1 ERK-2, AKT-1 and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Results: 1. YMG decreased the release and production of melanin in B16F10 melanoma cells. 2. YMG decreas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F10 melanoma cells. 3. YM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RP-2, PKA, PKC${\beta}$ and MMP-2 in B16F10 melanoma cells. 4. YM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ERK-1, ERK-2, and AKT-1 in B16F10 melanoma cells. 5. YM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YMG inhibit melanin synthesis via tyrosinase inhibition and regulation of the gene expression in B16F10 melanoma cells.

쓴메밀 추출물의 미백 개선 효과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Extract)

  • 한나경;박창민;권주찬;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9-186
    • /
    • 2014
  • 본 연구는 쓴메밀 추출물(FTE)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단메밀 추출물(FEE)과 그 효능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로 쓴메밀 추출물은 단메밀 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세포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적용 실험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 색소침착을 유발한 후, 쓴메밀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도포하였고, 8주 경과 후 피부 밝기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쓴메밀 추출물은 미백 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미백활성능과 주름저해 효능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y and Wrinkl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장영아;염보슬;김세기;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192-1199
    • /
    • 2019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의 마디부분을 70%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효능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세포(B16F10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주는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주름활성억제 평가를 위해 collagen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또한 UVB로 유도된 섬유아세포(CCD-986sk cells)의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matrix metalloprotease (MMP-1) inhibition 및 procollagen synthesis를 평가하였다. 미백활성 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western bolt 결과,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두 단백질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합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우절 에탄올추출물의 collagenase inhibiion 실험의 결과, $500{\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EGCG와 효능이 비슷한 8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Procollagen synthesis 결과 UVB 자극군에 의해 콜라겐 합성은 68.8%로 감소되었으며 시료의 $25{\mu}g/ml$의 농도에서 80.2%의 콜라겐 합성에 회복능을 보였다. MMP-1 inhibition 실험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20.2%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는 NRN의 미백 및 주름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측백엽(側柏葉)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Biota Orientalis Folium on Melanin Synthesis)

  • 이수형;홍석훈;황충연;김남권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62-670
    • /
    • 2005
  • Recently many efforts were focused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insights of melanogenesis to develop the agents for hyper-pigmentation and hypo-pigmentation. In the melanin bio-synthetic pathway, tyrosinase is the rate limiting enzyme, an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MSH) stimulates melanogenesis and enhances the melanin synthesis and the tyrosinase activity. The author has analyzed the effects of Biota Orientalis Folium on the basal melanogenic activitie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and on the ${\alpha}$-MSH or tyrosinase-induced melanogenesis. Biota Orientalis Folium alone markedly suppress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decrease of cell propagation was observed in B16 cells treated with 200${\mu}$g/ml dose of Biota Orientalis Folium, indicating that Biota Orientalis Folium-induced depigmenting effect was caused by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not due to destruction of B16 cells.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Biota Orientalis Folium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alpha}$-MSH (10 nM) induc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Biota Orientalis Folium inhibited the revelation of ${\alpha}$-MSH induced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 and mRNA of tyrosinase in B16 melanoma c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ta Orientalis Folium inhibits melanogenesis and abrogates ${\alpha}$-MSH and tyrosinase-induce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감마선 조사가 베타글루칸의 미백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Irradiation on the Whitening Activity of β-Glucan)

  • 김재훈;성낙윤;정필문;송범석;최종일;변의홍;김진규;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33-237
    • /
    • 2010
  •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 in whitening activity of ${\beta}-glucan$ by gamma-irradiation. Tyrosinase inhibi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amples with 30, 50, 100 kGy irradiated ${\beta}-glucan$. Melanin synthesis of irradiated ${\beta}-glucan$ was measured from B16BL6 melanoma cell line treated with ${\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 Melanin synthesis was increased in the ${\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 added group. However, it was decreased in the groups of 30, 50 and 100 kGy gamma-irradiated ${\beta}-glucan$ treated with ${\alpha}-melanin$ stimulating horm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mma irradiated ${\beta}-glucan$ may elevate the whitening activity. Therefore, gamma-irradiated ${\beta}-glucan$ could be used for nutraceutical foods in cosmetic industry.

도인승기탕 및 그 구성약재의 화장품약리활성 (Cosmeceutical Activities of Doinseunguitang and Its Composition)

  • 이진영;이수연;전혜지;윤지영;황현욱;박주훈;안봉전;손준호;황주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5-75
    • /
    • 2012
  • Objectives : Cosmeceut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the Doinseunguitang and its composition, a traditional prescription, were evaluated.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 astringent activity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of water extract Doinseunguitang (DISG) and ethanol extract DISG was 60% and 50% at 1,000 ppm.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 showed more than 80% at 500 ppm. Tyrosinase inhibition and inhibition melanin synthesis activities were measured in 40% and 50% at 1,000 ppm and 100 ppm.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rate of ethanol extracts DISG 40% and 80% at 1,000 ppm. It was concluded that compositive ingredients (Persicae Seman, Glycyrrhizae Radix, Cinnamomi Ramulus, Rhei Rhizoma) influenced the most results.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which is superior in it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is useful to be applied in herbal cosmetic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