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ulla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3초

흰쥐 관류부신에서 Histamine 수용체 활성화가 Catecholamine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staminergic Receptor Activation on Catecholamine Secretion in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임동윤;노상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55
    • /
    • 1993
  • 흰쥐 관류부신에서 histamine의 catecholamine (CA) 분비작용의 특성과 기전을 규명코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istamine $(37.5{\sim}150\;{\mu}g)$을 부신정맥내에 주사 하였을 때 현저한 용량 의존성의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istamine $(150\;{\mu}g)$을 120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시 제 3차 투여시부터는 CA 분비효과가 뚜렷이 감소하였다. 즉, histamine의 반복투여로 인한 반응급강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Histamine의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diphenhydrarmine, ranitidine, $Ca^{++}-free$ Krebs 용액의 관류, nicardipine 및 TMB-8 등의 전처치로 유의하게 억제 되었으나 pirenzepine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더우기 histamine $(6.8{\times}10^{-5}M)$으로 3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0{\mu}g)$의 CA 분비작용이 상당히 억제됨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histamine은 흰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현저한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칼슘 의존성이었다.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H_1-$$H_2-$ 양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서 일어나며 또한 부신의 nicotine 수용체와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장(大腸)과 관련(關聯)된 경혈(經穴)들의 신경해부학적(神經解剖學的) 연구(硏究) (Neuroanatomical Studies on the Acupoints Related to the Large Intestine)

  • 강창수;이상룡;이창현;남용재;이광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95-11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morphological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meridian, acupoints and viscera using neuroanatomical tracers. The common locations of the spinal ganglia, sympathetic chain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were observed following injection of transganglionic tracer, WGA-HRP and transsynaptic neurotropic virus, pseudorabies virus(PRV), Bartha strain(Ba) and PRV-Ba-Gal (Galactosidase)) into the the large intestine(cecum, colon and rectum), ST37 and LI4. After survival times of 96 hours following injection into the thirty rats with WGA-HRP, PRV-Ba and PRV-Ba-Gal. They were perfused, and their spinal ganglia, sympathetic chain ganglia, spinal cord and brain were frozen sectioned($30{\mu}m$). These sections were stained by HRP and X-gal histochemical and PRV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and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the large intestine were observed bilaterally within the T13-L4 sympathetic chain ganglia, and T9-11 spinal ganglia.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ST37 were observed within the L3-5 sympathetic chain ganglia, and L2-4 spinal ganglia. WGA-HRP labeled neurons innervating LI4 were observed in the middle cervical ganglion and stellate ganglion, and C5-8 spinal ganglia. 2. In spinal cord, PRV-Ba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ST37 and LI4 were found in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segments. Densely labeled areas of each spinal cord segment were founded in lamina N, V, VII(intermediolateral nucleus), Ⅸ, X and dorsal nucleus. 3. In medulla oblongata,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ST37 and LI4 were commonly found in the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nucleus tractus solitarius, raphe obscurus nucleus, raphe pallidus nucleus, raphe magnus nucleus and gigantocellular nucleus. 4. In pons,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locus coeruleus, Kolliker-Fuse nucieus and A5 cell group. 5. In midbrain,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central gray matter. 6. In diencephalon, PRV-Ba and PRV-Ba-Gal labeled neurons were commonly found in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V-Ba and PRV-Ba-Gal labeled common areas projecting to the large intestine may be correlated to that of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ST37 and LI4. Especially, These morphological results provide that interrelationship of meridian-acupoints -viscera may be related to the central autonomic pathways.

  • PDF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서 투사(投射)되는 신경원(神經元)의 표지부위(標識部位)에 대한 연구(硏究) (Localization of the Neurons Projecting to the Gallbladder Meridian)

  • 육상원;이광규;이상룡;김점영;이창현;이봉희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7권1호
    • /
    • pp.101-12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morphological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to the meridian, acupoint and nerve. The common locations of the spinal cord and brain projecting to the the gallbladder, GB34 and common peroneal nerve were observed following injection of transsynaptic neurotropic virus, pseudorabies virus(PRV), into the gallbladder, GB34 and common peroneal nerve of the rabbit. After survival times of 96 hours following injection of PRV, the thirty rabbits were perfused, and their spinal cord and brain were frozen sectioned($30{\mu}m$). These sections were stained by PRV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and observed with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pinal cord,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gallbladder, GB34 and common peroneal nerve were founded in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segments. Densely labeled areas of each spinal cord segment were founded in lamina V, VII, X, intermediolateral nucleus and dorsal nucleus. 2. In medulla oblongata, The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to the gallbladder, GB34 and common peroneal nerve were founded in the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 rostr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 medullary reticular nucleus,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nucleus tractus solitarius, raphe obscurus nucleus, raphe pallidus nucleus, raphe magnus nucleus, gigantocellular nucleus, 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cleus, principal sensory trigeminal nucleus and spinal trigeminal nucleus. 3. In Pons, PRV labeled neurons were parabrachial nucleus, Kolliker-Fuse nucleus and cochlear nucleus. 4. In midbrain, PRV labeled neurons were founded in central gray matter and substantia nigra. 5. In diencephalon, PRV labeled neurons were founded in lateral hypothalamic nucleus, suprachiasmatic nucleus and paraventricular hypothalamic nucleus. 6. In cerebral cortex, PRV labeled neuron were founded in hind limb area.This results suggest that PRV labeled common areas of the spinal cord projecting to the gallbladder, GB34 and common peroneal nerve may be first-order neurons related to the somatic sensory, viscero-somatic sensory and symapathetic preganglionic neurons, and PRV labeled common area of the brain may be first, second and third-order neurons response to the movement of smooth muscle in gallbladder and blood vessels.These PRV labeled neurons may be central autonomic center related to the integration and modulation of reflex control linked to the sensory system monitoring the internal environment, including both visceral sensation and various chemical and physical qualities of the bloodstream. The present morphological results provide that gallbladder meridian and acupoint may be related to the central autonomic pathways.

  • PDF

풍화작용에 의한 정상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 of Men's Hair Shaft by Weathering)

  • 홍완성;장병수;임도선;박상옥;여성문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11-20
    • /
    • 2000
  • 성인 남성의 모발에서 정상 모간과 자연상태에서 손상된 모간의 외부형태와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모간은 모소피층, 모피질, 모수질 등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소피층은 $5\sim7$개의 모소피세들이 중첩되어 모피질과 모수질을 둘러싸고 있고, 길게 신장되어 모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소피세포의 두께는 약 $0.4{\mu}m$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세포사이에는 약 $25{\mu}m$의 세포사이 막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모피질은 잘 발달되어 각질화세포(cornified cell)들로 치밀하게 채워져 있었고, 각질화세포는 직경이 약 $0.5\sim0.8{\mu}m$인 구형 또는 타원형의 macrofibril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약 8 nm 두께의 가는 microfibril이 동심원상의 규칙적인 형태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macrofibril사이에는 약 $0.5{\mu}m$ 크기의 직경을 가진 구형의 melanin과립들이 고르게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모수질은 공기가 채워져 있었고, 직경이 약 $16{\mu}m$의 구형의 형태로 모간의 전체 직경에 1/5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풍화에 의해 손상된 모간은 모소피층이 박리되어 있었으며, 모피질세포의 세포질도 손상되어 melanin과립들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확인되었다. 조직표본상에서 모소피층의 박리과정은 모소피 사이에 공포가 형성되고, 이어서 모소피의 가장자리가 떨어져 나가고, 박리되지 많은 부위는 절단되었다. 모소피가 탈락되어 모피질이 노출된 부위에서는 각질화세포내에 존재하는 macrofibril이 각각 분리되고, 인접된 macrofibril사이에 공기가 채워지게 어 모간의 풍화과정은 더욱 촉진되었다. 그리고 노출된 macrofibril사이에서 탈락 직전의 melanin과립들이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 PDF

Nitric Oxide (NO) Inhibites the Neuronal Activities in the Rat Nucleus Tractus Solitarius

  • Kim, Mi-Won;Park, Mun-Sung;Ryu, Sun-Youl;Jung, Ji-Yeon;Kim, Sun-Hun;Kim, Min-Seok;Kim, Won-Jae;Jeong, Yeo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1호
    • /
    • pp.7-15
    • /
    • 2004
  • Nitric oxide (NO) system has been implicated in a wide range of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nervous system. However, the role of NO in regulating the neural activity in the gustatory zone of nucleus tractus solitarius (NTS)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NO in the gustatory NTS neuron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50 g, were used. Whole cell patch recording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done to determine the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stral gustatory nucleus of the tractus solitaries and distribution of NO synthases (NOS). Neuronal NOS (nNOS) immunoreactivity was strongly detected along the solitary tract extending from rostral to caudal medulla. Resting membrane potentials of NTS neurons were $-49.2{\pm}2\;mV$ and action potential amplitudes were $68.5{\pm}2\;mV$ with a mean duration measured at half amplitude of $1.7{\pm}0.3\;ms$. Input resistance, determined from the response to a 150 ms, -100 pA hyperpolarizing current pulse, was $385{\pm}15\;M{\Omega}$, Superfusion of SNAP or SNP, NO donors, produced either hyperpolarization (68%), depolarization (5%), or no effect (27%). The hyperpolarization was mostly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input resistance. The hyperpolarization caused by SNAP or SNP increased the time to initiate the first action potential, and decreased the number of action potentials elicited by current injection. SNP or SNAP also markedly decreased the number of firing neural discharges of the spontaneous NTS neural activity under zero current. Superfusion of L-NAME, a NOS inhibitor, slightly depolarized the membrane potential and increased the firing rate of NTS neurons induced by current injection. ODQ, a soluble guanylate cyclase inhibitor, ameliorated the SNAP-induced changes in membrane potential, input resistance and firing rates. 8-Br-cGMP, a non-degradable cell-permeable cGMP, hyperpolarized the membrane potential and decreased the number of action potentials. It is suggested that NO in the gustatory NTS has an inhibitory role on the neural activity of NTS through activating soluble guanylate cyclase.

시판 사료에 오염된 Ochratoxin A와 Citrinin에 의한 개의 신부전 (Canine Renal Failure Caused by Ochratoxin A and Citrinin in the Commercial Dog Food)

  • 안소저;정석영;임만수;박선일;한정희;김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2-87
    • /
    • 2007
  • 태국에서 생산된 Pedigree사의 개 사료를 1개월 이상 섭취한 5마리의 개가 식욕절폐, 쇠약, 구토, 다음다뇨 증상을 보였으며 증상이 심한 개는 혈액성 설사와 저체온증을 보였다. 특징적인 임상병리학적 소견으로 BUN과 creatinine이 높았으며 일부의 개에서는 GGT, 무기인과 lipase가 높았으나 CBC는 특이적인 임상병리학적 소견이 없었다. 요분석에서는 혈뇨, 저비중뇨, 단백뇨와 calcium oxalate와 유사한 결정이 관찰되었다. 증상이 심한 두 마리는 폐사하였으며 나머지의 개는 사료의 변경과 보조요법에 의하여 점차 회복되었다. 전형적인 병리학적 소견은 신장에서 관찰되어 신장의 위축, 일부 사구체의 모세혈관 충혈, 세뇨관의 미만성 변성과 이영양성 석회화, 세뇨관의 괴사와 재생, 세뇨관 내강 내에 황갈색 판상 형광성 물질 또는 파편이 관찰되었다. 섭취한 사료와 동일한 개봉하지 않은 사료 내의 ochratoxin A와 citrinin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각각 372.8ppb와 8.3ppb가 검출되었다. 병력, 임상증상, 임상병리소견, 병리학적 소견 및 사료 내의 곰팡이독소의 분석을 통하여 ochratoxin A와 citrinin의 중독에 의한 신부전으로 최종진단을 내렸다.

토끼의 방사선 촬영상과 초음파 촬영상에 나타난 신장 크기의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renal size on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in rabbits)

  • 최민철;윤희준;이효종;강태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991-995
    • /
    • 1996
  • 토끼에서 신장의 크기(길이, 폭 및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기본자료로 삼고자 53마리의 토끼(Newzealand White)의 신장을 방사선 촬영과 초음파 신장촬영 그리고 신장을 적출하여 실제 길이를 재고 이들간의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방사선 촬영에서는 우측신장은 T13-L2에서 관찰되었고 좌측신장은 L2-L4에서 관찰되었다. 초음파 신장촬영상에서는 신장 피질은 작고 균등하며 주변조직에 비하여 저에코상을 보였고 신장의 신우는 무에코 내지는 약간의 저에코상을 보였다. 토끼의 좌측신장에서 길이, 폭 및 높이는 각각 $35.84{\pm}3.12(mean{\pm}SD)$, $23.52{\pm}3.21$$15.11{\pm}2.58cm$ 였으며 우측신장에서는 $36.02{\pm}3.42$, $23.69{\pm}3.50$$14.13{\pm}3.55cm$ 이었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양쪽 신장의 길이와 폭은 실제 크기에 비하여 약간 확대되었으며(102~104%), 초음파신장 촬영상에서 양쪽 신장의 길이, 폭 및 높이는 실제 크기에 비하여 적게 축소된 상을 보였다(70~96%). 복배상 방사선 사진에서 신장의 길이와 폭의 제2요추 길이의 대비에서 1.85와 1.25배로 나타났다. 체중과 신장의 각 측정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서로간에 유의치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Sclerotinia trifoliorum의 Spermatization에 관여하는 요인(要因)의 검색(檢索) -I. 균(菌)의 수정과정(受精過程) (Detect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spermatization in Sclerotinia trifoliorum -I. Course of Fertilization)

  • 엄재열;김영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27-133
    • /
    • 1987
  • 콩과목초(科牧草) 균핵병균(菌核病菌) S. trifoliorum의 완전세대 형성과정중 수정(受精)의mechanism과 그 시기를 밝히고 균핵(菌核)내부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변화의 양상(樣相)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실험에 공시(供試)한 S계통(系統)의 균주(菌株)에 있어서 수정가능상태(受精可能狀態)에의 도달은 균핵(菌核)을 포화습도(飽和濕度) 15C에 치상(置床)한 후 18일 경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수정가능상태(受精可能狀態)는 일부의 균핵(菌核)에서 치상(置床) 후(後) 45일 경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本) 균(菌)의 균핵(菌核)이 수정가능상태에 달하게 되면 균핵(菌核)의 교배형(交配型)과 관계없이 그 내부에 염색성(染色性)이 강한 균계집단(菌系集團)이 출현하였는데 이들의 진전과정을 homothallic 계통(系統)과 heterothallic 계통(系統)에서 비교 검토한 결과, ascogonium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들 ascogonium은 치상 후 약 45일 경까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나 치상 39일 경부터 퇴화되어 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균핵내부에서의 ascogonium의 출현 지속기간과 균핵의 수정가능기간이 서로 잘 부합되었다.

  • PDF

생쥐 신장, 간, 비장 내 시간에 따른 수은 농도 변화와 수은 화합물의 위치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Localization of Accumulated Mercury in Kidney, Liver, and Spleen of Mice over Time)

  • 김유선;김영은;조현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79-88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생쥐 신장, 간, 비장 내 축적된 수은의 위치와 아울러서 시간에 따른 수은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은 투여 종료 후 10일, 150일, 300일에 생쥐를 희생하여 수은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10일에 희생시킨 생쥐 신장의 경우,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의 핵 위쪽 세포질에 수은이 다량으로 분포하였으나, 사구체에는 분포하지 않았다. 간의 경우, 수은이 주로 간문맥 주위에 있는 간세포와 굴모세혈관에 있는 Kupffer 세포에 분포하였다. 10일에 희생시킨 비장의 경우, 백색 수질과 적색 수질에 수은이 흩어져 분포하였다. 수은의 농도 변화에 있어서, 150일과 300일에 희생시킨 신장의 피질과 수질에 축적되어 있던 수은이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역시 간세포에 축적되어 있던 수은도 150일과 300일의 경우,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비장의 경우, 백수와 적수 조직에 있던 수은 농도가 감소되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세포나 조직에 축적되어 있던 수은의 위치가 확인되었으며, 또한 이 결과는 기관에 축적되어 있던 수은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감소된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고 있다.

창덕궁 성정각 출토 모담(毛毯) 직물 분석 (A Textile Analysis of Woolen Carpet Excavated from Seongjeonggak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 박성희;이량미;안보연;조미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34
    • /
    • 2021
  • 조선 말기 방한용 깔개인 모담(毛毯)이 창덕궁 성정각의 해체 공사 중 발견되었다. 문헌기록에 비해 현전하는 조선시대 모직물 유물이 많지 않아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1907년 창덕궁 성정각을 수리한 기록이 있어, 모담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출토 모담은 자적색 계열의 바탕 직물로 위에 황색, 홍색 등으로 선염한 색사를 표면에만 삽입하여 문양을 시문하였다. 모담의 식서부분은 S연의 면사가 확인되었으며, 지경사는 Z연의 황마사, 지위사는 S연의 황마사, 문경사는 S연의 모사를 사용했다. 특히 무늬는 루프파일의 색사로, 색사의 경계면에서 일부 컷 파일이 확인되나 지위사로 고정되어 표면에 거의 드러나지 않는 다. 황마사와 모사를 사용한 것은 18세기 중엽 유럽의 브뤼셀 카펫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모담의 문양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으며 다만 문양이 부분적으로 반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과 회화자료 외에 현미경 분석,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밝히기 위해 색도측정을 토대로 자외-가시광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천연 염색한 직물 샘플에 대한 교차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모담의 녹색 모사는 쪽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자적색의 바탕조직은 소목으로 염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