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um Size Corpora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4초

중형 트랙터용 원형베일러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ound Baler Attachable to Medium Agricultural Tractors)

  • 장동일;정선옥;조병관;조남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309-314
    • /
    • 2010
  • Bale is an operation of collecting livestock feed materials from field crop residue, and mechanization demand on the operation has been increased. Bailer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and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used, but those models showed improper performance in Korean situations. In recent years, a steel-roller type round baler attachable to medium size tractors(40 to 60 HP) for effective bale operation in Korea was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ield performance of the baler. For proper baling operation, engine speed was greater than 1,800rpm, average traction force and PTO torque were about 4kN and in a range of 380-671Nm, and maximum values were about 7kN and 3,000Nm, respectively. Performance evaluation tests for sudan grass, rice straw, and blue barley showed that field capacity was 0.59ha/h for blue barley and 0.99ha/h for sudan grass and rice straw. Bale weight, diameter, width, and bulk density were in ranges of 176.1~418.4kg, 1.07~1.12m, 1.02~1.04m, and 175.3~454.1kg/$m^3$. Noise sound level during the baling operation was 4dB greater than idle operation conditi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ignorant.

황해 동부 사퇴분포지역의 표층퇴적물 특성과 Simrad EM950(95 kHz)멀티빔 후방산란 음압간 상관관계 (Correlation of Simrad EM950(95kHz) Multibeam Backscatter Strength with Surficial Sediment Properties in the Sand Ridge of the Eastern Yellow Sea)

  • 공기수;김성필;박요섭;민건홍;김지욱;박수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719-738
    • /
    • 2006
  •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멀티빔 후방산란 음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퇴가 발달되어 있는 황해 동부해역에서 Simrad EM950 멀티빔 수심기와 그랩을 이용하여 후방산란 음압 자료와 표층퇴적물 시료를 취득하였다. 연구지역은 분급이 양호한 세립사로 덮여있는 서쪽 사퇴 지역과 분급이 불량하고, 자갈과 패각편을 포함하는 중사가 우세하게 덮여 있는 동쪽의 사퇴가 없는 지역으로 나뉜다. 두 지역의 입도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으나, 후방산란 음압의 변화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연구지역의 멀티빔 후방산란 음압은 표층 퇴적물의 입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뿐만 아니라 탄산염 함량과도 깊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산염 패각편의 함량은 해저면의 거칠기와 입도의 증가를 야기 시킨다. 동쪽의 사퇴가 없는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는 후방산란 음압 값은 조립한 입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탄산염 패각편 함량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중대형 인공호에서 외래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의 분포 특성 및 서식지의 이화학적 수질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s an Exotic Species, in Some Medium-to-Large Size Korean Reservoirs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Habitats)

  • 김현맥;길지현;이의행;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541-5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우리나라 10개의 중대형 인공호에서 배스의 우점도에 의한 외래종 영향 및 이에 대한 어류 군집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이 출현하는 호수에 대한 이화학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10개 인공호에서 출현한 어류는 13과 52종이었으며, 배스의 상대 풍부도는 전체 어종들 중 13%를 차지하여, 출현한 어류들 중 3번째로 높게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향후 배스가 수체내에서 최상위 포식자로서의 포식압 및 생태적 지위 특성 때문에 많은 인공호들에서는 본 배스의 외래종 번성에 의한 생태계 교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 인공호들 중 평택호에서 배스의 상대 풍부도는 6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대청호에서 풍부도는 3%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스 서식지에 대한 이 화학적 수질분석 결과에 따르면, COD는 평균 $4.5{\pm}2.5mgL^{-1}$였고, 총인 (TP) 농도는 $0.058{\pm}0.047mgL^{-1}$, 총질소(TN)는 $2.2{\pm}1.4mgL^{-1}$로 나타났다. 인 (P)과 질소(N)의 농도 분석에 따르면, 평택호, 낙동강하구언, 주남저수지 등의 수체는 부영양화 현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스의 상대풍부도와 수질자료의 비교분석에 따르면, 두 변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p>0.05)를 보이지 않았다. 즉, 배스의 분포 및 풍부도 특성은 이화학적 수질도 중요하겠지만, 이들보다는 여러 타 요인들, 즉, 물리적 서식지 특성, 이용 가능한 먹이양 및 경쟁생물의 밀도 등에 의해 더 영향 받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황산화물(SOx) 배출 저감 규제에 대한 국적선사의 인식과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and Response Strategy of Korean Ship Owners on Global Sulphur Cap 2020)

  • 이충호;김현중;박근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41-16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규제에 대한 국적선사의 인식과 대응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현황과 선박으로부터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규칙인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 VI,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기술적 방안, 해운산업과 국적선사의 경영현황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국적선사들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국적선사의 규제와 영향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전략을 분석하였다. 평가요인의 선정 작업을 거쳐 국적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빈도 및 교차 분석을 진행하여 규모별, 주력선종별 선사의 인식과 대응 전략의 차이, 국적선사의 대응 전략의 방향성을 알아보았다.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검토하면서 그 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황산화물(SOx) 배출저감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규제 대응을 위한 기술적 방안들과 경제성 분석 관련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여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대형선사가 중소 벌크선사에 비해 규제 대응의 준비가 원활히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사 규모와 주력선종별 선사의 규제에 따르는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이나 대응 전략에 대한 방향성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의 시행까지 약 2년이 남은 상황에서 정부와 관련기관의 지원 정책과 선사별 체계적인 분석과 계획을 바탕으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적선사들을 대상으로 주력선종별 선사들의 인식과 대응 전략의 차이를 파악하였지만 구체적인 대응 전략이나 기업의 데이터 수집의 한계가 존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운산업 관계자들이 황산화물(SOx) 배출저감 규제 대응 준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으로 중요한 해운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적의 대응 전략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주조 및 열간 압연된 Fe-0.7wt%C-2.3wt%Si-0.3wt%Mn 강의 프로세싱 윈도우와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오스템퍼링 조건의 영향 비교 (The Effects of Austempering Heat Treatment on the Processing Window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Cast and Hot-rolled Fe-0.7wt%C-2.3wt%Si-0.3wt%Mn Steel)

  • 손제영;황동찬;최재주;송준환;김지훈;김원배;예병준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0-65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stempering heat treatment on the processing window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cast and hot-rolled Fe-0.7 C-2.3 Si-0.3 Mn steel. Each specimens were austenitised at $900^{\circ}C$ for 7 min, and austempered at $260^{\circ}C,\;320^{\circ}C$, and $380^{\circ}C$ for the various periods of time from 2 min to 240 min. After heat treatment, the evaluation of stage I and stage II as performed by optical metallography, XRD, hardness test. Both cast and hot rolled specimens had similar processing window. So grain size effect is not important to the austempered high carbon high silicon cast steel. When the austempering temperature was $260^{\circ}C$, the microstructure consisted of the lower ausferrite while the upper ausferrite structure was formed at $380^{\circ}C$. As the austempering temperature increases from 260 to $380^{\circ}C$, the strength and hardness decreased, elongaton and volume fraction of austenite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no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cast and hot-rolled specimens.

Sorbitol이 결합된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s of Polyacrylic Superabsorbent Polymer Containing Sorbitol)

  • 김공수;신재섭;문용운;이광용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36-144
    • /
    • 1996
  • 역상현탁 중합방법으로 sodium acrylate 및 아크릴산을 모노머로 사용하고 분산제로는 sucrose fatty acid ester(S-570), 증점제로는 Xanthan-gum, 가교제로는 EDGMA 및 GPGE, 개시제로는 $K_2S_2O_8$, 및 용매로는 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sorbitol의 함유량을 10~50%로 변화시키면서 sorbitol이 결합하고 있는 고흡수성 수지(SAP)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고흡수성 수지를 모노머량의 0.05~0.40mol%로 표면가교 시켰고, 입자형태는 구형이었으며 입자크기 분포는 $177{\sim}707{\mu}m$ 이었다.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은 물에 대하여는 785~1086배 이었고, 0.9% NaCl 용액에 대해서는 50~83배 이었다. Sorbitol의 함유랑이 증가할 수록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과 보수량은 감소하였으며, +5 cal/g SAP의 흡열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Morphometric Variations in the Volar Aspect of the Distal Radius

  • Kwon, Bong Cheol;Lee, Joon Kyu;Lee, Suk Yoon;Hwang, Jae Yeun;Seo, Jang-Hyeon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62-467
    • /
    • 2018
  • Background: Significant discrepancy exists between anatomical plate designs and the anatomy of the native distal radius,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considerable morphometric variations in the volar aspect of the distal radius. We ai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variability in the morphometry of the distal radius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variability. Methods: We measured the volar surface angle (VSA) of the intermediate and lateral columns and the volar surface width (VSW) in the distal radius from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s acquired from 81 cadaveric forearms. These morphometric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lateral and intermediate columns,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between Koreans and Caucasians. Caucasian morphometric data were obtained and pool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used to assess the variability of the parameters and Cohen's 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Results: The average VSA of the lateral column was $22^{\circ}{\pm}6^{\circ}$, and that of the intermediate column was $29^{\circ}{\pm}8^{\circ}$ in Koreans (p < 0.001). The variability was high for both VSAs. The VSA of the intermediate column was significantly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p < 0.001) and in Caucasians than in Koreans (p < 0.001). The average VSW of distal radius was $30{\pm}3mm$ at the watershed line, and it became narrower proximally. The VSW was significantly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p < 0.001) and in Koreans than in Caucasians (p < 0.001). The effect sizes of the difference for the VSA and VSW between sexes, races and columns were medium to large. Conclusions: Considerable variability exists in the morphometry of the volar distal radius, with sex, race, and column as contributing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rgeons should carefully choose an anatomical volar locking plate with appropriate angula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atient to achieve patient-specific alignment of the distal radius.

The Relationship on Risk Type, Risk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 Evidence from Korean FDIs in China

  • Yin, Heng-Bin;Kim, Bo-Hyun;Jung, Hong-Joo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5호
    • /
    • pp.45-65
    • /
    • 2019
  • Purpose - As the well-known Structure-Conduct-Performance paradigm implies, risk structure of a corporation may affect its risk management activity and the activity may in turn determine its performance. Depending on its goal,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can shape its risk structure, risk management and its performance. Under this assumption,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s of FDI and risk management for the first time in academics. Design/methodology - This empirical research uses a survey of 279 current Korean enterprises' FDIs in China with the recently developed business risk quadrant model. Companies are classified into either a market- or an efficiency-seeking group, to identify how each group perceives and manages risks, and values the performance of risk management. Also, we apply integrated risk management method that multinational corporations have introduced in China, then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risk factors and performance. Findings - Our research shows the FDIs can expose themselves to differing risk structure although risk management activities simply represent the level of empowerment given to local management by headquarter due to limit of sample size despite diversity of risk and risk management tools. To sum, market seekers are found to have more strategic risk (revenue related risk) than efficiency seekers with financial risk (cost related risk). The market seekers can manage their risk by empowering their local organisation while the efficiency does the opposite ways. The risk management appears to be successful in general. Originality/value - Previous studies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DIs to China have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entry determinants, withdrawal factors and individual risk management. Meanwhile, this research establishes enterprise-wide risk factors faced by the companies that advance into China,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classification by ERM and verifies if they could synthetically improve performance through risk corresponding measures.

중소기업적합업종선정이 프랜차이즈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eing selected as suitable business types, on the franchise industry)

  • 강창동;신건철;장재남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5호
    • /
    • pp.1-23
    • /
    • 2012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고 낙수효과 또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사업조정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사업영역을 보호하고 중소 대기업간 양극화를 해소하며 더불어 골목상권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된 것이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제도이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추진현황은 제조업분야로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 중 234개 품목을 신청 접수 받아 실태조사 및 분석하여 조정협의체의 품목을 선정하였다. 서비스업분야에서의 적합업종 지정은 사회적 갈등이 있는 업종부터 지정할 계획인데,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생업과 관련된 3개 대분류 서비스업종을 대상으로 우선 지정하고 추후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으로 선정될 경우에는 중소기업의 성장 동기가 저해될 우려가 있으며,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 지정은 소비자 후생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전적 규제로 작용할 소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경쟁을 제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있으며 FTA 체제의 주요 규정에 대한 위배 가능성도 있다. 뿐만아니라 대기업에 대한 역차별 요인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가 대기업의 주력분야와 관계없는 서비스업에 대한 진출 확대로 인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과의 갈등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중소기업이나 중소상인의 보호를 위해서는 프랜차이즈시스템을 통해서 지역 중소기업을 발전시키고 마스터 프랜차이즈나 지역 프랜차이즈 시스템과 같은 선진 계약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업들의 경쟁력과 운영방식을 한층 더 진일보 시켜 중소 프랜차이즈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효과도 있지만 부정적 측면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지식경제부가 밝히고 있듯이, 프랜차이즈산업은 자영업자의 창업 성공률을 높여주고, 기존 자영업자를 조직화하여 규모의 경제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내수시장을 확대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자영업자 경쟁력 제고와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유용한 수단'임을 강조하고 정부 서민안정 대책으로 밝힌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프랜차이즈는 적합업종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는 것이며 이에 반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둘째, 적합업종으로 지정될 경우 국제적 경쟁력을 갖고 있는 국내 프랜차이즈 대기업들의 위축과 사기저하로 인하여 해외진출과 R&D, 식품안전에 대한 투자 감소와 더불어 국내 진출한 해외 기업들의 사업 확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국내 진출한 다국적 해외 프랜차이즈기업들과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국내 프랜차이즈산업 현실에서 국제적 경쟁력 확보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국내에 진출한 해외 프랜차이즈기업들과의 역차별이 발생할 수도 있다. 셋째,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 지정은 지금까지 제품을 사용해 왔던 소비자들의 선택의 기회를 제한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후생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중소기업 간의 역차별 문제를 발생시켜 소수 중소기업이 시장을 독점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의 폭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품의 효용을 판단하는 역할은 국가가 아닌 소비자의 몫으로 남겨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프랜차이즈와 관련하여 이미 가맹사업법과 그리고 공정거래위원회의 모범거래기준 등의 시행으로 공정거래는 확보하고 있으므로 앞으로도 부족한 부분은 이들을 보완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으로 이중삼중으로 규제하는 것은 오히려 프랜차이즈 분야에 과도한 제한이 될 것이다. 이제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에서도 한국의 문화를 전파하는 세계적 프랜차이즈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기업의 성장 과정이나 배경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대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이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일은 없어야 한다. 프랜차이즈기업의 성장억제로 인하여 결국 가맹점의 매출감소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폐업하는 가맹점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가 대기업의 발목을 잡는 것이 아니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동반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대기업과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이 상생과 협력을 바탕으로 거래관계를 지속하는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Tyrosine Phenol-Lyase의 고속탐색기술 개발 및 방향성 분자진화 (High Throughput Screening and Directed Evolution of Tyrosine Phenol-Lyase)

  • 최수림;나유진;김도영;송재준;홍승표;성문희;이승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8-62
    • /
    • 2006
  • 티로신 및 방향족 아미노산 유도체의 생물학적 합성에 이용되는 유용 효소인 tyrosine phenol-lyase(TPL) 활성을 평판배지에서 정량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불투명 평판배지(turbid plate)의 제조과정은 먼저, 2 N염산과 DMSO로 조성된 공용매에 난용성 티로신을 400 mM 농도로 녹여서 배지에 가하고, 온도를 조절하여 니들형 티로신을 형성하도록 결정화를 유도하는 것이었다. 니들형 티로신은 일반적인 컬럼형에 비하여 약 $5{\sim}6$배 낮은 농도인 3.6g/L에서도 불투명 평판배지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효소활성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고, TPL활성의 고감도 고속탐색기술 개발에 적합하였다. 이 불투명 평판배지에 변이유발PCR법으로 제조한 TPL 라이브러리를 도말하고, 단일 콜로니 주변에서 형성되는 투명환의 크기와 실측한 TPL활성을 비교한 결과 직접적인 비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난용성 물질의 미세입자를 평판배지에서 직접 발생시킨 후, 효소활성에 의한 투명환의 형성을 정량 관찰하는 본 연구의 방법은 신규 고활성 TPL의 분리 및 방향성 분자진화 등을 위한 고속탐색기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