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practice management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33초

신선동결혈장의 적정수혈 분석 (Audit of Appropriateness of Fresh Frozen Plasma Transfusion)

  • 서유경;김문정;김신영;김현옥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6-144
    • /
    • 2012
  • 배경: 신선동결혈장은 응고인자의 보충을 위한 치료적 투여를 주된 목적으로 하지만, 실제로 적응증이 아닌 경우에도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방법: 년 2010년 7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년간 세브란스병원 혈액은행에서 출고된 신선동결혈장의 적정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기준은 2009년 대한수혈학회에서 발간한 수혈가이드라인과 세브란스병원의 수혈적정성 평가 전산시스템에 기초하였다. 결과: 신선동결혈장은 1년 간 총 1,949명에게 4,982회에 걸쳐 17,733단위가 출고되었고, 이 중 1,990회(총 건수의 39.9%)가 부적절 수혈로 평가되었다. 진료과별 사용 건수는 소화기내과 등의 내과 계열이 흉부외과나 일반외과 등의 외과 계열보다 많았다. 그러나 부적절 사용 비율은 외과 계열이 내과 계열보다 높았다. 질병분류별 사용건수와 이들의 부적절 사용 비율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종양, 소화 계통의 질병, 순환 계통의 질병군이 높은 사용 건수와 부적절 사용 비율을 보였다. 결론: 수혈의 적정성 유지를 위해서는 각 의료기관에서 수혈 적정성이 항상 평가되고, 그 결과를 임상의사들에게 정기적으로 피드백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신선동결혈장 수혈 적응증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현황 분석과 교내 실습 만족도 조사를 통한 방사선(학)과의 규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Regul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Status of Radiation Workers and Related Workers and Satisfaction Survey in the Radiology Department)

  • 정현서;이용기;안성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27-33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과 재학 중 교내 실습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과 방사선관계종사자 및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현황 등을 조사해 방사선(학)과에 대한 원자력안전법의 규제에 대한 실효성 및 타당성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방사선(학)과 재학 중 수시출입자로 지정되어 교내 실습 중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 및 조작하지 못한 종사자의 실습 만족도는 만족하지 못한다가 34.62%로 나타났다. 반면 재학 중 방사선작업종사자로 지정되거나 원자력안전법의 규제 이전에 재학하여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 및 조작한 종사자의 실습 만족도는 만족한다가 50%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기관의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연간 피폭선량은 0.05 mSv 이하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종사자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추이를 보면 방사선(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의료기관 중에서도 방사선관계종사자로 등록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하는 분야로 가장 많은 취업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원자력안전법의 규제를 완화하거나 의료법 및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등을 개정하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실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taurine and ginseng extracts on energy metabolism during exercise and their anti-fatigue properties in mice

  • Kim, Jisu;Beak, Suji;Ahn, Sanghyun;Moon, Byung Seok;Kim, Bom Sahn;Lee, Sang Ju;Oh, Seung Jun;Park, Hun-Young;Kwon, Seung Hae;Shin, Chul Ho;Lim, Kiwon;Lee, Kang P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1호
    • /
    • pp.33-45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Ginseng extract (GSE) and taurine (TR) are widely used antifatigue resources in functional foods. However,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fatigue effects of GSE and TR are still unclear. Hence, we investigated whether GSE and TR have synergistic effects against fatigue in mice. MATERIALS/METHODS: L6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R and GSE, an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2-(4-iod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 Oxidative stress was analyzed by immunocytochemistry using MitoTrackerTM Red FM and an anti-8-oxoguanine antibody. Respiratory gas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metabolism. Expression of an activated protein kinase was analyz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Gene expression of cluster of differentiation 36 and pyruvate dehydrogenase lipoamide kinase isozyme 4 was measur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TR, GSE, or their combination for 30 days, and then fatigue-related parameters, including lactate, blood urea nitrogen, and glycogen, were measured after forced swimming. RESULTS: TR and GSE reduced oxidative stress levels in hydrogen peroxide-stimulated L6 cells and enhanced the oxygen uptake and lipid metabolism in mice after acute exercis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R or GSE for 30 days, the fatigue-related parameters did not change in mice. However, the mice administered GSE (400 mg/kg/day) alone for 30 days could swim longer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Further, no synergistic effect was observed after the swimming exercise in mice treated with the TR and GSE combination for 30 days. CONCLUSIONS: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 that TR and GSE may exert antifatigue effects in mice after acute exercise by enhancing oxygen uptake and lipid oxidation.

우리나라 임상간호사의 당뇨병 지식 및 지식 확산도 조사연구 (Knowledge and Diffu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mong Clinical Nurses)

  • 홍명희;유주화;김순애;이정림;노나리;박정은;구미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3호
    • /
    • pp.61-74
    • /
    • 2009
  • Purpose: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t is important for clinical nurses to accept changes in diabetes knowledge and correct their approach immediately. This approach will also contribute to effective nursing practice.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and diffu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mong clinical nurses. It was conducted with nurses from 29 general hospitals in Korea from November 3 to December 5, 200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9 items and it was sent to the participants by mail. Of the 1,060 questionnaires returned, only 930 were valid for us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The average score for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was 0.67 out of 1.0. 2) The level of persua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veraged 0.64 out of 1.0 3) The level of practical applicat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veraged 1.05 out of 2.0, indicating that they applied their knowledge 'sometimes'. 4) The level of diffu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was 2.37 out of 4.0 and level was estimated as the stage of 'persuasion'.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according to experience in practical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ith a lower level of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have a lower level of persua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lower practical appli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nurses'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for areas in which knowledge level is low, such a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oral diabetes medication', and 'glucose control in special conditions'.

간호대학생의 의료 관련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이 표준주의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Medical-related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Infection Control Confidence on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 김수진;정현진;김수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12-82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료 관련 감염 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 표준주의 실행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표준주의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4일부터 10월 12일까지 G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표준주의 실행도는 감염예방 지식(r=.27, p<.001), 감염관리 자신감(r=.52, p<.0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염예방 지식은 감염관리 자신감((r=.27, p=01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관리 자신감(𝛽=0.45, p<.001), 피부 접촉 경험이 없는 경우(𝛽=0.18, p<.004), 감염예방 교육을 받은 경우(𝛽=-2.65, p<.009), 감염예방 지식(𝛽=0.15, p<.01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를 높이기 위하여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표준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4년제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 (4-year Cours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in Korea)

  • 이수영;황수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50
    • /
    • 2019
  •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social consensu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social environment,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technically useful subjects. We collected and reported the 4-year cours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when Korean dental hygiene education has continued over 50 years. Each 4-year course curriculum was collected by searching each university website, or requested by email. The curriculum of 23 among 27 schools was collec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dental hygiene in the dental hygienist national examination classification or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the subjects of the course were divided into clinical dental hygiene, clinical dental treatment support, basic dental hygiene, social and educational dental hygiene, and collected 23 curriculum courses. The average major curriculum was 104.9 credits and the average number of subjects in major courses was 34.3. The average subjects' number of clinical dental hygienic courses was 33.9 (37.5% of the total major credits), clinical dental treatment support was 30.6 (30.2% of the total major credits), basic dental hygiene was 21.8 (20.8% of the total major credits), and social and educational dental hygiene courses was 13.6 (13.0% of total major credits). Integrated subjects' name in clinical dental hygiene was used in all schools of the survey, such as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e),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integrated dental hygiene. There were 13 schools (56.5%) that use the integrated name in clinical dental treatment support, such as clinical dentistry. There were 14 schools (60.9%) to open dental clinic management, and 22 schools (95.7%) to ope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The basic dental hygiene curriculum maintained the title of each subject and social and educational dental hygien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most schools, such as community dental health, oral health statistics, and oral health education. Other subjects were English conversation in dental clinic (8 schools) education, clinical dental treatment support, basic science in dental hygiene, social and educational dental hygiene. We knew the clinical dental hygiene and clinical dental treatment support were changing into the integrated subjects, and most schools run dental hygiene research.

병원의 표준 혈액재고량 산출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Standard Blood Inventory Level Decision Rule in Hospitals)

  • 김병익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1호
    • /
    • pp.195-206
    • /
    • 1988
  • Two major issues of the blood bank management are quality assurance and inventory control. Recently, in Korea blood donation has gained popularity increasingly to allow considerabl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ssurance with respect to blood collection, transportation, storage, component preparation skills and hematological tests. Nevertheless the inventory control, the other issue of blood bank management, has been neglected so far. For the supply of blood by donation barely meets the demand, the blood bank policy on the inventory control has been 'the more the better.' The shortage itself by no means unnecessitate inventory control. In fact, in spite of shortage, no small amount of blood is outdated. The efficient blood inventory control makes it possible to economize the blood usage in the practice of state-of-the-art medical care. For the efficient blood inventory control in Korean hospitals, this tudy is to develop formulae forecasting the standard blood inventory level and suggest a set of policies improving the blood inventory control. For this study informations of $A^+$ whole bloods and packed cells inventory control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and the Central Blood Bank of the Korean Red Cross. Using this informations, 1,461 daily blood inventory records were formulated.48 varieties of blood inventory contro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elected combinations of 4 inventory control variables-crossmatch, transfusion, inhospital donation and age of bloods from external supply. In order to decide the optimal blood inventory level for each environment, simulation models were designed to calculate the measures of performance of each environment. After the decision of 48 optimal blood inventory leve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started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4 inventory control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optimal inventory level of each environment. Finally the standard blood inventory level decision rule was developed using the backward elimination procedure to select the best regression equation. And the effective alternatives of the issuing policy and crossmatch release period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measures of performance under the condition of the standard blood inventor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formulae to calculate the standard blood inventory level($S^*$)was $S^*=2.8617X(d)^{0.9342}$ where d is the mean daily crossmatch(demand) for a blood type. 2. The measures of performace - outdate rate, average period of storage, mean age of transfused bloods, and mean daily available inventory level - were improved after maintenance of the standard inventory level in comparison with the present system. 3. Issuing policy of First In-First Out(FIFO) decreased the outdate rate, while Last In-First Out(LIFO) decreased the mean age of transfused bloods. The decrease of the crossmatch release period reduced the outdate rate and the mean age of transfused bloods.

  • PDF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haracteristic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by Analyzing Cited Data)

  • 최형욱;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9-124
    • /
    • 2017
  • 여러 학문 분야에서 데이터의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다른 연구자의 데이터를 다시 연구에 사용하고 인용을 부여하는 관행이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톰슨로이터는 Data Citation Index(DCI)라는 데이터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2012년부터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DCI는 모든 학문의 전 영역에서 데이터의 인용 현황을 저널의 논문과 유사하게 집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인용이 활발한 사회학 분야의 인용된 연구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특성과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인용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의 지적구조와 비교하였으며,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고유한 지적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두 종류로 수집하였다. 첫째는 DCI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8,365건의 인용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둘째로, 논문 인용 분석과의 비교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Sociology'로 주제 검색을 수행하여 총 12,132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자키워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2영역 15군집으로 구성된 반면, 논문을 기반으로 한 사회학 분야는 3영역 17군집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지적구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논문 기반 사회학과 달리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는 의학 분야와의 활발한 접목을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공중보건과 심리학이 중심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특성화 방향에 대한 창의실용 융복합 교육과정을 위한 연구 - 일개 대학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Convergence Curriculum of Creative Practical Use of the Direction of Characterization of Healthcare - Centred on a University -)

  • 최은미;권이승;박영술;정용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83-295
    • /
    • 2018
  • 본 연구는 보건산업체 현장 수요와 창의실용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교육과정의 상호연계로 실제 교육의 특성화방향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월 9일부터 5월 1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의료경영 특성화 일 지정대학의 현장실습기관 현장 실무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98부를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은 Cronbach 알파계수로 조사하였고, 연구내용은 주로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은 카이검정, 분산분석과 T 검정을 적용하였다. Cronbach 알파계수는 0.891로 신뢰성이 있었다. 분산분석, T 검정 및 카이검정에서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의료기관에서 바람직한 인재상은 실천적 전문인 35%, 융합적 지식인 22% 등 순이고, 실무자 요구 교육방향은 창의실용성, 의료정책(58%) 및 의료정보기반(15%) 등이다. 2018년 5월 현재 전국 약 140여개 대학의료경영계열학과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며, 향후 전국 단위의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의 생산성 격차 비교 (The Comparison of Productivity Change Gap of Public Hospitals and Private Hospitals in Korea)

  • 양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203-215
    • /
    • 2013
  • 본 연구는 대한병원협회의 경영실적 통계자료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공공종합병원과 민간종합병원의 패널자료를 추출하여 공공종합병원과 민간종합병원의 부트스트랩 메타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산출하고 이 지수를 분해하여 생산성 변화와 생산성 격차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병원그룹의 메타효율성이 민간병원그룹에 비해 높으나 기술격차비율은 민간병원그룹이 공공병원그룹에 비해 높으며 프론티어에 가장 가까워 민간병원그룹의 소수 대형종합병원이 전체 종합병원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그룹별 생산성 증가는 민간병원그룹이 공공병원그룹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프론티어의 이동효과($FCU^k$)보다는 기술추격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민간병원그룹과 공공병원그룹 간 기술효율성, 생산성 변화와 생산성 격차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공병원이 환자 진료실적 측면에서 민간병원 수준의 기술효율성과 생산성 변화 및 생산성 격차를 보임에 따라 공공병원이 환자진료실적 측면에서 공공병원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재정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공공병원이 선두적인 민간병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의료기술과 경영기술을 습득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