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laboratory science

검색결과 1,738건 처리시간 0.031초

스쿼트운동장치의 풋플레이트 구조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al Analysis Simulation for Squat Exercise Foot Plate)

  • 정병균;김지원;정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365-372
    • /
    • 2017
  • 스쿼트운동은 운동방법과 자세에 대한 이론적 근거 및 동작에 대한 기준 확립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프리웨이트운동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운동에 의한 부작용과 그에 대한 과학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와 운동모형의 개발 또한 필요하다. 스쿼트운동을 위한 풋플레이트를 설계하기 위한 구조해석의 주안점은 동적 거동을 단순화하여 구분 동작으로 모델링을 수행한다. 모델링을 기반으로 설계된 풋플레이트 바닥면에 위치한 로드셀의 한계 하중으로 인한 구조적 안전성 여부를 변형율과 응력의 크기를 산출함으로써 구조의 안정성과 이로 인한 운동기구의 설계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스쿼트운동에 따른 세그먼트별 모델링과 지면반발력에 대응한 역학적 시뮬레이션 분석, 그리고 하중해석을 통한 운동역학분석의 결과를 통해 프리웨이트운동을 지원하는 운동보조장치, VR, 등의 기구에 적용하여 관련 시스템설계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쿼트운동 기구에 활용되는 풋플레이트의 설계 시에 인가되는 수직하중분포에 대한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운동보조기구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기술을 제시하였다.

한의학술논문검색시스템 기능개선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Requirement Analysis for Improvement of OASIS)

  • 한정민;배순희;송미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3호
    • /
    • pp.79-97
    • /
    • 2009
  • 많은 검색엔진의 개발과 웹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키워드 검색에서 검색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맨틱 검색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런 흐름에 맞추어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의학술논문시스템(오아시스)의 개선도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아시스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회원을 대상으로 소속이나 지위, 경력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분석과 오아시스의 편리성 및 제공되는 논문의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아시스의 개선해야 할 방향으로 한의학연구를 위해 분야별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 한자 위주의 검색어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동화검색이 필요하며 키워드 검색방식을 탈피하고 동음이의어를 판별할 수 있는 전거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고문헌 인용지수 정보와 관련기관의 임상정보와의 연계 필요성 및 Open API를 이용한 해외 주요 사이트와의 연계검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오아시스는 한의학술논문을 서비스하는 국내 유일의 사이트인 만큼 한의계의 요구를 충분히 분석하고 검색의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한의학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Role for Ginseng in the Control of Postprandial Glycemia and Type 2 Diabetes

  • Vuksan Vladimir;Sievenpiper John L;Xu Zheng;Zdravkovic Uljana Beljan;Jenkins Alexandra L;Arnason John T;Bateman Ryon M.;Leiter Lawrence A;Josse Robert G;Francis Thomas;Stavro Mark P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9
    • /
    • 2002
  • The use of herbals has increased considerably while their efficacy and safety remain untested. This unsupported surge in demand has prompted a call for their clinical evaluation. One area in which evaluations are emerging is ginseng and diabetes. Growing evidence is accumulating from in vitro and animal models indicating that various ginseng species, American (Panax quinquefolius L), Asian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Red, San-chi (Panax notoginseng [Burk.] P.R. Chen), and the non-panax species Siberian (Eleutherococcus senticossus) ginsing, and their fractions, saponins (ginsenosides) and peptidoglycans (panaxans for panax species and eleutehrans for Siberian ginseng), might affect carbohydrate metabolism and related signaling molecules. Recent human studies from our laboratory have also shown a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American ginseng (AG) and some other ginseng spices postprandially after acute administration and chronically after administration for 8-weeks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Although generally encouraging, these data only indicate a need for more evaluations of ginsengs safety and efficacy. Because of poor industry standardization, it is not known whether all ginsengs will affect blood glucose. In this regards some ginseng batches have demonstrated null effects while others have even raised postprandial glycemia. Clinical research should therefore focus on components involved in its glucose lowering effects.

  • PDF

중소의료기관의 외부정도관리 시행과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Relevant Factors and External Quality Assessment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

  • 김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94-299
    • /
    • 2019
  • 국내 의료기관은 임상 검사의 질 향상을 위하여 외부 정도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일차 의료기관의 경우 기관장의 인식부족 및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미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임상 화학 분야 외부정도관리를 시행하고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외부정도관리 결과와 비교해 보며, 정도관리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중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3년간 년 1회 임상화학 분야 21개 종목의 외부 정도관리를 실시하고 항목별 분석방법, 변이계수, 의료기관의 특성에 따른 이상치를 분석하였다. 검사 항목별 분석 방법 및 변이 계수는 3년간 특이적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중소 의료기관은 임상화학 검사의 분석방법이 다양하고 변이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도관리에 영향을 주는 이상치(poor value)와 같은 오류 발생은 외부 정도관리를 실시하지 않을수록(p<0.05), 내부 정도관리의 주기가 매일 이루어지지 않을수록(p<0.01), 검사 량이 적은 의료기관 일수록(p<0.01)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중소 의료기관의 외부 정도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과 중소 의료기관 종사자를 위한 맞춤식 교육이 필요하다 하겠다.

유방암 방사선 치료 환자의 심리의 체계적 분석 (Psychological Systematic Consideration of Breast Cancer Radiotherapy)

  • 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29-635
    • /
    • 2019
  • 유방암 환자의 사회 심리적 적응 영향 요인을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 후의 삶의 질 변화를 체계적 메타분석한 결과 방사선 치료시 삶의 질은 치료직후에 가장 낮았고 종료 후에는 점점 상승하고 있지만 종료 6개월 후에도 치료 전의 삶의 질 만큼 회복 되지 않았다. 우울증과 부작용은 치료 직후 가장 높았으며 치료 종료 후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수술요법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심리 사회적 적응이 높았으며 검진과 보험가입이 있을 경우 심리 사회적 적응이 좋았다. 항암 화학요법의 경우 인지기능에 영향을 받아 기억력, 학습, 사고 등의 단계에서 장해를 받고 있으며 주관적 인지장애와 우울은 연관성이 있어서, 항암요법환자의 우울증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본 체계적 메타연구 결과 유방암환자의 3가지 치료법(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암요법)을 시행 할 때 간호분야와 방사선 치료분야는 이러한 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 우울, 불안, 삶의 질의 경향을 인지하여 전인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중재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로바이러스 및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역학 및 기후요인과의 관계: 천안시, 2010-2019 (Molecular epidemiologic trends of norovirus and rotavirus infection and relation with climate factors: Cheonan, Korea, 2010-2019)

  • 오은주;김장묵;김재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25-434
    • /
    • 2020
  •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설사는 전 세계적으로 공중 보건의 주요 문제이며 사망률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기후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사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인 Rotavirus Gr.A, Norovirus G-I & GII의 감염과 기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조기진단과 치료를 용이하게 하고 계절성 질환을 더욱 관리하고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단국대학교 병원에서 시행한 대변 시료 4,009개의 설사바이러스 6종의 멀티플렉스 역전사 PCR(mRT-PCR)검사결과와 다양한 기후 요인 중 체감온도, 상대습도, 일조율과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4,009 개의 대변 샘플 중 985 개는 Rotavirus Gr.A, Norovirus G-I & GII 감염에 대해 양성이었다. 이 985 건 중 95.3 % (n = 939)는 10 세 미만으로 Rotavirus Gr.A, Norovirus G-I & GII는 10 세 미만 환자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우리는 기상 빅데이터와 연령, 시기별 감염분석 등에 기초하여 Rotavirus Gr.A의 감염이 상대 습도에 따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Norovirus G-II의 감염은 체감 온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요인에 따른 Rotavirus Gr.A, Norovirus G-I & GII 감염의 분포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바이러스성 설사질환과 관련된 보건정책의 설정이나 계절적 영향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Short-Term Outcomes of Laparoscopic Proximal Gastrectomy With Double-Tract Reconstruction Versus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for Upper Early Gastric Cancer: A KLASS 05 Randomized Clinical Trial

  • Hwang, Sun-Hwi;Park, Do Joong;Kim, Hyung-Ho;Hyung, Woo Jin;Hur, Hoon;Yang, Han-Kwang;Lee, Hyuk-Joon;Kim, Hyoung-Il;Kong, Seong-Ho;Kim, Young Woo;Lee, Han Hong;Kim, Beom Su;Park, Young-Kyu;Lee, Young-Joon;Ahn, Sang-Hoon;Lee, In-Seob;Suh, Yun-Suhk;Park, Ji-Ho;Ahn, Soyeon;Han, Sang-U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2호
    • /
    • pp.94-106
    • /
    • 2022
  • Purpose: Laparoscopic proximal gastrectomy with double-tract reconstruction (LPG-DTR) is a function-preserving procedure performed for treating upper early gastric cancer (EGC).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outcomes of LPG-DTR with those of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 (LTG).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short-term outcomes of LPG-DTR between LTG and upper EGC. Materials and Methods: For upper-third EGC, a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was performed to compare those who underwent LPG-DTR with those who underwent LTG. Short-term outcomes, including clinicopathologic results, morbidity, mortality, and postoperative courses, were evaluated using a full analysis set based on the intention-to-treat principle and the per-protocol set. Results: Of the patients, 138 who fulfilled the criteria were randomized to each group. One patient in the LPG-DTR group withdrew consent. Sixty-eight patients underwent LPG-DTR and 69 underwent LTG. The operative time (LPG-DTR=219.4 minutes; LTG=201.8 minutes; P=0.085), estimated blood loss (LPG-DTR=76.0 mL; LTG=66.1 mL; P=0.413), and the morbidity rate (LPG-DTR=23.5%; LTG=17.4%; P=0.373) between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o mortality occurred in either of the study groups. Two weeks post operation, the Visick scores for postprandial symptoms, including reflux sympto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749). Laboratory findings on postoperative day 5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short-term outcomes of LPG-DTR for upper EGC were comparable to those of LTG.

근감소증에 대한 한의 치료 연구 동향: 스코핑 리뷰 (Research Trends i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Sarcopenia: Scoping Review)

  • 김서은;한윤희;최승관;조정호;우현준;전병현;하원배;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97-11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sarcopenia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Korean medicine research on sarcopenia.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rksey and O'Malley's scoping review methodology. It included three international databases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and five domestic database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Medical databas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 Integrated Syste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ScienceON) were used. Literatures published until April 30, 2023, including the contents of 'sarcopenia' and Korean Medicine treatment', were searched. Results A total of 45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number of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sarcopenia is steadily increasing, with the majority of studies coming from Asian countries. Of the 45 studies, 30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medicine, and the study design was analyzed into 10 clinical studies and 35 non-clinical studies. Among the 10 clinical studies, the most common treatment interventions were herbs (n=4), followed by Daoist exercises (n=3). The most common diagnostic criteria used in clinical studies were those published by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and various physical examinations and laboratory tests were used as outcome measures. Conclusions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edicine research on sarcopenia should be to expand the number of clinical studies apply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interventions.

포착신경병증의 약침치료에 대한 국내 임상 연구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Domestic Clinical Research Trend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Nerve Entrapment Syndroeme: A Scoping Review)

  • 이원형;우현준;한윤희;최승관;조정호;전병현;하원배;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44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research trend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in nerve entrapment syndrome, identify specific techniques, identify which pharmacopuncture are used,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ve steps suggested by Arksey and O'Malley. We searched five domestic databas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Science ON, and KMBASE) and identified studies with key search terms like "nerve entrapment" And "pharmacopuncture" until June 23, 2023. Results Twenty-nine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mong them, 25 papers were non-comparative studies (86.2%). The most common disease was carpal tube syndrome (n=10). All the investigated studies were treated by injecting pharmacopuncture into the pathway of the entraped nerve. The depth of pharmacopuncture injection was mentioned only in 13 studies. As for the pharmacopuncture used, sweet bee venom was 8 studies and bee venom was 6 studies, and about half of the pharmacopuncture manufactured with Bee venom as the main component accounted for. Conclusions This study is a scoping review of the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nerve entrapment, which was first conducted in Korea. The treatment is mainly performed on the path way of the entraped nerve. After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tandardization of the specific technique method of pharmacopuncture and the uniformity of evaluation criteria.

Cigarette Smoke Extract-Treated Mouse Airway Epithelial Cells-Derived Exosomal LncRNA MEG3 Promotes M1 Macrophage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y Upregulating TREM-1 via m6A Methylation

  • Lijing Wang;Qiao Yu;Jian Xiao;Qiong Chen;Min Fang;Hongjun Zhao
    • IMMUNE NETWORK
    • /
    • 제24권2호
    • /
    • pp.3.1-3.23
    • /
    • 2024
  • Cigarette smoke extract (CSE)-treated mouse airway epithelial cells (MAECs)-derived exosomes accelerate the progres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by upregulating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TREM-1); however, the specific mechanism remains unclear. We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s of CSE-treated MAECs-derived exosomes on M1 macrophage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COPD. In vitro, exosomes were extracted from CSE-treated MAECs, followed by co-culture with macrophages. In vivo, mice exposed to cigarette smoke (CS) to induce COPD, followed by injection or/and intranasal instillation with oe-TREM-1 lentivirus. Lung function and pathological changes were evaluated. CD68+ cell number and the levels of iNOS, TNF-α, IL-1β (M1 macrophage marker), and pyroptosis-related proteins (NOD-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apoptosis-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1 recruitment domain, caspase-1, cleaved-caspase-1, gasdermin D [GSDMD], and GSDMD-N) were examined. The expression of maternally expressed gene 3 (MEG3), 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methyltransferase 3 (METTL3), and TREM-1 was detected and the binding relationships among them were verified. MEG3 increased N6-methyladenosine methylation of TREM-1 by recruiting SPI1 to activate METTL3. Overexpression of TREM-1 or METTL3 negated the alleviative effects of MEG3 inhibition on M1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mice exposed to CS, EXO-CSE further aggravated lung injury, M1 polarization, and pyroptosis, which were reversed by MEG3 inhibition. TREM-1 overexpression negated the palliative effects of MEG3 inhibition on COPD mouse lung injury. Collectively, CSE-treated MAECs-derived exosomal long non-coding RNA MEG3 may expedite M1 macrophage polarization and pyroptosis in COPD via the SPI1/METTL3/TREM-1 ax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