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Information

검색결과 8,794건 처리시간 0.035초

119구급대원에게 시행한 일개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직접의료지도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direct medical control conducted to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 서하얀;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43
    • /
    • 2012
  • Purpose :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medical contro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mproving factor of pre-hospital medical treatment. Method : A total of 749 records of direct medical control were collected from 119 EMTs i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of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from March 1, 2010 to February 28, 2011. Results : The 119 EMTs should record the level of qualification of EMT and general patient history taking precisely when they receive direct medical controls. The doctors should take medical controls within the task range of qualification of EMTs.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medical direction and protocol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The quality improvement of pre-hospital emergency services will be possible by the guideline and protocol.

전자의무기록(EMR)의 활용과 환자정보보호 (EMR System and Patient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 전영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3-22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st successful way for the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focusing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In this study, every aspect of the EMR is reviewed in terms of the hospital management. In particular, definitions, major function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MR are considere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general development of the EMR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applying the EMR.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protec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informed consent, and the customer-orient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re discussed and interpreted in light of the introduction of the EMR into the area of the hospital management. Finally, in this paper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by major Issues on Patient medical information.

환자 의료정보 접근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uthentication Service Model Based Context-Awareness for Accessing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 함규성;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99-107
    • /
    • 2021
  • 최근 유비쿼터스 기반의 의료 및 헬스케어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상황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의료정보시스템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식 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에서는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상황을 정상 또는 응급으로 판별이 가능하며, 또한 의료진은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ID와 Password를 이용한 간단한 사용자인증이후 환자정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인증서비스 및 환자정보접근서비스는 의료진 중심의 시스템이며, 유비쿼터스 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해 기존 의료진 중심의 인증과는 달리 상황정보 중심의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은 센서들을 통해 환자상황을 인식하여 환자상황에 의하여 의료진의 인증방식 및 권한부여를 다르게 진행하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상황정보 측정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웨어러블 및 생체데이터측정모듈, 카메라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환자상황이 응급상황일 경우, 의료정보서버는 담당의료진의 스마트기기에 응급메시지를 전송하고, 응급메시지를 받은 담당의료진은 환자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증을 시도한다. 모든 인증이 완료되면 의료진은 상위등급 의료정보 접근권한을 부여받아 정상상황에서 볼 수 없었던 환자 의료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할 뿐만 아니라, 환자중심의 시스템적인 보안 및 접근투명성을 강화하였다.

Image-Centric Integrated Data Model of Medical Information by Diseases: Two Case Studies for AMI and Ischemic Stroke

  • Lee, Meeyeon;Park, Ye-Seul;Lee, Jung-W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741-753
    • /
    • 2016
  • In the medical fields,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nd improv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inclu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However, materials generated and used in medical fields have various types and forms. The current HISs separately store and manage them by different systems, even though they relate to each other and contain redundant data. These systems are not helpful particularly in emergency where medical experts cannot check all of clinical materials in the golden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cess to build an integrated data model for medical information currently stored in various HISs. The proposed data model integrates vast information by focusing on medical images since they are most important material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Moreover, the model is disease-specific to consider that medical information and clinical materials including images are different by diseases. Two case studies show the feasibility and the usefulness of our proposed data model by building models about two disease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and ischemic stroke.

Effects of Medical O2O Platform Quality Componen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o Information Distribution

  • MYUNG, Ju-Dong;KIM, Bo-Yo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05-117
    • /
    • 2022
  • Purpose: The digital healthcare business is rapidly grow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medical service platform business based on smartphone apps is globally expanding. This study targeted medical information online to offline (O2O) platform users in the medical service field. It verified the effect relationship revealed i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the platform with the mediation of platform quality components, namely perceived benefits, flow experience, and use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ee medical information O2O platform quality components, namely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were defined.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359 leading medical information O2O platform users in Kore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ith the mediation of perceived benefits and flow experience. Meanwhile, information quality had a negative effect (-) on perceived benefits and flow experience and did not affect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Conclusions: Consequently, it was ascertained that the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ffecting user behavior and experience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than information quality to medical information O2O platform users from the medical service aspect.

효과적인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HL7 기반의 XML 저장소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XML Repository Based on HL7 for Efficiently Sharing Medical Information)

  • 고영승;김수홍;주경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10
    • /
    • 2004
  • 현재 거의 대부분의 병원들은 각각 독자적인 의료정보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렇게 구축된 의료정보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호 간에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찬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며 HL7을 기반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위에 EJB 컴포넌트들을 작성$.$조립하여, 환자들에 대한 의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XML 저장소(REPOMI : An XML Repository for Medical Information)를 개발하였다. REPOMI를 이용하면 환자들에 대한 의료정보의 정확한 교환 및 공유가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개인 병원과 종합병원 간에도 효율적인 의료정보 교환이 가능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의료기관들은 환자들에게 시간과 비용면에서 더욱 효율적인 진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모바일 환경에서 의료 정보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서명 (Digital Signature Considering the Medical Information Property on Mobile Environment)

  • 김용국;이윤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74-379
    • /
    • 2005
  • 의료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집적되고 다수의 연구자 혹은 의료인에 의해 무작위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중대한 침해가 될 수 있다. 의료 정보 서비스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통합의료 정보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이고 전체적 및 부분적으로 정보 보안의 요구는 필연적으로 대두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 정보 시스템에서 보안 위협 요소를 고찰하고 PDA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의료 정보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된 모델을 중심으로 처방전 전자 서명 관리에 중심을 둔 보안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의료진의 책임 있는 처방을 유도하며, 신뢰성 있는 의료시스템의 구성, 의료 분쟁 발생 시 적절한 데이터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HL7 기반 표준화된 헬스케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ardized Healthcare System based on HL7)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56-664
    • /
    • 2013
  • U-healthcare 시스템은 예방, 진단, 의료관리 등 현재 다양한 의료서비스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병원, 의료센터 등에서 이러한 의료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의료정보 표준인 HL7은 현재 표준화된 의료정보 명세로 지원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HL7을 의료정보표준화와 효율적인 의료정보활용을 위해 연구, 분석하였으며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u-Healthcare 서비스 환경에서의 통합의료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Implementation for the u-Healthcare Service Environment)

  • 석윤영;김석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7
    • /
    • 2014
  • 최근 병원은 ICT기술을 접목한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허브병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병원의 정보화를 통하여 직무능력을 향상하고 경영자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통하여 고도화된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정보와 진료정보의 신속한 조회로 진료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통합의료정보시스템에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시스템과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시스템을 연동하여 최적화된 맞춤형 모바일 헬스케어 진료환경을 설계하여 환자의 치료 및 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의료시스템을 연구하였다.

RFID와 HL7을 이용한 응급 의료 정보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FI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REMIS))

  • 홍규석;황성오;이현숙;윤영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03-712
    • /
    • 2007
  • In this paper, we designed th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REMIS). This REMIS offers the emergency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using RFID and HL7(Health Level 7)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emergency situation as like coma, if the communication, from the patient's current location to the hospital, is possible, REMIS offer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rough REMIS server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the state of communication blocked, REMIS can offer the patient identification 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through RFID tag, which the patient wear,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hen this system was designed, the protection of th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and their privacy was considered, and the HL7 was used to be compatible with another medical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REMIS was designed that it is always possible to offer the emergency patient's information to 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regardless of any communication status and to improve the emergency rescue process,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