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ng Effect

검색결과 4,298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 박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9-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유연성을 제외한 계획된 우연기술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강화를 위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지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the Use of Smart Media on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Guidance on Smart Media Usage)

  • 김은지;전귀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3-2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mart media usage in regards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guidance on smart media usage. The study surveyed 273 preschoolers' mothers who lived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media usage time in regards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maternal active mediation and monitor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mart media usage time and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Third, there was a maternal co-us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on language development. In conclusion,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tion tendency mediated the effect of smart media usage time o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mong the mediation pathways,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on language development was moderated by maternal co-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guidance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examined preschoolers' and maternal smart media-related variables on preschooler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hat can be used to explore the maternal guidance on how to use smart media for their preschool children.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조성희;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05-61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J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1,07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의 참여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정신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silience : The Mediation Effect of Mentalization)

  • 고미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39-34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리서치 회사에 설문을 의뢰하여 총 468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회복탄력성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회피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불안정 성인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재확인하였으며, 이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정신화의 역할 또한 확인하였다.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DL and IADL on the Depression of the Older-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elder abuse -)

  • 배진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353-368
    • /
    • 2009
  • 노인 인구 집단 내에서도 더 큰 증가폭을 보이고 있는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과 사회활동 참여, 노인학대,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전라북도 14개 시군에 거주하고 있는 75세 이상 고령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면접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603부로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노인의 우울 정도는 37.2%가 증등도 이상의 우울로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다. 둘째, 노인의 일상생활기능은 우울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활동참여 정도는 일상생활기능과 우울 사이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학대 정도는 일상생활기능과 우울 사이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경남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Focus on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Gyeongnam Region -)

  • 심미영;황순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3호
    • /
    • pp.1-17
    • /
    • 2013
  • This study focused on adolescents who are studying in middle schools of the Gyeongnam region, aims to provide methods for improving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rough the enhancement of family strength. It will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school adjustment. The summarization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social support demonstrated that family strength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That is, as family strength was higher, social support increased. Secon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school adjustment show that family strength would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hich is positive. Where family strength was higher,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as also higher. Third,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when controlling family strength demonstrate that social suppor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however, family strength did not predict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justment was identified. In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family strength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ut not a direct effect. Therefore, it is indicated that indirect intervention through the social support system as well as direct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s requir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would be more important variables than control variable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family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e recognition that the responsibility in adjusting to school is the common role of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y going beyond the individual responsibility of adolescents is needed.

  • PDF

Impact of Logistics 4.0 Technology Adoption on Logistics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Firm Size

  • Young-Min Kim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5호
    • /
    • pp.63-90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companies' Logistics 4.0 technology adoption with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and logistics performance,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firm size through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Design/methodology -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 related to Industry 4.0, Logistics 4.0, logistics technology, logistics performance, and firm siz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of logistics compani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Findings - The adoption of Logistics 4.0 technology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and logistics performance.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logistics performance. Moreover,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4.0 technology adoption and logistics performance. The moderation effect based on firm siz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and logistics performance, but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Logistics 4.0 technology adoption with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and logistics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logistics innovation capability, the moderation effect of firm size,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firm size, which were not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글로벌기업의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lan Culture on Market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 Focusing of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 김혁영;김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71-280
    • /
    • 2020
  •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촉진자, 선도자, 생산자, 지시자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집단형 문화, 여성리더 특성, 합리형 문화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촉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여성리더의 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촉진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선도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을 적용한 경로당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enior Center Applying Andersen and Newman's Behavior Model: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User Satisfaction)

  • 김정근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291-309
    • /
    • 2020
  •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1973)의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용자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만족도 향상 및 경로당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지역 2,283개소 경로당 이용 노인 578명이다. 연구결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연령, 가능성 요인 중 경로당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1주일간 경로당 총 이용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욕구요인 중 주관적 건강상태로 분석되었다. 이용자 만족도 매개효과 검증 결과, 연령과 경로당 총 이용기간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 성별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완전 매개효과, 연령과 1주일간 경로당 이용일 수 사이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목적과 주요 결과에 따라 경로당 이용자 만족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경로당 유형 및 지역적 환경에 따라 경로당을 특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경로당 운영비 지원 기준 개선과 인상이 필요하다.

교사의 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 이상수;김대현;송연주;오정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82-39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bserv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For the study, a survey about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was conducted on 91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at Busan and Ulsan.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s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shown b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eacher's resilience is the variabl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 is more important variables. Therefore, it suggests to establish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