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l meniscu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4초

반월상연골 화살을 이용한 반월상연골 봉합술 (Meniscal Repair with Meniscal Arrows)

  • 김정만;오인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4-130
    • /
    • 2002
  • 목적:반월상연골변연부파열을반월상연골화살로고정하였으며그치료결과를분석하였다 .대상및방법: 반월상연골변연부파열25예로서내측이18예, 외측이6예, 양측이1예였다. 전예후방1/2 부위의파열이었으며, 각각의예마다화살을1개내지6개를삽입하였다. 전방십자인대동반파열이 14예( 56.0$\%$ )였다. 추시기간은평균3.4년이었다. 결과는이학적검사와수술후1 $\~$ 5년사이에1 $\~$ 2회시행한자기공명영상소견으로판정하였다. 결과:전예에서반월상연골파열의치유를얻었으나, 2예에서화살삽입선을따라종파열이발생하였고, 2예에서화살의피하이동으로동통을호소하였으며제거후쾌유되었다. 결론:화살이파열의치유에는효과적이었다. 다만나란히가깝게화살을많이삽입하면삽입구선을따라종파열이발생할가능성이있으며, 화살의피하이동도주의를요한다.

  • PDF

슬관절 관절경 검사 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Ultrasonographic Utility for Arthroscopic Examination of Knee)

  • 변기용;이광진;김경천;김동규;김보건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3
    • /
    • 2009
  • 목적: 슬관절 이상 시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를 하지 않고,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 후 이상소견 발견 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상 이상 소견과 실제 병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관절경 시술을 받았던 환자 중 류마티스 관절염 이나 패혈성 관절염과 인대 손상이 의심 되는 환자는 제외하고 시술 전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4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 후 초음파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에 대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관절경 검사 상 이상소견 발견 시에는 이에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시 전례에서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에 삼출액(effusion)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그 외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1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6례, 낭종소견 2례였다. 관절경 검사 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14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20례, 연골손상 15례였고, 내측 활액막 추벽 9례, 관절 내 유리체 2례, 연골 연화증 5례, 낭종 2례, 활액막염 2례였다. 초음파 검사상 슬개상 주머니에서 삼출액 소견이 있을 경우, 어떤 병변이든지 실제 슬관절 병변이 있을 확률은 100% 이었고, 초음파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90.9%,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 시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81.2% 이며 낭종 소견은 100%에서 정확도가 있었다. 결론: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는 관절경 시술을 시행하기 전에 관절 내 병변 의심 시 시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 PDF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 단독과 근위 경골 절골술 동반 수술의 결과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with or without high tibial osteotomy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tear)

  • 문재영;선종근;송은규;김형순;임지현;조현종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0-36
    • /
    • 2012
  • 목적: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 중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 결과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circ}$ 이상 내반 변형과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을 지닌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30명에 대해서는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2명에 대해서는 반월 연골판 절제술만 시행하였었다. 평균 추시 시간은 52.5개월 (36.0~76.6)이었다. 최종 추시 상 두 군간에 수술 전 증상의 소실 유무, 수술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및 HSS 점수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증상의 호전은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의의있게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66.7%, 8예)보다 호전을 보였다. 환자 만족도 역시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반월상부분 절제술만 시행한 군(58.3%, 7예)보다 의의있게 높게 나타났다. HSS 점수는 근위 경골 절골술을 같이 시행한 군은 술 전 56.9점에서 술 후 90.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 전 67.9점에서 술 후 89.0점으로 향상되었으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WOMAC 점수 역시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에 있어서 두 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내반 변형을 지닌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의 치료에 있어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해서는 근위 경골절골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염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의 임상적 결과 - 내측과 외측 및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른 비교 - (The Clinical Results of Meniscus Allograft Transplantation - Comparison between medial, Lateral, Isolated and Combined Procedure Groups -)

  • 조승목;윤경호;이정환;배대경;송상준;강창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33
    • /
    • 2009
  •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의 결과를 내측과 외측 및 동반손상 유무에 따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하고 1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5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이식군은 19례, 외측 이식군은 33례였고, 단독 손상군은 18례 동반 손상군은 34례였다. 평균나이는 34.2세(18세~51세) 평균 추시기간은 42.2개월(12개월~90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의 판정을 위하여 슬관절 운동범위, VAS 점수, IKDC 주관적 평가 점수, Lysholm 점수, Tegner 점수, 환자 만족도 및 이차 관절경 또는 추시 MRI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관절운동 범위는 130.3도 였다. VAS 점수는 수술 전 5.96점에서 3.05점으로, IKDC 주관적 평가 점수 46.5점에서 64.52점으로(p<0.001), Lysholm 점수는 61.94점에서 79.58점으로(p=0.0019) Tegner점수는 수술 전 2.97에서 3.62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수술의 만족도는 '매우만족', '대체로 만족'이라고 대답한경우가 61.5% 였다. 수술 후임상적 점수의 향상이 있었지만 내측과 외측 이식술 군간 그리고 단독 손상군과 동반 손상군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차 관절경을 시행한 18례중 10례에서 이식된 동종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의 치유 소견이 관찰되었고 6례에서 부분파열이 2례에서는 복합 파열이 관찰되었다. 추시 MRI 촬영이 가능하였던 16례에서 아탈구는 12례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내측과 외측 이식군 간의 임상적 결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동반된 연골 손상이나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 경우 동반손상의 유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Osteochondral allograft transplantation for treating medial femoral condyle subchondral bone cyst in a 14-year-old standardbred horse: a case report

  • Zsofia Pal;Gabor Bod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31.1-31.6
    • /
    • 2023
  • Allograft arthroplasty is a promising cartilage-resurfacing technique. A 14-year-old horse was diagnosed with a medial femoral condyle subchondral bone cyst. Allografts were harvested from a young donor animal and implanted to fill the cyst cavity. A visual assessment of the surgical site was possible during follow-up arthroscopy. In addition to a desirable gliding surface and a good adaptation of the grafts, fibrillation of the cranial ligament of the medial meniscus was noted and debrided. The recipient horse became sound four months after follow-up surgery with a high level of owner satisfaction. In conclusion allograft transplantation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treating subchondral bone cysts.

대퇴 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 -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 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단순 방사선 소견 - (Femoral Condyle Cut-off Sign - New Indirect Sign of Radiologic Finding in Knee with Discoid Lateral Meniscus -)

  • 하철원;성기선;박재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5-219
    • /
    • 2003
  • 목적 :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판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방사선 소견인 대퇴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 이의 진단적 의의를 특이도, 민감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관절경 시술로 확진 된 50예의 완전 원판형 연골군과 50예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unnel view에서 보이는 대퇴 외과와 내과의 내측부의 최장 길이를 측정하여 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원판형 연골군에서 대퇴 내과부 길이와 외과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0.716 이였으며, 정상 대조군에서는 0.902 이었다. 이를 T-test로 분석했을 때, t-value는 -11.13 (p<0.0001)로 두 군간에 매 우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경계값(cut point)을 0.8로 하여 chi-square test로 분석했을 때 통계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감도 $76\%$, 특이도 $100\%$였으며, 양성 예측도 $100\%$, 음성 예측도 $80.6\%$로 나타났다. 절삭 징후는 육안적으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진단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간접적인 소견이라고 생각한다. 결론 : 대퇴 외과 절삭 징후는 단순 방사선 검사의 Tunnel view에서 원판형 연골을 진단할 수 있는 좋은 방사선 소견이며, $100\%$의 특이도와 $100\%$의 양성 예측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진단소견으로 판단된다.

  • PDF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Combined with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in a Dog with Medial Patellar Luxation and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 Kim, Ji-hye;Park, Jiyoung;Jeong, Seong Mok;Lee, Hae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66-369
    • /
    • 2017
  • A 30 kg, 6-year-old spayed female Samoyed dog was referred with a history of intermittent weight-bearing lameness in her right hindlimb for 3 weeks. The patient hadsurgery to correct a medial patellar luxation in the same limb 3 years prior. Based on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findings, MPL and CCLR of the right hindlimb were diagnosed. Pre-surgical arthroscopy examination was performed, revealing a complete rupture of the cranial cruciate ligament, medial caudal meniscal tears and fibrotic cartilagechanges on the trochlear groove. An arthroscopy-assisted partial meniscectomy was used to repair themedial caudal meniscus. To correct the tibial plateau angle and medial patellar luxation, a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TPLO) was performed. A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TTT) was performed to realignthe quadriceps mechanism with the trochlear block recession followed by soft tissue reconstruction. The post-surgical recovery was uneventful, and the patient was weight-bearing with normal ambulation on the repaired limb.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nd the implants were well positioned at the last follow-up. The clinical outcome of the caseindicates that combining TPLO with TTTis a good surgical option for treatingconcurrent CCLR and MPL.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 (Mid to Long - Term Results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전철홍;권석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09
  •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신선 동결 동종 연골판을 이식한 24명 환자, 2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 19례, 내측 반월상 연골판 6례였다. 평균 연령은 33.6세 (17~50세)였으며, 추시 관찰은 평균 54.8개월 (6~116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에 mm 표시된 전.후방 사진을 얻어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은 열쇠 구멍 고정 방법으로(Key hole method) 고정하였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양 골 조각 고정술(double bone plug)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전례에서 KASS (knee assessment scoring system)과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고 Tegner activity scale을 이용하여 스포츠 회복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다. KASS score는 술 전 평균 61.7점(34~80점)에서 술 후 평균 83.8점(61~95점)으로 호전되었으며,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77.7점(48~79점)에서 술 후 평균 87.7점(63~97점)으로 향상되었다.(우수 3례, 양호 17례, 보통 4례, 불량 1례).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2례, 감각 이상 1례, 비흡수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이 1례 발생하였다. 총비골신경 마비가 1례 발생하였으나 술 후 6주에 회복이 되었다. 결론: 반월상 연골판 아전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동통을 완화시키고, 슬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술 전 정확한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 측정과 술 중 견고한 고정은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한 중요한 인자로 사료된다.

  • PDF

정상견 무릎의 관절경 검사소견 (Arthroscopic Findings of the Canine Stifle Joint)

  • 정순욱;정월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0-308
    • /
    • 1999
  • Arthroscopy is a valuable diagnostic and operative tool in equine and human orthopedics. The arthroscope is a difficult instrument to use and requires patience, practice, and persistence in order to obtain good results. This technique was found to be less traumatic than arthrotomy, invasiveness, rapid recovery and the feasibility of surgically correcting many arthropathies. The use of the arthroscope in the dog provides a new dimension in the study and diagnosis of joint derangement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the use of the arthroscope in the dog-more specifically, in the stifle of the dog. A diameter 2.7 mm fore-oblique viewing arthroscope, cold light source, video and video printer are used. With the fore-oblique viewing type it is possible to view directly as well as slightly to the side and the range of viewing can be increased by rotating the arthroscope around the object The scope is connected with a cold light source by means of a fiber-optic light guide. The stifle joint was flexed to 20~30$^{\circ}$. The joint were lavaged with lactated Ringer's solution during arthroscopic examination. Arthroscopy of the stifle was performed prior to arthrotomy in 1 dead dog and 4 healthy dogs, and other 3 dogs was performed only arthroscopic examination. In this study only the conventional approaches were used and in most cases it was possible to view all the intra-articular structures via the lateral infrapatellar approach. In the stifle joint, endoscopic observation was performed to find lateral femoral condyle, patella, medial femoral condyle, trochlear groove, tibia, fat, cranial cruciate ligament, caudal cruciate ligament lateral meniscus, tendon of long digital extensor muscle, medial meniscus,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Post-arthroscopic examination, the lameness had disappeared within 12~24 hours. Pain and swelling in the stifle joint had disappeared within 24~36 hours. Post-arthroscopic secondary infection was never encountered in the dogs. In conclusion, arthroscopic insertion technique in canine stifle joint using a diameter 2.7 mm 30$^{\circ}$ arthroscope was established and arthroscopical views of all anatomical structures in the normal stilfe joint were obtained through lateral infrapatellar portal.

  • PDF

내측 및 외측 반월연골판에서 기시한 반월연골판 내 통풍 결절 (Intrameniscal Gouty Tophus Originating from Medial and Lateral Meniscus)

  • 박일영;김영모;주용범;이상범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40-444
    • /
    • 2021
  • 통풍이 진행된 경우, 단일 요산 나트륨결정이 관절과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통풍 결절이 발생한다. 저자들은 우측 무릎의 통증과 관절 운동각도 제한으로 내원한 45세 남자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종물을 확인하였고 관절경 수술 및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측과 외측 반월연골판의 전각을 침범한 통풍 결절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수술로 제거하였다. 내, 외측 반월연골판을 동시에 침범한 반월연골판 내 통풍 결절은 문헌상 보고된 적이 없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