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onographic Utility for Arthroscopic Examination of Knee

슬관절 관절경 검사 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 Byun, Ki-Yong (Join Hospital) ;
  • Rhee, Kwang-Jin (Daejeon Hankook General Hospital) ;
  • Kim, Kyung-Che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Ky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Bo-K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변기용 (조인병원) ;
  • 이광진 (대전한국병원) ;
  • 김경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동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보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pathology & abnormal finding found by ultrasonography. Without an MRI test being done beforehand, an arthroscopy is done after an ultrasonography to show abnormal lesions during a knee abnormal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42 patients out of 49 cases, excluding those with rheumatoid arthritis, septic arthritis and patients suspected with a ligament tear, which were examined by ultrasonography alone before receiving a knee arthroscopy in our hospital from July 2007 to July 2008. In every case, a physical examination, simple X-ray and knee ultrasonography was done. An arthroscopy was performed when there was ultrasonographic abnormal finding. Before the procedure, a MRI test was not performed and when abnormal findings were found by an arthroscopy, an appropriate surgery was done. Results: During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re were various sized effusions in the suprapatellar pouch. Also, in addition there were eleven cases of medial meniscus abnormalities, sixteen cases of lateral meniscus abnormalities, and two cases of cystic lesions. Throughout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there were 14 cases of medial meniscus abnormalities, 20 cases of lateral meniscus abnormalities, 15 cases of cartilage damages, 9 cases of medial pathologic plica, 2 cases of intra-articular loose bodies, 5 cases of chondromalacia, 2 cases of cyst, and 2 cases of synovitis. When an effusion abnormality was found by the ultrasonography in a suprapatellar pouch, there was a 100% probability of knee pathology. When a medial meniscus abnormality was found with an ultrasonography, there was a 90.9% probability of a real pathology. When a lateral meniscus abnormality was found there was 81.2% probability of a real pathology. Ultrasonography was 100% accurate when it came to cystic lesions. Conclusion: Knee ultrasonography performed before an arthroscopy seems to be a very useful examination method when suspecting intra-articular lesions.

목적: 슬관절 이상 시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를 하지 않고,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 후 이상소견 발견 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상 이상 소견과 실제 병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관절경 시술을 받았던 환자 중 류마티스 관절염 이나 패혈성 관절염과 인대 손상이 의심 되는 환자는 제외하고 시술 전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4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 후 초음파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에 대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관절경 검사 상 이상소견 발견 시에는 이에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시 전례에서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에 삼출액(effusion)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그 외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1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6례, 낭종소견 2례였다. 관절경 검사 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14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20례, 연골손상 15례였고, 내측 활액막 추벽 9례, 관절 내 유리체 2례, 연골 연화증 5례, 낭종 2례, 활액막염 2례였다. 초음파 검사상 슬개상 주머니에서 삼출액 소견이 있을 경우, 어떤 병변이든지 실제 슬관절 병변이 있을 확률은 100% 이었고, 초음파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90.9%,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 시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81.2% 이며 낭종 소견은 100%에서 정확도가 있었다. 결론: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는 관절경 시술을 시행하기 전에 관절 내 병변 의심 시 시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