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l meniscu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1초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발생한 독립된 2개의 반월상 연골 낭종 - 1예 보고 - (2 Separate Meniscal Cysts Arising from Tears of the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서무삼;박형택;김상효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4-217
    • /
    • 2005
  • 슬관절의 반월상 연골 낭종은 흔하지 않은 병소로 내측보다는 외측 반월상 연골에 더 흔하게 발생하며, 대개 반월상 연골의 수평파열과 동반되어 있다. 본 증례는 특별한 외상력 없이 내측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와 후 외측부에 종 파열 및 후각부의 횡파열과 동반된 독립된 2개의 반월상 연골 낭종을 가진 24세 남자 환자로, 관절경을 이용한 낭종 감압술과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치료하였다.

  • PDF

횡 파열로 오인하게 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증례 보고 - (Abnormal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to misdiagnosis to horizontal tear - A case report -)

  • 김동희;곽지용;박진성;황선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28
    • /
    • 2011
  • 23세 남자 환자에서 MRI 소견상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의 횡파열 소견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의 많은 형태들이 보고 되었으나 저자들의 경우에서처럼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로 진단 되었으나 실제 관절경 소견으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부착으로 인해 오인된 경우에 해당되는 드문 경우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 봉합 후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유용성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efulness after Medial Meniscus Posterior Root Tear Repair)

  • 전재균;김준범;이봉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0
    • /
    • 2013
  • 목적: 슬관절 내측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봉합 수술을 시행한 후 유합 유무를 평가하기 위한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봉합한 환자 중 술후 MRI와 관절경검사를 모두 시행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검사와 MRI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술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56.4에서 평균 79.0으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는 8점에서 3점으로 호전되었다. 2차적 관절경 검사상 17예 모두 섬유화 재생 후 안정화된 소견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RI 검사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시사하는 수직 직선 결함(cleft sign)은 술전후 모두 관찰되었고, 음영 손실(ghost sign)은 술전 10예에서 술후 9예, 방사선 직선 결함(radial linear defect) 소견은 술전 17예에서 술후는 15예에서 확인되었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비해부학적 위치에 봉합한 경우 술후 추시 MRI 검사는 유합 여부 판단에 유용하지 않았다. 유합 여부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절경적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방십자인대에 이상 부착을 보이는 내측 반월상 연골에 관한 증례보고 (Anomalous Insertion of the Medial Meniscus into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Case Report)

  • 김기환;심재찬;이경은;김호균;이기재;서정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3호
    • /
    • pp.239-242
    • /
    • 2013
  • 내측 반월상 연골에 생기는 기형은 매우 드물고 임상적으로 진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기형 중에서도 전방십자인대에 이상 부착을 보이는 내측 반월상 연골은 드물다. 대부분의 보고된 증례들은 임상적인 증상과 연관을 보이지 않으며 관절경검사를 하면서 우연히 발견된다. 우리는 드문 증례인 전방십자인대에 이상 부착을 보이는 내측 반월상 연골에 대한 자기공명 영상을 보고하고 문헌을 통한 간략한 검토를 하려고 한다.

18 Gauge 척수 주사 바늘과 Suture Anchor를 이용한 내측 반월상 연골 경골 후방 부착부 파열의 관절경적 All-Inside 봉합술 - 수술 술기 보고 - (Arthroscopic All-Inside Repair of Medial Meniscus Root Tear Using 18 Gauge Spinal Needle and Suture Anchor -A Report of Surgical Technique-)

  • 김종민;정성훈;이상호;박병문;이길형;전호승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6-71
    • /
    • 2012
  • 내측 반월상 연골 경골 후방 부착부는 원주테 장력을 유지하여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의 기능을 보존하고, 돌출을 막아준다. 내측 반월상 연골 후방 부착부 완전 파열은 원주테 장력을 소실시켜 향후 관절염으로의 진행을 유발하므로, 봉합하여 기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관절경을 이용한 정복과 다양한 봉합술이 시행되고 있으며, 저자들은 18 gauge 척수 주사 바늘과 suture anchor를 이용한 관절경적 all-inside 봉합술로 기존에 시행되어지던 술기에 비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수술 방법의 소개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정상 반월상 연골의 혈관 분포 (Microvasculature of Human Menisci)

  • 김상훈;조홍식;이한영;이기범;민병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7
    • /
    • 2003
  • 목적 : 정상 반월상 연골을 형태학적으로 계측하고 혈관 분포를 조사하여 연령과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1구의 사체에서 반월상 연골을 채취하여 이를 연령별로 3군으로 나누고 각각을 10개의 절편으로 나누어 반월상 연골의 폭(width)과 혈관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결과 : 반월상 연골의 평균 폭은 내측이 $10.4{\pm}2.92mm$, 외측이 $10.55{\pm}2.05mm$로 측정 되었다. 혈관 분포 범위는 내측이 $20.29{\pm}8.44\%$, 외측이 $18.99{\pm}7.03\%$이었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혈관 분포는 내측의 경우 전각의 혈관 분포가 가장 풍부하였고(p<0.05), 외측의 경우 후각의 혈관 분포가 가장 풍부하였으며(p<.0.05) 슬와근부에서도 혈관 주행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내측은 전각, 체부, 후각 모두 혈관 분포가 감소하며 외측은 체부와 후각에서 혈관 분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의 혈관 분포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달랐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내측과 외측에서 모두 전체적인 혈관 분포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버팀테응력 회복을 위한 아탈구된 내측 반월상 연골의 Suture anchor를 이용한 정복술 - 술기 보고 - (Arthroscopic Reduction of Subluxed Medial Meniscus using Suture Anchor for Restoration of Hoop Stress - Technical Note -)

  • 김재화;이윤석;김철;한승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0-284
    • /
    • 2009
  • 목적: 버팀테응력 회복을 위한 아탈구 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나사(suture anchor)를 이용한 관절경적 정복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수술 수기: 전외측, 전내측, 중슬개골 도달법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다. 전외측 도달법으로 관절경을 삽입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아탈구를 먼저 확인 하였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방사선 파열이 있는 경우에는 이번 연구에서 제외 하였다. 전내측 삽입구를 통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방부를 유리 시킨 후, 봉합 나사가 삽입 될 곳의 피질골을 전동식 연마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중슬개골 도달법을 이용하여 봉합 나사(suture anchor)를 삽입 하였으며, 90도의 봉합 갈고리와 2.0 Nylon을 이용하여 봉합 나사의 봉합사를 연골판에 통과 시킨 후, Sliding knot-ty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연골판을 고정시켰다. 환자들은 술 후 6주간 체중 부하를 금지 하였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의 아탈구에 있어 최소한의 손상으로 버팀테응력 회복을 통하여 슬관절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술식으로 봉합 나사(Suture Anchor)를 이용한 관절경적 정복술을 소개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판 양동이형 파열의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 - 수술 수기 - (Arthroscopic Technique of Partial Meniscectomy for Bucket Handle Tear of Medial Meniscus using Posteromedial Portal)

  • 안진환;이종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2000
  • 목적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보편적인 치료법인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에 비해 보다 우수한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세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 검사 후 파열된 반월상 연골의 정복을 시행한 수, 관절경을 후내측 구획에 위치시킨 후,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관절경을 삽입하여 이 구역을 재관찰하며,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다. 결론 :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기존의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후각 부착 부위에 대한 시야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부분 절제술이 될 수 없고, 후각부에 동반된 다른 유형의 파열이나 내측 대퇴 내과 후면의 관절 손상 등을 관찰할 수 없고, 술 중 후방 십자인대에 손상을 줄 수가 있으며, 내측 대퇴골과의 체중부하 부위에 인위적인 관절 연골 손상을 줄 수가 있다.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양동이형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부분 절제술은 우수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진단 -1례 보고-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extrusion of medial meniscus of the knee -A Case Report-)

  • 김정만;송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17
    • /
    • 2008
  • 반월상 연골 탈출은 슬관절 반월상 연골이 관상면상 3 mm 이상의 전위를 보이는 경우로 반월상 연골의 퇴행성 변화, 파열, 관절 부종, 골극, 골 관절염 등과 관련이 있다. 초음파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바로 그 자리에서 실시간으로 동적 검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슬관절 전내측에 존재하는 종괴 1례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로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의 의의 (Significance of Ultrasonography in Diagnosis of Medial Meniscus Tear)

  • 김정만;임동선;김태형;김종익;이규조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2011
  • 목적: 자기 공명 영상 시행 전에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파열 진단에서의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본원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의심 하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341예 중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4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16예, 비균질성(inhomogeneity)만을 보인 12예, 무리(cluster)를 보인 4예, 실질 내에 틈(cleavage)을 보인 60예, 5 mm 이상의 내측 탈출(extrusion)을 보인 55예를 자기 공명 영상 검사 결과와 비교 하였다. 통계학적으로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을 구하였다. 결과: 자기 공명 영상에서 파열을 보인 경우는 104예였다. 초음파 검사는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하여 민감도가 94.2%, 특이도는 23.3%로 측정 되었다. 양성 예측률은 74.8%, 음성 예측률은 62.5%로 측정되었다. 초음파 영상에 따른 양성 예측률은 비균질성이 보이는 경우 58.3%, 무리를 보이는 경우에는 100%, 실질 내에 틈을 보이는 경우 75%, 내측 탈출을 보이는 경우 80%로 나타났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진단에 있어 고가의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 검사는 파열 가능성 여부를 사전에 아는데 유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