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Movement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초

비물질적 오브제를 이용한 미디어아트의 움직임 제작방식에 관한 연구; 미디어아트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vement Production Method of Media-art with Immaterial Objects; Focusing on Media Art Practices)

  • 임상국;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73-679
    • /
    • 2016
  • Study the movement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birth of film and animation. The techniques of the immaterial object movement of in the media art which accompany movement have different operational and symbolic aspects with a film or a traditional(existing) animation. Focused on the works of media artist and want to study the movement of media art production methods.

SIMULATION OF IMAGE DISTORTON AND ITS CORRECTION BY OBSERVER'S ROTATION MOVEMENT IN STEREOSCOPIC DISPLAY

  • Kim, Dong-Wook;Lee, Kwang-Hoon;Chang, Eun-Young;Kim, Jin-Woong;Kim, Sung-Kyu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360-363
    • /
    • 2009
  • Variation of viewing position of the observer is one of factors of image distortion in the stereoscopic display. A rotation movement of the observer makes the stereoscopic image distortion and that is caused by different horizontal position of each eye of the observer. It is different from horizontal and depth directional movement of the observer. In this paper, we showed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 about the distortion analysis and the correc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in rotation movement of the observer.

  • PDF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 김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3권
    • /
    • pp.87-114
    • /
    • 2006
  •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 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 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 PDF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특성과 전망 이명박·박근혜 정권시기를 중심으로 (Challenges and Prospects of the Citizen Media Movement in the Lee-Park Regime)

  • 정연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1권
    • /
    • pp.122-152
    • /
    • 2017
  • 언론운동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함과 동시에 언론권력을 해체하고 시민들의 언론 주권을 찾으려는 사회적 운동이다. 언론의 공공성과 독립성, 책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공적 영역에서는 정치권력, 사적 영역에서는 소유주로부터 나오는 언론권력이다. 시민언론운동은 언론의 주권은 시민에게 있으며 이러한 주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 권력을 감시하는 주체로서 시민의 운동성을 강조한다. 이명박ᐨ박근혜 정권에서 시민언론운동은 저항과 투쟁의 시기였다. 시민언론운동은 정치권과의 거버넌스가 완전히 붕괴되었고 언론 전문성을 가진 지식인이 정책 생산을 중심으로 참여하는 정책적 대안의 논의와 제시 방식의 언론시민운동은 설자리를 잃었다. 시민들의 직접 행동보다는 활동가들 중심으로 활동하는 시민언론 단체들의 영향력은 한계를 보였다. 시민언론운동이 언론개혁의 동력을 강화하려면 시민사회, 언론노조, 언론단체, 정치세력 등 사회적 힘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운동의 의제와 활동에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언론운동에서 미디어운동으로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 PDF

How Facebook Functions in a Social Movement: An Examination Using the Web Mining Approach

  • Cao, Wenny;Cheong, Angus;Li, Ziz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268-291
    • /
    • 2014
  • Social media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social movements. This study, adopting the web mining approach, attempts to investigate how social media, Facebook in particular, functioned in the "May 25 Protest" and the "May 27 Protest", two movements which broke out in Macao on 25 and 27 May 2014, respectively, against the Retirement Package Bill. In the two protests, Macao residents deployed Facebook to share information and motivated people's participation. Twelve events (181,106 people invited) and 36 groups/pages (41,266 members) related on Facebook were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flow on Facebook fluctuated in accordance with the event development in reality. Multiple patterns of manifestation, such as video of adopted news or songs, designed profile (protest icon), original ironic pictures, self-organized clubs by undergraduates and white T-shirts as a symbol, among others, appeared online and interacted with offline ac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ocial media assisted the information diffusion and provided persuasive reasons for netizens to join the movement. Social media helped to expand movement influence in providing a platform for diversified performances for actions taken in a protest, which could express and develop core and consistent movement repertoire.

미군정기의 여성신문과 여성운동 (Women's Newspapers and Women's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박용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9권
    • /
    • pp.125-153
    • /
    • 2002
  • 본 논문은 미군정기에 발행된 여성신문들을 여성운동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미군정기에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간지가 5개나 발행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당시의 여성운동이 활발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 중 3개는 여성이 발행인이었고, 대부분의 신문에는 적은 수나마 여성운동과 직 간접적 관계를 맺고 있던 여성들이 참여하였다. 하지만 이런 여성신문들은 경제적 여건이 좋지 못해 휴간이 잦고 발행기간도 짧아 안정적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또한 신문의 내용이 여성신문으로서의 특성을 제대로 살렸다고 보기 어려운 점들도 있었다. 특히 당시 여성운동단체들이 본격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해 활동했다기보다는 대체로 국가수립을 둘러싼 정치활동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데 머물렀기 때문에 여성운동단체들과 직 간접적 관계를 맺고 있던 여성신문들의 논조도 이런 특성을 그대로 보여 주는 한계를 드러냈다. 여전히 성별 분업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논조들 보이며, 단지 현실적 필요 때문에 여성들의 정치 참여를 강조하는 입장을 보였을 뿐이다.

  • PDF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에서 관찰자의 회전이동에 따른 영상공간의 왜곡과 왜곡 보정에 대한 전산모사 (Simulation of Distortion in Image Space due to Observer's Rotation Movement in Stereoscopic Display, and Its Correction)

  • 김동욱;이광훈;김성규;장은영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7-93
    • /
    • 2009
  • 스테레오 영상에서 관찰자의 위치 변화는 왜곡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관찰자의 회전 이동은 관찰자 양안의 수평위치가 다르므로 수평, 전후 이동과는 다른 스테레오 영상의 왜곡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산모사를 통하여 관찰자의 회전이동에 의한 왜곡을 분석하였고 왜곡 보정결과도 보였다. 마지막으로 관찰자의 회전이동과 수평, 전후 이동의 왜곡형태를 비교를 통하여 두 이동에서 나타나는 왜곡의 형태가 다름을 보였다.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와 동작 인지와의 동기화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EEG Synchronization of Movement Cognition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 황민철;김규태;고상태;정병용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7-171
    • /
    • 2007
  • Brain computer interface is the technology of interface for next generation. Recently, user intention has been tried to be recognized for interfacing a computer. EEG plays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area.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extracting EEG commander generated by human movement. ERD/ERS has generally accepted as important EEG parameters for prediction of human movement. However, There has been difference between initial movement indicated by ERD/ERS and real move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ime differences for brain interface by ERD/ERS. Five university students performed ten repetitive movements. ERD/ERS was determined according to movement execution and the significant pattern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movement execution and movement indication of ERD/ERS.

패션필름에 나타난 뉴미디어 패션 이미지 유형분석 (Analysis of New Media Fashion Image Types in Fashion Films)

  • 김세진;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85-1097
    • /
    • 2017
  • In the era of new media, images hold an important position as episteme to express and convey ideas. Fashion films provide dynamic and unique fashion images, differentiated from prior fashion media as a representational tool for showing a realistic fashion image only; consequently, their production and spread are increasing rapidly as a new fashion media. This study identifies the meaning and type of fashion images in fashion films based on the concept of Deleuze's image that help discove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films as a new fashion media of an expressive tool.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new media, concepts and types of images by Deleuze to analyze types of new media images. According to research, fashion image in fashion film is defined as a fashion event; consequently, three types of new media images are derived. A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fashion images in fashion films are classified by images of realistic movement, variable time, and virtual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consideration show that fashion films expressed fashion through temporality and narrative, senses, and diegesis. Fashion images of new media in fashion films portray fashion as a process that transcends reality and imag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