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llenges and Prospects of the Citizen Media Movement in the Lee-Park Regime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특성과 전망 이명박·박근혜 정권시기를 중심으로

  • Chung, Yeonwoo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Semyung University)
  • 정연우 (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Received : 2016.11.30
  • Accepted : 2017.01.18
  • Published : 2017.02.15

Abstract

The media movement is a movement to separate from the political power and to dismantle the media power and to seek the control of citizens' media. Political power is the biggest factor that violates the fairness and independence of the media in the public domain. On the other hand, the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healthy and responsible media of the press in the private sector is the media power originating from the owner. Citizens 'media campaign emphasizes citizens' mobility as a subject that monitors the political power and media power that have the sovereignty of the media belonging to the citizen and may infringe on this sovereignty.In the Lee Myung Bak - Park Geun Hye regime, the civil press movement was a period of resistance and struggle. Citizen media campaigns have completely collapsed with governance. As a result, the intellectuals who have expertise in the media have lost their place in the discussion and presentation of the policy alternatives in which the policy production is centered. The influence of citizen media organizations, which are centered on activists rather than citizen's direct action, is limi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media reform,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social forces such as civil society, media unions, media organizations and political forces. We should also look for various ways in which citizens can participate actively in the agenda and activities of the mov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ovement of the media.

언론운동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함과 동시에 언론권력을 해체하고 시민들의 언론 주권을 찾으려는 사회적 운동이다. 언론의 공공성과 독립성, 책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공적 영역에서는 정치권력, 사적 영역에서는 소유주로부터 나오는 언론권력이다. 시민언론운동은 언론의 주권은 시민에게 있으며 이러한 주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 권력을 감시하는 주체로서 시민의 운동성을 강조한다. 이명박ᐨ박근혜 정권에서 시민언론운동은 저항과 투쟁의 시기였다. 시민언론운동은 정치권과의 거버넌스가 완전히 붕괴되었고 언론 전문성을 가진 지식인이 정책 생산을 중심으로 참여하는 정책적 대안의 논의와 제시 방식의 언론시민운동은 설자리를 잃었다. 시민들의 직접 행동보다는 활동가들 중심으로 활동하는 시민언론 단체들의 영향력은 한계를 보였다. 시민언론운동이 언론개혁의 동력을 강화하려면 시민사회, 언론노조, 언론단체, 정치세력 등 사회적 힘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운동의 의제와 활동에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언론운동에서 미디어운동으로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현 (1993). 정보화 시대의 시민언론 운동. 한국사회언론연구회 (편), <자본주의 언론과 민주주의: 한국사회와 언론3> (86-132쪽). 서울: 한울.
  2. 김동노 (2013). 시민운동의 정치참여를 통해 본 시민운동의 성장과 한계. <현상과 인식>, 37권 3호, 59-85.
  3. 김동원 (2016). 언론 모니터 운동의 성과와 대응 전략. 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언론정보학회 '후퇴하는 저널리즘과 언론운동의 대응' 토론회(2016, 3, 31) 자료.
  4. 김서중 (1999). 시민언론운동에 대한 평가. 민주언론시민연합 '한국시민언론운동의 평가와 전망' 토론회(1999, 7, 15) 자료.
  5. 김선미 (2007). 시민운동 위기 담론과 발전 방안. <담론20>, 10권 3호, 143-173.
  6. 김승수 외 (2007). <언론 운동과 매체정책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열린 미디어 연구소.
  7. 김유진 (2016). 시민언론운동의 과제와 전망. 한국언론정보학회 'Reboot 언론운동: 다양한 시선, 진솔한 목소리' 세미나(2016, 8, 26) 자료.
  8. 김은규 (2006).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3호, 87-114.
  9. 김은규 (2014). 1990-2000년대 초 언론운동사. 민주언론시민연합 '한국언론운동사 심포지엄'(2014, 10, 24) 자료.
  10. 김정훈 (2012). 참여연대를 통해 본 한국 시민운동의 변화. <기억과 전망>, 여름호(통권26호), 8-49,
  11. 김정훈.조희연 (2008). 민주화 20년과 공론장의 구조변동: 언론운동적 함의. 민주언론시민연합 주최 '한국 민주주의와 언론운동' 토론회(2008, 6, 30) 자료.
  12. 김주언 외 (2008). <미디어 2.0시대 시청자권리와 수용자 운동>. 열린미디어 연구소보고서.
  13. 민인철.이동근 (2005). 능동적 수용자론에 대한 소고: 정치참여자로서의 대안 언론 수용자. <언론과학연구>, 5권 8호, 155-190.
  14. 민주언론시민연합 (2008-2016). <정기총회 자료집>.
  15. 박경신 (2009). 소비자들의 2차불매운동의 합법성. 한인섭 (편), <한국과 표현의 자유> (71-106쪽). 경인문화사.
  16. 박상필 (2005). .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17. 박창희.장석준 (2012, 6월). . 한국소통학회 2012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31-144쪽).
  18. 송경재 (2009). 네트워크 시대의 시민운동연구. <현대정치연구>, 2권 1호, 55-83.
  19. 신태섭 (2009). 여론다양성과 방송소유규제완화.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토론회(2009, 5, 21) 자료.
  20. 원용진 (2012). 미디어 정책 패러다임 전환. <미디어 개혁과 시민의 권리> (61-98쪽).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21. 원용진 (2016). 미디어운동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제안. 한국언론정보학회 'Reboot 언론운동: 다양한 시선, 진솔한 목소리' 세미나(2016, 8, 26) 자료.
  22. 유팔무 (2005).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유팔무.김호기 (편),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23. 윤성이 (2008). 2008 촛불과 정치참여특성의 변화. <세계지역연구논총>, 27집 1호, 315-333.
  24. 이강택 (2010). <공영방송에 대한 시민참여연구>. 성공회대 석사학위논문.
  25. 이기형 (2012). 방송저널리즘 어떻게 붕괴되었는가. 방송기자협회 '공영방송과 방송저널리즘 어떻게 복구할 것인가' 토론회(2012, 2, 10) 발제집
  26. 이상훈 (2012). 신자유주의와 미디어 공공영역. <미디어 개혁과 시민의 권리> (129-165쪽).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27. 이상훈.김명준 (2015). 미디어 운동의 현황, 그 공백과 한계.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 39호, 123-159.
  28. 이선미 (2006). 능동적 시민과 차이의 정치. <한국 여성학>, 22권 1호, 147-182.
  29. 이승선 (2009, 3월). 언론소비자운동에 있어 광고불매운동의 의미. 한국언론정보학회 '언론소비자운동과 광고불매운동' 토론회 자료집 (33-53쪽). .
  30. 이창호.배애진 (2008). 뉴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4호, 44-75.
  31. 임동욱 (1995). 한국시민 언론운동의 성격과 방향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한국언론학보>, 33호, 165-201.
  32. 임의영 (2010). 공공성의 유형화. <한국행정학보>, 44권 2호, 1-21.
  33. 전규찬 (2012). 커뮤니케이션 주권론을 제안한다. <미디어 개혁과 시민의 권리> (99-128쪽).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34. 정연우 (2010). 언론운동으로서 광고기업 불매운동의 특성에 관한 소고.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16호, 383-418.
  35. 정재철 (2006). 온라인시민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3호, 253-285.
  36. 정태석 (2006).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역사에서 유럽과 한국의 유사성과 차이: 유럽의 신사회운동과 한국의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통권 72호, 125-147.
  37. 조대엽 (2007, 12월). 공공성의 재구성과 시민운동의 새로운 주기. <2007 후기 사회학대회 논문집> (881-891쪽).
  38. 조대엽 (2014). 현대 사회운동의 세계사적 맥락과 참여연대의 시대. 조대엽.박영선 (편), <감시자를 감시한다: 고장난 나라의 감시자 참여연대를 말하다>. 서울: 이매진.
  39. 조철민 (2014). 참여연대 운동방식의 흐름과 전망. 조대엽.박영선 (편), <감시자를 감시한다: 고장난 나라의 감시자 참여연대를 말하다>. 서울: 이매진
  40. 주성수 (2006).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서울: 아르케.
  41. 주승희 (2009). 소비자불매운동의 의의 및 법적 허용한계 검토.<경영법률>, 19권 3호, 515-542.
  42. 최영묵 (2005). <시민미디어론>. 서울: 아르케.
  43. 최영묵 (2008). '아고라'시대의 안티조선운동: 지식인운동에서 소비자운동으로. 민주언론시민연합 주최 '한국 민주주의와 언론운동' 토론회(2008, 6, 30) 자료.
  44. 최영묵 (2012). MB 시대 청산을 위한 미디어정책 방향. <미디어 개혁과 시민의 권리> (23-58쪽).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45. Crenson, M., & Ginsberg, B. (2002). Dowonsizing democracy: 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6. Curran, J. (1991). Mass media and democracy: A reappraisal. In J. Curran & M. Gurevitch (Eds.), Mass media and society (pp. 82-117). London, UK: Edward Arnold.
  47. Mullard, M. (1999).Discourses on citizenship. In J. Bussemaker (Ed), Citizenship and welfare state reform in Europe (pp. 12-26). London, UK: Routledge.
  48. Raboy, M. (1990). Missed opportunities: The story of Canada's broadcasting policy. Montreal: McGuil-Queen's University Press.
  49. Rheingold, H. (2003). Smart m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이운경 (역). <참여군중>. 서울: 황금가지.
  50. Rimmerman, C. (2001). The new citizenship: Unconventional politics, activism and service. Boulder, CO: Westview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