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Ideology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뉴스 속성의 정부소스 의존 정도: 행정수도 이전을 둘러싼 언론보도와 정부 제공 이슈속성의 관련성 중심 (The Dependency of News Attributes on the Government Source: A Case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 김영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75-11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언론 보도에서 정부 소스의 의제 속성에 의존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살펴본 다음, 정부의 중요정의자 기능과 관련하여 영향요인으로 거론되는 보도부정성, 보도이데올로기, 보도시기 등의 변수들이 가지는 영향력에 대해서 조사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답하기 위해서 사회적인 논란을 불러왔던 행정수도 이전 관련 논의를 분석 케이스로 선택했으며, 이슈를 둘러싼 정부브리핑과 언론보도를 연구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정부는 언론보도의 중요정의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론보도가 정부가 설정하는 이슈 속성의 테두리를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언론의 부정성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사안의 속성을 제한하는 중요정의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보도이데올로기나 사안의 갈등 시기 등의 영향권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여성다움의 제도화된 이미지: 인도네시아 신질서 체제하에서 (Institutionalized Images of Womanhood under the Orde Baru in Indonesia)

  • 김예겸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7권2호
    • /
    • pp.119-153
    • /
    • 2017
  • 본고는 인도네시아 신질서(Orde Baru; 1966-1998) 체제하에서 진행된 여성다움의 제도화된 이미지를 고찰해보고, 다르마 와니따(Dharma Wanita), 뻬까까(PKK), 교과서 및 인도네시아 국영방송에 표상화되어 있는 제도화된 여성다움을 검토한다. 본고는 인도네시아 신질서 기간 동안, 여성다움을 가내적 공간에 국한시키는 국가 이데올로기인 '이부이즘(ibuism)'의 테두리 안에서 특정한 여성다움의 이미지가 제도화되었음을 밝히고, 이 제도화된 여성다움이 다르마 와니따(Dharma Wanita), 뻬까까(PKK), 교과서 및 인도네시아 국영방송 등을 통해서 전파되었음을 피력한다. 결론을 맺으며 본고는 또한 특히 1990년대 중반이후, 여성다움의 불특정하고 다각적인 현대적 이미지가 대중매체를 매개로 전파되어 왔고, 이러한 현대적 현상으로 인해 신질서체제 이후인 2000년경 인도네시아 여성다움의 이미지는 다소 경합적이었음을 지적한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물들이 심도있게 다루지 않은 여성다움에 대한 국가 이데올로기의 '수단'과 '내용'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진행하며, 이를 통해서 인도네시아 신질서 체제하에서 진행된 여성다움의 제도화된 이미지를 이해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Election Prediction on Basis of Sentimental Analysis in 3rd World Countries

  • Bilal, Hafiz Syed Muhammad;Razzaq, Muhammad Asif;Lee, Sungyoung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28-931
    • /
    • 2014
  • The detection of human behavior from social media revolutionized health, business, criminal and political prediction. Significance of it, in incentive transformation of public opinion had already proven for developed countries in improving democratic process of elections. In $3^{rd}$ World countries, voters poll votes for personal interests being unaware of party manifesto or national interest. These issues can be addressed by social media, resulting as ongoing process of improvement for presently adopted electoral procedures. On the optimistic side, people of such countries applied social media to garner support and campaign for political parties in General Elections. Political leaders, parties, and people empowered themselves with social media, in disseminating party's agenda and advocacy of party's ideology on social media without much campaigning cost. To study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inferred from individual's political behavior, large scale analysis, sentiment detection & tweet classification was done in order to classify, predict and forecast elec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results depicts that social media conten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dicator for capturing political behaviors of different parties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behavior of the party followers as well as party campaign impact can be predicted from the analysis.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Study on the Media Phenomenon and Social & Political Discourse in 2000s Korean Public Movie)

  • 김민수;한화성;김건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2호
    • /
    • pp.125-150
    • /
    • 2016
  • 2000년대 들어 한국영화는 천만 관객 동원과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성공에 힘입어 산업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의 소재로 남북한 분단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역사, 정치, 사회문제 등의 다양한 소재가 다루어지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도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영화산업의 외형적 규모도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 상업영화의 발전은 문화소비로서의 대중문화 속성과 다양한 대중의 속성을 파악하여 만든 웰 메이드(well made)영화 그리고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미디어적 현상이 주원인일 것이다. 한국 대중영화가 영화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며 자연스럽게 미디어 매체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많은 담론들이 생성되고 있다. 또한 대중영화의 파급력을 인지한 미디어 매체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은 사회 정치적으로 변화를 이끌기도 하지만 이데올로기의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왜냐하면 대중문화 연구와 관련된 이데올로기적 의미는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이거나 작가(예술가) 자신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언제나 세상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를 재현하거나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1990년대 말부터 한국영화가 대중영화로 확고히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요인과 계기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2000년대 들어서 더욱 빈번한 정치, 사회, 역사에 대한 수많은 담론들을 형성한 대중영화와 미디어 그리고 소셜 미디어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흐름의 논의는 대중영화의 폭과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편향적인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사회 정치적인 영화보기나 읽기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자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마틴 구티에레즈의 패션미디어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 표현 -주디스 버틀러와 아테나 아타나시오우의 박탈(Dispossession) 개념을 중심으로- (Expression of Identity in Martin Gutierrez's Fashion Media Works -Focused on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 이명선;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2-243
    • /
    • 2023
  • The boundaries between fashion and contemporary art are increasingly blurred showing their interchangeability. This study examines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to analyze expressions of gender, racial, and class identity in Martine Gutierrez's representative work, Indigenous Woman. First, gender expressions in Indigenous Woman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performative and practical gender as an image that rejects norms that grant authority according to the possession of innate body parts. Second, racial identity is expressed through resistance to the ideology of whiteness and imperialism reinforced by fashion media. The author aims to overcome normative stereotypes through the media she creates, which reveals her identity as a person of color. Third, class identity is represented through stereotypes that limit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 to primitive and natural things. The author reveals a critical awarenes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ese stereotypes have created. This study analyzed contemporary artworks using fashion media through the concept of disposs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aising a critical awareness of the practices that diffuse minority identities in fashion media.

한국 현대사의 미디어 재현과 신화 및 이데올로기: MBC-TV 다큐멘터리 <이제는 말할 수 있다>의 남북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Media Representation of Korean Modern Historical Incidents, and its Myth and Ideology: A Semiotic Approach on MBC-TV Documentary )

  • 이규정;백선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0권
    • /
    • pp.50-72
    • /
    • 2010
  • 본 논문은 한국 방송의 민주화 이후,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안을 재현한 TV다큐멘터리의 의미와 사회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MBC 다큐멘터리 <이제는 말할 수 있다>의 남북관련 이슈를 대상으로 기호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 현대사에서 재현된 이념의 갈등문제가 근본적으로 남북의 극대화된 이데올로기적 분화와 갈등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과거 신문에서 보도한 '간첩단 사건'과 <이제는 말할 수 있다>에서 다룬 것과의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과거 신문에서 보도한 '간첩단 사건'의 서사구조는 권력을 가진 지배계급의 시각에서 국가 안보의식의 강화 및 반공이데올로기의 확대 재생산의 결과를 가져온 반면에, <이제는 말할 수 있다>는 민중적 시각에서 피해자들과 소외된 자들의 경험과 기억을 재생하여 역사를 재현했다는 점을 밝혀냈다. 계열체 분석을 통하여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뚜렷한 이항대립 구조를 보이고 있음도 밝혀냈다. '간첩단 사건'에 대한 과거 신문보도가 '국가위기 신화', '반공 반북 신화', '대학생 속죄양 신화', '정보기관의 독점신화', '사회 안정화 신화', '법치주의 확립 신화' 등을 생성시켜, 일반 국민들이 간첩을 두려워하고, 혐오하는 '레드콤플렉스 신화'에 함몰되게 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과거 신문보도에서 표출된 신화와 이데올로기는 <이제는 말할 수 있다>에서 새롭게 재현됨으로써, '인권존중주의', '평화통일주의', '자유민주주의', '진보주의', '인본주의', '민족자주주의' 등 대안 이데올로기로서 저항적 이데올로기를 생성시켰음을 밝혀냈다.

  • PDF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for Fostering Media Literacy)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5-463
    • /
    • 2012
  • 이 연구는 미디어와 지리교육의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려는 시도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미디어를 통해 나타난 지리적 현상이 세계를 비추는 창으로 간주되었다면, 이제는 다양한 주체와 목적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된 재현의 산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미디어에 대한 이러한 인식론적 전환은 교수 학습에 있어서 사회적 구성주의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기존의 미디어를 활용한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지리교육에서 벗어나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지리적 현상, 즉 미디어 텍스트가 어떻게 구성되고 선별되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 능동적인 미디어 리터러시를 촉진할 수 있는 지리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로서의 지리교육은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비판적 활동을 강조하여 미디어 텍스트에 감추어진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게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풍부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정신보건의 역사적 변화선상에서 본 우리나라 정신보건법의 문제와 개선안 (Problems & Mental Health Act from)

  • 서동우
    • 의료법학
    • /
    • 제7권2호
    • /
    • pp.75-96
    • /
    • 2006
  • Having gone through socioeconomic changes from an agricultural to a post-industrial society, mental health system accordingly has been changed. In Korea where the socioeconomic change has been so rapid, the mental health system and law have been behind the socioeconomic system. Post-industrial society needs more humanized and advanced mental health system, however, Korean mental health law reflects ideology of Korean society in industrial age. This paper attempts to assess the significance Korea's Mental Health Law against the backdrop of socioeconomic changes. A substantial part of the report is devoted to identifying discrepancies between Korea's Mental Health Law and the perspectives of post-industrial ideology and areas for improvement. Improvement in mental health law should take place in line with the changes occurring in socioeconomic environments, the social concept of family, and the public awareness of human rights. Korea's mental health law should be changed in a way to improve hospitalization procedur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promote the opening of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ves of the mentally ill. Further changes are deemed necessary in the public and media view of mental illness. Also, the national budget will have to be increased with a view to raise the social rights of those with mental illness to receive quality rehabilitation services.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성찰 :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중심으로 (A Reflection on the Consumer Culture in the Post-COVID 19 Era from the Lens of Christian Education: Learning from the Drama, Penthouse)

  • 원신애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113-145
    • /
    • 2021
  •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성찰을 위해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의 중요개념인 시뮬라시옹(Simulation)과 시뮬라크르(Simulacra) 등을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 단면을 분석할 수 있는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소비이데올로기, 이미지의 욕망 및 폭력 등에 관해 검토할 것이다.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 개념이 대중매체의 발전에서 생겨났다고 보고, 대중매체는 결국 실재를 사라지게 하는 '시뮬라시옹의 출현' 혹은 '시뮬라시옹의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 과정이 대중매체가 지배하는 소비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시뮬라시옹은 이미지에 의해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초과실재를 산출하는 과정이며, 시뮬라크르는 시뮬라시옹의 결과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비판이론을 통한 비판적 성찰의 준거 기준이 합의 되지 않았다는 부정적 측면으로 인해 거부하지 말고 비판이론의 긍정적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대중매체가 주도하는 지배이데올로기와 소비이데올로기의 속성을 봐야한다. 특히 광고나 드라마 영화에서 보여주는 메시지는 시뮬라크르만 남아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허상임을 보는 관점을 지녀야 한다. 미디어는 말을 하되 상대방의 응답이 이루어질 수 없게 만드는 미디어의 권력을 의미한다. 그것의 대표적인 예표가 텔레비전이며, 연구자가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분석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보드리야르는 맥루한(M. McLuhan)의 "미디어가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라는 명제는 예상치 못하게 모든 내용물과 메시지가 미디어 속으로 사라져 버린 뒤에, 미디어 자신도 증발해 버린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은 "하나님 말씀이 메시지"(The word of God is message)임을 가르치고, 배우고, 나누고, 전수하는 것이다. 또한 그 메시지는 내파되거나 함열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진리로 계속 살아있는 메시지이다. 위기와 불안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대중/소비자/교인 개체들을 무저항적이고 무비판적으로 만드는 소비지상주의의 소비문화에 관해 끊임없는 성찰의 장(場)을 마련하고, 일련의 '전망대'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교사들과 신문 보도를 통해서 본 중국 농촌 학교에서의 유수(留守) 아동(left behind children) (Newspaper and Teacher Constructions of Children of Migrant Parents in Rural China)

  • 김성원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53-75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장시성 농촌지역 학교 교사들의 면접자료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출간된 중국의 대표적인 3개 신문들에 보도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도시로 이주한 중국 부모들은 아이를 농촌에 남겨두고 떠나는 경우가 많은데, 언론과 교사들의 공통된 담론에 의하면 농촌에 홀로 남겨진 아이들이 경험하는 여러 문제들의 가장 큰 원인은 부모의 부재와 이로 인한 유수아동(left behind children)의 정서불안이며, 부모의 책임이 크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어 교사들은 구조적, 제도적 측면을 강조하는 반면, 신문보도에서는 봉사자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사 면담 내용을 살펴보면 학교 내에서의 활동과 교사의 역할이 유수아동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부각되었지만 대부분의 신문들은 이를 묵인하며 정부관료와 지역대표들의 역할에 주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