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product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44초

도미를 활용하여 제조한 연제품의 겔 및 texture 특성 (Gel and Texture Properties of Fish-meat Gel Prepared with Pagrus major in Comparison to Different Grades of Alaska Pollock)

  • 고아;오정환;파티카라데니즈;이슬기;김형광;김세종;정준모;천지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55-9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연제품용 어육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과 고품질 연제품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되고 있는 도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육의 어육 겔 특성을 측정하여 도미의 연제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연제품 제조에 이용되는 어육원료는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저가의 연육이 일부 생산되고 있다. 수입 연육의 경우 대부분 동남아 및 북아메리카로부터 수입한 냉동 연육이 사용되고 있다. 연육의 품질과 등급은 수분함량, 백색도, 겔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식어종인 도미(Pagrus major)를 원료로 하여 전통 수세법으로 연육을 제조하였으며, 도미 유래 연육을 이용하여 어육겔 형성능 및 품질 특성을 겔 강도, 텍스쳐 실험, 백색도, 수분유출정도 및 SDS-page pattern 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들 결과는 FA급과 RA급의 시판용냉동명태연육을 이용하여 제조한 어육 겔 특성과 비교하였다. 겔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육에 2% NaCl를 첨가하여 전체 수분함량이 80%가 되도록 하여 90℃에서 20분간 가열한 소시지 형태의 어육 겔을 제조하였다. 도미 유래 연육의 어육 겔 특성은 stress-strain curve로부터의 겔강도, cutting strength, breaking force 등의 결과 및 텍스쳐 실험을 통한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brittleness 등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도미 유래 연육의 어육 겔 특성은 시판용 명태연육(FA급과 RA급)의 어육 겔 특성과 비교하였다. 도미연육의 사용은 RA급의 명태연육에 비해 높은 겔 형성능을 나타내었으며, FA급의 명태연육과는 비슷한 정도의 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미를 이용한 고품질 연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NaCl/Monosodium Glutamate (MSG) Mixture on the Sensorial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el Meat Products

  • Chun, Ji-Yeon;Kim, Byong-Soo;Lee, Jung-Gyu;Cho, Hyung-Yong;Min, Sang-Gi;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6-581
    • /
    • 2014
  • Sodium chloride is an important ingredient added to most of foods which contributes to flavor enhancement and food preservation but excess intake of sodium chloride may also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s, osteoporosis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MSG) as a salty flavor enhancer on the quality and sensorial properties of the NaCl/MSG complex and actual food system. For characterizing the spray-dried NaCl/MSG complex, surface dimension, morphology, rheology, and saltiness intensity were estimated by increasing MSG (0-2.0%) levels at a fixed NaCl concentration (2.0%). MSG levels had no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Cl/MSG complex, although the addition of MSG increased the surface dimension of the NaCl/MSG complex significantly (p<0.05). Furthermore, the effect of MSG on enhancing the salty flavor was not observed in the solution of the NaCl/MSG complex. In the case of an actual food system, model meat products (pork patties) were prepared by replacing NaCl with MSG. MSG enhanced the salty flavor, thereby increasing overall acceptability of pork patties. Replacement of NaCl with MSG (<1.0%) did not result in negative sensori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although quality deterioration such as high cooking loss was found. Nevertheless, MSG had a potential application in meat product formulation as a salty flavor enhancer or a partial NaCl replacer when meat products were supplemented with binding agents.

돈육의 위생화와 품질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 (Irradiation of Pork Meat for Improvement of Hygienic and Keeping Quality)

  • 곽희진;계수경;강일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30-440
    • /
    • 1998
  • 이상의 결과로 돼지고기는 비교적 미생물 오염도가 낮아 1kGy 조사로 저온성 미생물을 제외한 오염미생물의 생육을 검출한계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모든 오염미생물의 살균을 위해서는 3kGy의 선량이 요구되었다. 감마선조사와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성분 변화의 경우 수분함량에 있어서만이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감소되었으며, pH 및 산도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이 glutamic acid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함량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도 매우 미비하였다. 무기질 함량의 경우 주요 무기질성분으로 potassium, phosphorus, sodium, magnesium 순이었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조성변화는 없었다.

  • PDF

바비큐 및 장조림 소스로 제조한 사슴고기 통조림 제품의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omparisons of Canned Deer Meat Produce with BBQ and Jangjorim Sauce)

  • 김일석;진상근;하경희;박기훈;정기종;박석태;곽경락;박정권;강양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97
    • /
    • 2006
  • 캔에 105 g씩 충전하여 $121^{\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한 두 종류의 사슴 캔 개발 제품(T1; 바비큐 소스, T2; 장조림 소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슴 캔 제품의 품질 특성에 있어 T1이 T2에 비하여 pH, 염도, 당도는 낮고, TBARS 및 VBN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30^{\circ}C$에서 저장 60일 전 기간 T1과 T2 모두 6.0 이상의 좋은 점수를 얻었기에 상품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판 유제품을 이용한 자숙 게육의 이취 저감화 (Reduction of Off-flavors in Steamed Crab Meat Using Dairy Products)

  • 정효연;김정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45-349
    • /
    • 2015
  • 자숙 게살을 우유, 두유, 요구르트, 카세인에 침지하여 유제품의 이취 제거효과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우유와 자숙 게살의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취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유, 요구르트와의 반응에서 또한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우유, 두유, 요구르트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막대그래프로 표현하여 나타내었을 때 요구르트에 비해 우유와 두유에서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제품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카세인과 반응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숙 게살의 이취 성분이 유제품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취제거 효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일반가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우유에 생선 및 게살을 재워 비린내를 제거하는 방법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가정에서 손쉽게 유제품을 활용하여 이취저감화가 가능할 것이고 자숙게살의 품질관리 및 조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품질기준설정을 위한 국내 시판 육포의 품질 특성 조사 (Investigation of Quality Properties of Commercial Jerky from Korean Market for Establishment of Quality Parameters)

  • 박선현;심유신;정승원;이현성;김종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0-236
    • /
    • 2016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pork and beef jerky at a market in Korea. The amount of food additives, place of origin, meat content,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46 different jerky samples. Meat contents of pork and beef jerky were 75.2~94.0% and 80.0~95.6%, respectively. Food additives, including sodium nitrite,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erythorbate were mainly used in jerky. Pork jerky was processed from domestic pork, and beef jerky was mostly processed from imported beef from the USA, Australia, or New Zealand. Pork jerky contained $23.82{\pm}5.74%$ moisture, $37.86{\pm}7.05%$ crude protein, $6.16{\pm}4.91%$ crude fat, and $4.6.87{\pm}1.76%$ crude ash. Beef jerky contained $26.64{\pm}5.21%$ moisture, $41.36{\pm}3.50%$ crude protein, $4.67{\pm}3.46%$ crude fat, and $7.21{\pm}1.91%$ crude ash. Water activity (Aw) of pork jerky was $0.73{\pm}0.09$ while that of beef jerky was $0.78{\pm}0.08$.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to jerky was 7.1~36.0 mg/100 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meat type (p<0.05). Coliform,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pork or beef jerky, whereas yeast and molds were detected below $1.2{\times}10^1CFU/g$ in beef jerky samples.

정어리 단백질 제조와 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Sardine Protein)

  • 이경하;차월석;김종수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26-429
    • /
    • 2001
  • 정어리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정어리 단백질 농축액을 명태 냉동풀에 0, 15, 20, 25%로 첨가하여 어육 연제품을 제조하여, 그 굳기의 변화, 관능검사를 하였으며 아미노산 및 지방산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용출 단백질의 함량은 72%였으며, 10$0^{\circ}C$에서 1시간 전후에 거의 용출되었다. 연육제품의 굳기는 농축 단백질을 15% 첨가하였을 때 0.54 kg으로 명태 단백질만의 굳기 0.52 kg 보다 더 높은 수치로서 정어리 농축 단백질 첨가시에 더 좋았다. 아미노산 조성으로 볼 때 total amino acid는 농축 단백질을 15% 첨가하였을 때가 90.701 mg/g으로 가장 높았다. 지질 성분으로서는 불포화 지방산이 61.8634%와 61.9384%로 높은 상태이며, 생정어리의 경우 $C_{20:5}$$C_{22:6}$인 경우 7.2931%와 27.7843%로 매우 우수한 수치로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있었다.

  • PDF

어육(정어러) 발포건조제품가공에 관한 연구 1. 원료$\cdot$첨가물의 배합 및 가공조건 (Dehydration of Foamed Fish (Sardine)-Starch Paste by Microwave Heating 1. Formulation and Processing Conditions)

  • 이강호;이병호;유병진;송동숙;서재수;제외권;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3-290
    • /
    • 1982
  • Sardine and mackerel so called dark muscled fish have been underutilized due to the disadvantages in bloody meat color, high content of fat, and postmortem instability of protein. Recent efforts were made to overcome these defects and develope new types of product such as texturized protein concentrates and dark muscle eliminated minced fish. Approach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rapid dehydration of foamed fish-starch paste by dielectric heating. In process comminuted sardine meat was washed more than three times by soaking and decanting in chilled water and finally centrifuged. The meat was ground in a stone mortar added Ivith adequate amounts of salt, foaming agent, and other ingredients for aid to elasticity and foam stability. The ground meat paste was extruded in finger shape and heated in a microwave oven to give foamed, expanded, and porous solid structure by dehydration. Dielectric onstant $(\varepsilon')$ and dielect.ic loss $(\varepsilon")$ values of sardine meat paste were influenced by wavelength and moisture level. Those values at 100 KHz and 15 MHz were ranged 2.25-9.86; 2.22-4,18 for E' and 0.24-19.24; 0.16-1.20 for E", respectively, at the moisture levels of $4.2-13.8\%$. For a formula for fish-starch paste preparation, addition of $20-30\%$ starch (potato starch) to the weight of fish meat, $2-4\%$ salt, and $5-10\%$ soybean protein was adequate to yield 4-5 folds of expansion in volume when heated. Addition of e99 yolk was of benefit to micronize foam size and better crispness. In order to provide better foaming and dehydration, addition of $0.2-0.5\%$sodium bicarbonate, foaming agent, was proper to result in foam size of 0.5-0.7 mm and foam density of $200-400\;/cm^2$ which gave a good crispness. Heating time was depended upon the moisture level of fish-starch paste. For a finger shaped paste (1.0cm. $D\times10cm.L$) heating for 150-200 sec. in a microwave oven (700W. 2.45GHz) was sufficient to generate foams, expand, and solidify the porous structure of fish-starch paste.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above $55\%$ browning and scorching was deepened due to over-expansion and over-heating whereas the crispness was hardened by insufficient expansion at lower moisture content. In quality evaluation of the product, chemical composition of $30\%$ starch and $3\%$ salt added product was moisture $8.8\%$, lipid $2.4\%$, carbohydrate $46.7\%$, protein $36.1\%$, and ash $6.0\%$. Eleven membered panel test evaluated that fish-starch paste was acceptable in color, crisp-ness, taste, except a trace of fishy odour which could be masked by the addition of spice extracts.

  • PDF

Effect of Feeding Ammoniated Wheat Straw Treated with and without Hydrochloric Acid on Meat Quality and Various Sensory Attributes of Growing Male Buffalo (Bubalus bubalis) Calves

  • Naik, P.K.;Mendiratta, S.K.;Laxmanan, V.;Mehra, Usha R.;Dass, R.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85-490
    • /
    • 2004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feeding ammoniated wheat straw treated with and without HCl on meat quality and various sensory attributes of growing male buffalo (Bubalus bubalis) calves. Due to urea-ammoniation, the CP content of wheat straw increased from 2.90 to 6.96%. The addition of HCl along with urea during urea-ammoniation further increased the CP content to 10.09%. The proximate composition (% fresh basis) of psoas major, longissimus dorsi and semitendinosus were comparable among the groups. However, comparatively higher cumulative muscle mean protein and ash percentage and lower moisture percentage in groups II and III in comparison to group I indicated the desirable effect of feeding AWS and HCl-AWS. The cumulative muscle mean pH in group III (5.54)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group I (5.65) and II (5.62). The cumulative group mean pH and water holding capacity (% water retained) in semitendinosus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psoas major and longissimus dorsi. The cumulative muscle mean SSP (g%)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group III (41.78) than group I (42.45). The cumulative group mean cooking loss (%) was significantly (p<0.01) lower in psoas major (31.61) and longissimus dorsi (29.78) than semitendinosus (35.10). The cumulative group mean SFV (kg/$cm^{2}$) of psoas major, longissimus dorsi and semitendinosus were 6.38, 6.32 and 6.56, respectively, being lowest in psoas major and highest in semitendinosus. However, the cumulative muscle mean SFV (kg/$cm^{2}$) in group I, II and III were 6.53, 6.56 and 6.17, respectively, being lowest in group III and highest in group II. The scores of the cooked (2% common salt) buffen for various sensory attributes viz. appearance, flavour, juiciness, texture, mouth coating and overall palatability were comparable among the groups. Results suggested that feeding of ammoniated wheat straw treated with and without HCl to growing male buffalo calves for 180 days had no adverse effect on the meat quality and various sensory attributes.

인삼 부산물 급여 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 (Feeding Effect of Ginseng by-product on Characteristics of Pork Carcass and Meat Quality)

  • 유영모;안종남;조수현;박범영;이종문;김용곤;박형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7-342
    • /
    • 2002
  • 인삼 잎과 줄기의 crude saponin 함량은 약 8% 정도로 그 가치가 높아 사료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삼 잎과 줄기 부산물의 추출액을 사료에 3% 혼합하여 생산한 사료를 돼지에 20일, 30일 및 40일간 급여하여 생산한 돼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급여수준에 따른 돼지의 도체특성에 있어서 정육율은 20일 급여구가 65.55%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30일 급여구, 40일 급여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제거 지방율은 40일 급여구가 18.32%로 가장 높았다. 부분육벽 생산율은 목심, 갈비, 등심, 삼겹살, 뒷다리, 안심부위에서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앞다리 부위에서는 20일급여구에서 가장 높은 11.12%로 나타났다(P<0.05). 처리별 도체등급 A 및 B 등급 출현율은 30일과 40일 급여구에서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며, 등지방 두께는 20일 급여구가 가장 적었다(P<0.05). 처리구별 명도(Hunter L)는 30일 급여구가 50.2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20일 급여구가 46.9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PSE 출현율은 20일 급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pH는 인삼부산물을 40일 급여한 처리구에서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인삼부산물 급여 돼지 등심육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단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가열감량은 인삼부 산물 급여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난 반면, 보수력은 인삼 부산물 급여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인삼부산물 추출액 급여에 의한 돈육 생산시 도체특성 및 부된육 수율에서 인삼부산물 급여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pH는 인삼부산물을 40일간 급여한 처리구 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가열감량 및 보수력은 인삼부산 물을 각각 40일 또는 30일간 급여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