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Yield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1초

상어 껍질과 육으로부터 산 및 Pepsin 가용성 콜라겐의 추출과 탈색조건 (Extraction and Bleaching of Acid- and Pepsin-Soluble Collagens from Shark Skin and Muscle)

  • 김재원;김도균;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99
    • /
    • 2010
  •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산 (citric acid) 가용성 콜라겐 (ASC)과 pepsin 가용성 콜라겐 (PSC)의 추출 및 탈색조건을 조사하였다. 비 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정 NaOH 농도는 0.3 N이었으며 처리시간은 9시간이었다. 상어껍질의 탈색은 생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0.48% sodium hypochlorite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ASC 및 PSC의 추출시 산의 적정농도는 각각 0.3 M 및 0.1 M이었고, 추출시간은 각각 72시간 및 24시간 이었다. 산가용성 콜라겐인 ASSC (citric acid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ASMC (citric acid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 pepsin 가용성 콜라겐인 PSSC(pepsin and citric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PSMC (pepsin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에 함유된 총 단백질 함량은 각각 88.66, 83.09, 90.33 및 84.81% (dry basis)이었으며 시판 표준 콜라겐의 88.86%와 대등하였다. Hydroxyproline의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순 콜라겐 함량은 ASC에서는 25.70~70.31%, PSC에서는 32.94~83.09%이었다. 상어육과 껍질 (dry basis) 100 g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콜라겐의 수율은 ASC는 53.85~57.22%, PSC는 20.81~23.28%이었다.

청정닭고기와 일반닭고기의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Nutrient Components between the Chungjung Chicken Meats and General Chicken Meats)

  • 양희태;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7-191
    • /
    • 2003
  • 지질은 인간내에서 에너지원으로 또 여러 가지 필수 영양소의 원천으로 가장 중요한 영양소 중의 하나이며, 특히 식품에 특유한 풍미를 부여 할 뿐만 아니라, 저장 중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이다$^{19}$ ). 그러나 현재 동맥경화나 고혈압 등의 원인으로 지질의 질이 상당히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결정지어 주는 중요한 성분은 지방산이다$^{20}$ ). 본 연구는 양질의 사료와 미생물 생균제(INPEX),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을 먹인 청정닭고기와 국내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일반닭고기와 조단백질, 조지방, 칼슘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단백질과 칼슘은 청정닭고기가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일반 닭고기가 높았다. 그러나 지방산 조성에 청정닭고기는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 중에서도 n-3계열 지방산의 함량이 높았고 특히 뇌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고도불포화지방산인 DHA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또한 간접적으로는 단위동물들의 대사적 이향율 즉, 양질의 사료와 미생물 생균제(INPEX),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중에 함유된 linolenic acid를 ecosapentaenoic acid(EPA)와 decosahexanoic acid(DHA)등의 성분을 청정닭이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자료에는 없지만 이러한 청정닭고기는 육질이 부드럽고 맛있으며 고기가 쪽득거리고 씹는 맛(조직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일반닭고기 특유의 비린내가 없고, 지방이 적어 국물이 담백한 관능 결과도 나타내었다.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Liquid Methionine Hydroxy Analogue Compared to DL-methionine in Broilers

  • Yao, J.H.;Li, S.Q.;Zhong, L.L.;Huang, S.X.;Zhang, W.J.;Xi, H.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26-1032
    • /
    • 2006
  •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icacy of liquid methionine hydroxy analogue-free acid (MHA-FA) in comparison to DL-methionine (DL-Met) in broilers. 567 day-old Avian chicks were divided into 7 treatments with 5 replicates of 16 birds each. During the 35d (7-42 d) experimental periods chicks were given two basal diets. From 7 to 21d of age, a starting basal diet containing 19.5% protein and 0.33% methionine was supplemented with two graded levels of DL-Met (0.070 and 0.160%) or four levels of MHA-FA (0.118, 0.143, 0.221 and 0.268%). From 22 to 42d of age DL-Met (0.050 and 0.080%) or MHA-FA (0.071, 0.074, 0.112 and 0.140%) were added to a finishing basal diet with 18.0% protein and 0.28% methionine. Chicks fed on supplemental DL-Met or MHA-FA had significantly higher (p<0.05)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the control group from 7-21d of age. During the finishing phase (22-42 d), body weight and weight gain of chicks in DL-Met or MHA-FA treatment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control, but FCR was improved (p<0.05) with supplementation of DL-Met or MHA-FA. Breast yield was higher (p<0.05) on DL-Met or MHA-FA supplemented than un-supplemented diets. The thigh meat yields emanating from diets with DL-Met or MHA-FA were lower (p<0.05) than that in control. Abdominal fat was also higher in broilers fed the control diet than in DL-Met or MHA-FA supplemented treatments. Methionine requirement of broilers was calculated to be 0.44 and 0.35% and cystine requirement was 0.35 and 0.31% for the starting (7-21 d) and finishing phase (22-42 d), respectively. The efficacy of MHA-FA in comparison to DL-Met for weight gain was 64 and 85% and for FCR was 55 and 60% at 7-21 and 22-42 d of age, respectively, while it was 74, 72, 52 and 48% for breast yield, thigh meat production, body energy content and energy deposition ratio at 42 d of age, respectively. In conclusion, in practical diet formulation for broiler chicks the average bioavailability of MHA-FA relative to DL-Met could be considered as 60 and 73% for 7 to 21d and 22 to 42 d of age, respectively.

가열 조리된 돼지고기의 Heterocyclic Amines 분석을 위한 Solid-phase 추출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Different Solid-Phase Extrac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of Heterocyclic Amines from Pan-Fried Pork Meat)

  • 이재환;백유미;이광근;신한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37-644
    • /
    • 2008
  • 식품 중 HCAs을 검출하기 위한 최적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가열 조리된 돼지고기 패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4가지 SPE(solid-phase extraction)방법을 비교하였다. 4가지 전처리 방법을 통해 얻은 15가지 HCAs 회수율은 3.0%(방법 A, Tri-P-1)-74.7%(방법A, Tri-P-2)이었다. 그 중 $MeA{\alpha}C$가 평균적으로 73.4%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Tri-MeIQx가 15.2%의 가장 낮은 회수율을 보였다. 4가지 전처리 방법 중 방법A와 방법D가 가장 높은 회수율과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방법B와 방법C는 Harman(14.8%)을 제외하고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회수율을 구할 수 없었다 발암 가능 물질인 IQ, $A{\alpha}C$, $MeA{\alpha}C$, Glu-P-1, Glu-P-2, MeIQ, MeIQx, PhIP 등을 검출하는 방법에는 방법A(48.7-74.6%)가 4가지 방법 중 가장 유리하다. HCAs는 극성에 따라 polar amines과 less-polar amines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방법A는 less-polar amines검출에 유리하고 방법D는 polar amines검출에 유리하다. 방법A와 방법D의 chromatogram을 비교한 결과 방법A와 방법D 모두 15가지 HCAs가 깨끗하게 분리되었지만 Tri-MeIQx 등을 검출하는데 방법A가 더욱 유리하다. SPE 전처리 방법 및 LC/MS 분석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LOD(0.2-2.1 ng/mL)와 LOQ(0.8-9.7 ng/mL), 표준 편차(0.2-8.6)를 구하였다.

답리작 재배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거세 한우의 증체, 사료요구량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 Crop Barley Silage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Requirement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김기용;조원모;박범영;김영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7-266
    • /
    • 2010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보리를 재배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고 거세 한우에게 청보리 사일리지를 급여하여 성장, 사료이용성, 도체특성 및 육질개선 효과를 구명하고자 전북 정읍 농가에서 4개월령 거세 한우 육성우 21두를 공시하여 27개령까지 사육하였다. 대조구(일반볏짚구), 청보리 사일리지구, 생볏짚 사일리지+청보리 사일리지구 등 3처리를 두었으며, 배합사료는 육성기는 체중의 1.5%, 비육전기는 1.8%, 비육후기는 자유 채식하도록 하였고, 조사료는 사육기간 자유채식을 원칙으로 하였다. 청보리 사일리지의 평균 생산량은 ha당 사일리지 17,135 kg, 건물 6,011 kg 이었으며,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청보리에서 2~3등급, 생볏짚은 4등급이었다.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로 거세 한우증체와 배합사료 절감효과가 뚜렷하였는데, 육성기에는 일당증체 65% 증가, kg 증체당 배합사료 35% 절감, 비육전기는 일당증체 7% 증가, kg 증체당 배합사료 19% 절감, 그리고 전기간으로는 일당증체 8% 증가, kg 증체당 배합사료 18% 절감효과가 있었다. 또 청보리 사일리지구에서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62.5%로 대조구(37.5%)에 비해 높았으며, 근내지방도도 4.38로 대조구(2.75)에 비해 높았고, 고기의 보수력, 가열감량, 다즙성, 연도, 향미 등도 우수하였다(p<0.05). 답리작 재배 청보리는 양질 사료작물로 거세 한우의 증체와 배합사료 절감, 육질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육성기와 비육전기 위주 급여가 바람직하였고, 답리작을 이용한 월동 사료작물 재배확대가 기대되었다.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2. Processing of Paste Food, Protein Concentrate, Seasoned Dried Product, Powdered Seasoning, Meat Ball, and Snack)

  • 박영호;이응호;이강호;변재형;김세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80
    • /
    • 1980
  • 크릴을 원료로 하여 품에 대한 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실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rill paste의 제조에 있어서 krill juice는 $71\%$, krill scrap는 $29\%$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krill juice에서 분리한 krill paste는 $53\%$, krill broth는 $4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Krill paste의 아미노산 조성은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았고,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높았고 methionine의 함량이 낮았다. 2. 크릴분말단백질의 제조에 있어 최적가공조건은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90\%$ isopropyl alcohol나 ethyl alcohol을 가하여 $80\%$에서 5분간 추출하는 조작을 5회 반복하는 것이었다. 추출용제로서는 ethyl alcohol 보다 isopropyl alcohol이 양호하였으며, 크릴분말단백질의 수율은 생동결크릴의 경우는 isopropyl alcohol 추출때가 $10.2\%$ ethyl alcohol 추출때는 $8.8\%$였고, 자숙동결크릴의 경우는 각각 $13.0\%$$11.8\%$였다. 크릴분말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생육질부의 아미노산조성과 거의 비슷하였다. 한편 크릴분말단백질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원료 밀가루에 대하여 $3\%$까지 첨가 한 것이 국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단백질을 강화할 수 있다고 판정하였다. 3. 크릴조미조림품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볼 때 열풍건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일건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이며, 자숙냉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못 하였다. 4. 크릴의 건조분말에 볶은참깨가루, 소금, 분말우육엑스, monosodium glutamate, 고추가루 및 후추가루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분말조미료를 만들 었을 때의 품질은 색택에 있어서는 열풍건조크릴을 사용한 것이 양호하였고, 냄새는 일건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열탕에 녹였을 때의 풍미는 sample B(크릴함량 $77\%$)가 가장 적당하였다. 5. 크릴 및 조기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밀가루, monosodium glutamate 및 소금을 첨가하여 krill meat ball을 만들어 그 색택, 맛 냄새, texture 및 젤리강도 등에 대하여 관능검사를한 결과, 크릴의 첨가량이 $25\%$까지의 제품이 양호하였으며, 생동결 및 자숙동결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의 품질차는 인정할 수 없었다. 6. 크릴, $\alpha$-전분, 고구마전분, 설탕, 소금, monosodium glutamate, glycine, 주석산칼리, 중탄산암모늄 및 중탄산소오다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크릴${\cdot}$스낵${\cdot}$과자를 만들어 품질을 비교 검토한 결과 sample B(크림함량 $7.1\%$) 및 sample C(크릴함량 $10.8\%$)서 가장 양호하였다. 크릴${\cdot}$스낵${\cdot}$과자의 제조에 있어서 각종 전분의 가공적성을 시험한 결과 고구마전분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옥수수전분, 갈분의 순이었으며, 밀가루가 가장 못 하였다. 튀김방법은 소금튀김에 비하여 기름튀김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있고, 튀김온도는 $210\~215^{\circ}C$가 적당하였다.

  • PDF

한국재래닭과 육계의 발육 및 도체 특성 비교 연구 1. 재래닭과 육계의 발육 및 도체형질 비교 (Studies on the Comparisons between Korean Native Fowl and Broiler for the Live Performance and Carcass fields 1. Comparisons between Korean Native Fowl and Broiler for the Live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s)

  • 정익정;이병현;양창범;한성욱;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5-215
    • /
    • 199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육되고 있는 한국재래닭의 산육능력과 도체특성을 조사하여 육계의 능력과 비교함으로써 재래닭의 사양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1992년 3월부터 동년 6월까지 14주간을 재래닭과 육계 2계종을 산란사료를 이용하여 암수 각각 50수씩 총 200수를 조사 기록한 성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체중은 14주령에 재래닭이 868.7g, 육계는 3, 526.6g으로 입추시 체운에 비하여 재래닭은 26.6배, 육계는 72.9부의 속도로 성장하였다. 2. 재래닭의 등체율은 수컷이 74.1∼78.5%, 암컷은 73.9∼77.5%이었으며, 육계의 도체율은 수컷이 72.2∼76.9%, 암컷은 71.7∼76.9%를 나타내 재래닭의 도체율이 육계에 비해 2% 내외 더 높았다. 3. 가식부위 중량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9∼14주령의 도체중 대비 익부의 중량비율은 재래닭의 수컷이 11.5∼12.4%, 암컷은 11.5∼13.1%인 반면에 육계의 수컷은 11.9∼10.7%, 암컷은 10.7∼12.2%로 재래닭의 중량비율이 높고 또한 주령이 증가하면서 재래닭의 익부는 계속 성장하였는데 육계는 도체중 대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4. 배부와 흉부는 육계가 성장할수록 도체중 대비 중량비율의 증가폭이 재래닭에 비하여 켰는데 배부에서 재래닭 수컷은 15.4∼17.0%, 암컷은 15.4∼16.8%인데 육계는 수컷이 17.2∼19.0, 암컷은 17.2∼19.1%이었다. 또한 흉부에서는 재래닭 수컷의 도체중 대비 중량비율은 19.6∼22.0%, 암컷은 20.2∼22.7%, 육계의 수컷은 23.5∼24.5%, 암컷은 25.1∼27.0%를 나타냈다. 5. 대퇴부와 북채를 합한 종량의 도체중 대비 비율은 재래닭의 수컷이 26.8∼28.0%, 암컷은 25.5∼27.1%, 육계의 수컷은 27.7∼27.8%, 암컷은 26.9% 를 거의 유지하고 있어 재래닭과 육계의 중량비율에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6. 불가식부위 중량을 비교한 결과에서 9∼14주령의 우모중은 재래닭이 생체중 대비 5.3∼6.8%인 반면에 육계는 3.8∼4.4%로 나타나 재래닭이 육계에 비하여 개량속도가 늦은 경향을 알 수 있었다. 7. 복강지방 중량은 재래닭의 수컷이 2.42∼3.88g, 암컷은 1.84∼3.08g으로 암수 모두 도체중 대비 0.5%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육계의 수컷은 39.4∼56.3g, 암컷은 33.3∼67.8g으로 2.5∼3.0%의 복강지방을 함유하고 있었다.

  • PDF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Cabbages [B. campestris (syn. rapa) L.] and Cabbages (B. oleracea L.) in Korea

  • Sun, Yan-Lin;Zheng, Shi-Lin;Park, Kyong-Cheul;Choi, Ki-Young;Kang, Ho-Min;Hong, Soon-Kwa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94-304
    • /
    • 2016
  • Members of the genus Brassica, which are known as oil crops or cruciferous vegetables, are widely cultivated in Canada, Australia, Asian and Europe. Because Brassica species have high yields, are well adapted to their environments, and are self-incompatible, the germplasm is abundant.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bundant genetic diversity even within Brassica subspecies. In Korea, fresh cabbage leaves are eaten with roast meat, and to meet the current popular demand, new varieties are being increasingly bred. To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cabbage vegetables in Korea, we evaluated the genetic variation of 18 accessions based on 5S and 18S ribosomal RNA (rRNA) gene sequences. We detected many variable nucleotide sites, especially in the 5S rRNA gene sequences. Because the length of the 18S rRNA gene might influence the dissimilarity rate statistics, we used both the 5S and 18S sequences to analyz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S7 (B. oleracea) showed the most dist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rassica species. Interestingly, B2 (B. oleracea), B15, and B18 (B. campestris) have three different types of leaf profiles, and were divided into one group, and the other Brassica species formed another group.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species and intraspecies genetic distances revealed that B. campestris L. showed higher genetic diversity than B. oleracea L. This work provides additional data that facilitates the evaluation of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Brassica species.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functional plant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Brassica crops.

제주마 생산기반 확대를 위한 사육 , 번식 , 가공 , 질병 및 유전형질의 연구 I. 제주지역 마사육목장에서 방목기간동안 월별 신규개량초지와 기성 개량초지 간에 목초생산성 비교 (A Study on Feeding ,Reproduction , Meat and Milk Productions , Disease and Genetic Character for Cheju Horse Industry Development I.Monthly changes of herbage production comparing new pastures of horse farm with old pastures)

  • 김문철;정창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68
    • /
    • 1996
  • Hehage production, botanical composition and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een new pastures and old pastures during grazing seasons from May 1993 to October 1994, to find out the condition of pastures grazed by horses on Chdu. Dry matter yields between new pastures and old pastures were 8,757kglha and 7,486kglha respectively. Plant heights of new pastures were 17.4cm. compared with those of old pastures of 12.lcm.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new pastures was composed of grasses about 402, legumes 7~14%, others 18-30% and dead materials 18~ 25%. whiie there were grasses 12%, legumes 3~7%, others 65% and dead materials 15% in old pasture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phosphoms and sodium were lower in old pastures(l3.30, 0.24 and 0.10% respectively) than those in new pastures(l5.47, 0.28 and 0.14%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F, NDF, Ca, Mg and K content between the 2 kinds of pastures.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2 kinds of pastures was shown to be similar, except available phosphorus, comparing 8.18ppm in old pastures with 84.43ppm in new pastures. Although the herbage yield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of old pastures were lower than those of new pastures, we suppose that the old pastures would be improved, if taken good care of by methods such as oversowing and sometimes applying fertilizer.

  • PDF

Dry aging of beef; Review

  • Dashdorj, Dashmaa;Tripathi, Vinay Kumar;Cho, Soohyun;Kim, Younghoon;Hwang, 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5호
    • /
    • pp.20.1-20.11
    • /
    • 2016
  • The present review has mainly focused on the specific parameters including aging (aging day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flow), eating quality (flavor, tenderness and juiciness), microbiological quality and economic (shrinkage, retail yields and cost) involved beef dry aging process. Dry aging is the process where beef carcasses or primal cuts are hanged and aged for 28 to 55 d under controlling environment conditions in a refrigerated room with $0^{\circ}$ to $4^{\circ}C$ and with relative humidity of 75 to 80 %.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dry aging procedures and purveyors of such products are passionate about their program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dry aging process by a wider array of purveyors and retailers in the many countries. Dry aging process is very costly because of high aging shrinkage (6 to 15 %), trims loss (3 to 24 %), risk of contamination and the requirement of highest grades meat with. The packaging in highly moisture-permeable bag may positively impact on safety, quality and shelf stability of dry aged beef. The key effect of dry aging is the concentration of the flavor that can only be described as "dry-aged beef". But the contribution of flavor compounds of proteolysis and lipolysis to the cooked dry aged beef flavor is not fully known. Also there are limited scientific studies of aging parameters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dry aged be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