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displacement

검색결과 1,598건 처리시간 0.038초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수정변위계수법을 이용한 다경간 교량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Span Bridges using CSM and modified DCM)

  • 남왕현;송종걸;정영화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B호
    • /
    • pp.119-126
    • /
    • 2006
  • Capacity spectrum method(CSM) of ATC-40(1996) and displacement coefficient method(DCM)of FEMA-273(1997) are applie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In this study, equivalent response is obtained from nonlinear static analysis for the 3spans continues bridge and nonlinear maximum displacement response is calculated using CSM and DCM. Nonlinear maximum displacement response of DCM is larger than this of CSM. It is method that DCM can evaluate target displacement and ductility of structural to be easy and simple, but tend to overestimate the maximum displacement response. Therefore, this method is mainly used at preparation design level to evaluate the structural response. It is not desirable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using DCM.

  • PDF

강널말뚝 흙막이벽으로 시공된 굴착연약지반의 안정성 (The Stability of Excavated Soft Ground Supported by Sheet-pile Walls)

  • 홍원표;김동욱;송영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14
    • /
    • 2005
  • 인천국제공항 공사현장의 흙막이 굴착단면에서 계측된 자료를 검토하여 연약지반에 설치된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와 굴착주변지반의 변형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벽체의 지지방식에 따른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는 앵커지지, 복합지지, 버팀보지지 순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지지방식에 따른 최대수평변위 발생위치도 서로 다르게 발생하였다.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 및 최대수평변위속도는 굴착지반의 안정수가 ${\pi}$이하일 경우 각각 굴착깊이의 $1\%$, 1mm/day이하로 발생되고, 안정수가 ${\pi}+2$ 이하일 경우 각각 굴착깊이의 $2.5\%$, 2mm/day이하로 발생되며, 안정수가 ${\pi}+2$ 이상일 경우 급격하게 증가한다. 또한, 굴착저면에서의 N치가 감소함에 따라 흙막이벽의 최대수평 변위는 증가하며, N치가 약 10이하일 경우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는 급격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Terzaghi(1943)에 의해 제안된 히빙에 대한 안전율이 감소함에 따라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는 증가하며, 히빙의 안전율이 2.0일 경우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는 급속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연약지반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경우 히빙에 대한 안전율은 2.0으로 제안할 수 있다.

준설 점토사면의 변형양상에 관한 원심모델링 (Centrifuge Modeling on the Deformation Modes of Dredged Clay Slope)

  • 안광국;김정열;정소전;이처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9-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준설에 따른 점토사면의 변형 및 변위양상과 파괴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준설사면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면서 원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준설사면의 기울기는 1:2, 1:2.5, 1:3으로 변화시키면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울기 1:3인 경우에는 4개월 경과시점까지 사면부내에서 변위는 발생되었지만, 초기단면과 유사하게 사면을 유지하고 있어 준설후 사면 안정성의 확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준설사면 기울기가 1:2.5인 경우에는 4개월 경과시점에서 사면부내에서 국부적인 사면파괴가 발생하였으며, 기울기가 1:2인 사면의 경우 경과시간 2개월 후 원호파괴형태의 사면내 파괴가 발생되었다. 실험결과 지반의 최대 연직변위는 사면의 비탈머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 수평변위는 비탈머리를 기준으로 0.5~1H(H : 초기 점토층의 높이) 떨어진 지점의 사면부 아래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 수평변위는 최대연직변위의 약 2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현장계측과 수치해석에 의한 흙막이구조물의 거동 비교분석 (A Study on Behavior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by 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Analysis)

  • Wo, Jong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86-295
    • /
    • 2017
  • 본 연구는 경사계에 의한 지중수평변위 계측값을 중심으로 수치해석에 적용하기 위한 지반 반력계수를 다양한 이론 및 경험식으로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산정된 지반반력계수의 변화에 따라 벽체 최상단에서는 벽체변위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6.80배로 크게 났으나, 최대 변위점에서는 차이는 거의 없는 1.06배로 나타나 지반반력계수의 증분에 비해 변위의 차이는 작으며 전체적으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대변위 발생점에서의 변위를 수치해석한 결과와 계측치로 비교한 결과 변위형상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중공롤러의 절단면 형상변화에 따른 변형거동 특성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Displacement Behavior of Hollow Rollers with Cross Sectional Area Profiles)

  • 정준기;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의 절단면 형상과 하중지지 용량을 높이기 위해 원판을 설치한 중공롤러의 변위거동 특성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였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중공롤러의 절단면 형상은 외측튜브, 중간튜브, 내측튜브와 이들 튜브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X형 또는 Y형 컬럼을 설치한 경우는 중공롤러의 중간부에서 발생하는 최대 변위량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중공롤러의 중간부 두께를 30~40mm 갖는 원판을 설치할 경우는 중공롤러의 최대 변위량을 줄이는데 효과가 크다는 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롤러의 전체 중량에 연계된 최대 변위량 비율을 고찰한 최적설계 데이터를 제하였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중공롤러에서 발생하는 최대 변위량과 전체 중량의 비율을 줄인 설계모델로는 4, 5와 6번을 추천할 수 있다.

연약지반에 설치된 앵커지지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거동 (The Behavior of Sheet Piling Walls supported by Anchors in Soft Ground)

  • 홍원표;송영석;김동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65-74
    • /
    • 2004
  • 인천국제공항 공사현장의 7개 흙막이 굴착단면에서 계측된 자료를 토대로 연약지반에 설치된 앵커지지 강널말뚝 흙막이벽의 수평변위과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을 조사하였다. 연약지반에서 앵커지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의 분포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측방토압의 크기는 $0.6\gamma H$임을 알 수 있다. 제안된 측방토압의 크기는 NAVFAC(1982)의 경험토압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연약지반에 설치된 앵커지지 흙막이벽의 안정성에 대한 판단기준은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속도와 안정수를 이용하여 마련할 수 있다.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속도가 1mm/day이하이면 흙막이벽의 안정성이 양호한 현장이고, 1-2mm/day이면 주의시공을 요하는 현장이며, 2mm/day이 상이면 흙막이벽의 안정성이 불량한 현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가새 설치 여부에 따른 시스템 동바리 거동변화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Change of System Supports according to the Brace Installation)

  • 오병한;최병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4-111
    • /
    • 2018
  • System supports are widely used in concrete construction due to the convenience and structural safety at the point of both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However, there were frequent collapses in the construction sites due to the absence of both structural review and brace installation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braces in the system supports. In order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brace, four types of braces were considered: 100% braces, 50% braces, 25% braces, and without braces. The maximum displacement of the 100% braced model was 0.97 mm, the 50% braced model was 1.13 mm, the 25% braced model was 1.16 mm and the non-braced model was 24.3 mm,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model with the without-braces, the model with 100% of the braces installed has a displacement of 4.0%, the model with 50% of the braces showed a displacement of 4.7%, and the model with 25% of the braces appeared to be a displacement of 4.8%. That is, the installation of the braces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maximum displacement of the system supports and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maximum displacement with only small number of braces installed.

지상 LiDAR를 이용한 철골보의 안전 및 사용성 모니터링을 위한 변위 계측기법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using Terrestrial LiDAR for Safety and Serviceability Monitoring of Steel Beams)

  • 이홍민;박효선;이임평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0-197
    • /
    • 2005
  • To monitor th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a structures, structural responses including displacements due to various design and unexpected loadings must be measured. The maximum displacement and its distributions of a structure can be used as a direct assessment index on its stiffness.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diversely studied on measuring of the maximum displacement of a structure. However, there is no practical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a structure. Therefore, in this paper, new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is developed and accuracy of LiDAR is examined in detail for development of a new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a structure.

  • PDF

라이다를 이용한 고층 건물의 변위 계측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of High-rise Buildingas using LiDAR)

  • 이홍민;박효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6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8
    • /
    • 2006
  •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is concerned with th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the users of structures, especially for the case of building structures and infrastructures. When considering the safety of a structure, the maximum stress in a member due to live load, earthquake, wind, or other unexpected loadings must be checked not to exceed the stress specified in a code. It will not fail at yield, excessively large displacements will deteriorate the serviceability of a structure. To guarantee th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structures, the maximum displacement in a structures must be monitored because actual displacement is a direct assessment index on its stiffness. However, no practical method has been reported to monitor the displacement, especially for the case of displacement of high-rise buildings because of not to easy accessive. In this paper, it is studied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of high-rise buildings using LiDAR The method is evaluated by analyzing accuracy of measured displacements for existing building.

  • PDF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지반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 손무락;윤종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396-403
    • /
    • 2009
  •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estimate maximum settlement and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due to tunnel excavation varying ground condition, tunnel depth and diameter, and construction condition (volume loss at excavation face). The maximum surface settlement from the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ompared with the maximum settlement at tunnel crown considering ground condition, tunnel depth and diameter, and construction condition, and it has been also compared with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The results from the numerical analysis have been compared with field measurement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and by this comparison it is believed that the numerical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practically in analyzing the ground movements due to tunnel exca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