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설 점토사면의 변형양상에 관한 원심모델링

Centrifuge Modeling on the Deformation Modes of Dredged Clay Slope

  • 안광국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정열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정소전 (충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처근 (NGEO 컨설턴트 기술연구소)
  • 투고 : 2007.01.02
  • 심사 : 2007.03.07
  • 발행 : 2007.04.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준설에 따른 점토사면의 변형 및 변위양상과 파괴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준설사면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면서 원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준설사면의 기울기는 1:2, 1:2.5, 1:3으로 변화시키면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울기 1:3인 경우에는 4개월 경과시점까지 사면부내에서 변위는 발생되었지만, 초기단면과 유사하게 사면을 유지하고 있어 준설후 사면 안정성의 확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준설사면 기울기가 1:2.5인 경우에는 4개월 경과시점에서 사면부내에서 국부적인 사면파괴가 발생하였으며, 기울기가 1:2인 사면의 경우 경과시간 2개월 후 원호파괴형태의 사면내 파괴가 발생되었다. 실험결과 지반의 최대 연직변위는 사면의 비탈머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 수평변위는 비탈머리를 기준으로 0.5~1H(H : 초기 점토층의 높이) 떨어진 지점의 사면부 아래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 수평변위는 최대연직변위의 약 2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centrifugal tests were performed with varying the angle of slope such as 1:3, 1:2.5, and 1:2 in order to analyze the deformation and failure type of dredged clay slope for a short term. The displacement mode, displacement vector and the variation of pore pressure with the different slope angle were measured. As a results, even though the displacement in the slope after 4 months were developed in the case of 1:3 for the dredged slope, there are little problems to obtain the stability of dredged slope because the original construction section maintains. Also, in the case of 1:2.5 after 4 months the local slope failure occurred and in the case of 1:2 after 2 months the circle failure starting from the point of the tensile crack occurred. After reviewing the results, the maximum vertical displacement occurred at the crest of slope and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was about double of maximum vertical displac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