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ximum Residues Limits(MR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223초

Evaluating sulfoxaflor residues in pig tissues using animal modeling

  • Hyun-Woo, Cho;Kangmin, Seo;Jin Young, Jeong;Ju Lan, Chun;Ki Hyun,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5호
    • /
    • pp.911-921
    • /
    • 2022
  • Maximum residue limits (MRL) for pesticides in feed have been set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produce safe livestock products. In vivo experiments to establish MRL are essential, as livestock are commonly used to obtain reliable in vivo quantitative information. Here, we aimed to evaluate whether small laboratory animals can replace or reduce monogastric livestock in experiments to quantify pesticide residues in vivo after oral consumption through feed. First, 24 pigs and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nd fed 0, 3, 9, or 30 mg/kg of sulfoxaflor. After four weeks, serum, muscle, fat, liver, kidney, and small intestine samples were collected, and sulfoxaflor residues were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 tandem mass spectrometry. Sulfoxaflor residues in pig tissu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in rat tissues. Model equa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residual sulfoxaflor amount in pig and rat tissues. The calculated and measured sulfoxaflor residues in pigs and rats showed more than 90% similarity. Sulfoxaflor did not affect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or the feed conversion ratio. Therefore, we concluded that pesticide residue quantification in vivo to establish MRL could be performed using small laboratory animals instead of livestock animals. This would contribute to obtaining in vivo pesticide residue information and reducing large-scale livestock animal experiments.

국내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현황분석과 대처방안 (Present Status and Remedial Actions with Regard to Legal Limits of Pesticide Residues in Korea)

  • 이서래;이미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4-43
    • /
    • 2001
  • 국내에서 1998년까지 잔류기준이 설정, 고시된 농약성분 202종에 대하여 예상되는 문제점을 확인하는 동시에 이에 필요한 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준치로 부터 계산한 이론적 최대섭취량이 ADI 의 80%를 초과하는 농약은 35개 성분에 이르렀다. 국내기준과 Codex기준의 격차가 10배 이상되는 항목은 35종 농약, 47종 농산물에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202종 농약 중 어느 한 종목에서라도 적용작물이면서 잔류기준이 없는 것은 33개, 적용작물이 아니면서 잔류기준이 있는 것은 50개 항목에 이르렀다. Codex기준에서 농산물의 원료와 가공상태에 따라 잔류기준이 각각 다른 사례들을 검색하였다. 국내기준에서 발견되는 이상의 모순점들을 시정하기 위한 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 PDF

전남지역 복숭아중의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in Peaches in Chonnam province)

  • 김영국;오금순;송병준;박종태;김순천;박재홍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28
    • /
    • 1992
  • 전남지방의 주요 재배단제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복숭아들에 대한 농약 잔류량 조사하였으며, 이들 복숭아를 수세 및 탈피 그리고 저장하였을 때의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총 24종의 조사대상 농약중 TPN(Chlotothalonil) 및 Diazinon 그리고 Fenitrothion만이 3지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잔류량은 보사부에서 설정한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 MRL)에 크게 미달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들 시료들을 수세 및 탈피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 TPN의 우 MRL을 훨씬 초과한 양이 검출되었는데, Diazinon은 MRL에는 미치니 못하였지만 수세 및 탈피한 시료들보다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수세에 의한 복숭아중의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의 경우 63.4~66.4% 이었으며 Diazinon은 거의100% 수준이었다. 한편 탈피에 의한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 및 Diazinon 모두에서 대부분 제거되어 수세에 의한 경감보다도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료를 2주간 저장한 후 복숭아를 수세나 탈피를 하지 않거나 수세만 하여도 TPN과 Diazinon이 대부분 제거되며, 탈피를 한 경우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

식육에서 베타아고니스트계 약물 잔류 연구 (Monitoring for β-agonist residues in raw meat in Seoul)

  • 최윤화;김미란;김영섭;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9-82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residues of ${\beta}-agonist$ (zilpaterol, ractopamine and clenbuterol) using LC-MS/MS in raw meat in Seoul. The recoveries ranged between 76.7~89.9% in beef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 were $0.01{\sim}0.09{\mu}g/kg$ an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were $0.03{\sim}0.28{\mu}g/kg$ respectively. Residues of ${\beta}-agonist$ drugs which exceeded maximum residue limits (MRL) were not exceed in any of the 267 samples.

농산물중 농약잔류 허용기준 설정시의 변이계수 분석 (Analysis of Variability Factors in Establishing Pesticide Residue Limits on Food Crops)

  • 이미경;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92-497
    • /
    • 2005
  • 잔류농약과 관련된 포장시험 및 기준설정에는 데이터의 변이성이 뒤따르기 때문에 여러가지 허수(default value)를 채택하고 있다. 잔류농약 분석상의 오차는 $RSD\;{\pm}30-40%$에 이르고 있어 잔류허용기준(MRL)은 이것을 감안하여 geometric progression에 따르고 있다. 과거 5년간(1998-2002)의 JMPR 보고서에 의하면 포장시험에서의 변이계수(중앙치에 대한 최고치 비율)은 LOQ 이상에서의 486개 농약-작물 조합에서 평균 3.8배에 이르고 있고 기준설정시의 절상효과는 최고치의 1.5배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에서 기준설정시의 규제마진(최고잔류치에 대한 최대잔류기준의 비율)은 822개 농약-작물 조합에서 평균 4.8배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규제마진을 적용하는 경우 국내의 잔류기준은 Codex보다 높게 설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설정에서 Codex기준과 국내기준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검증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배와 단감 중 농약 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Pears and Sweet Persimmons)

  • 이해근;이영득;신용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31-137
    • /
    • 1988
  • 배와 단감중 농약잔류량을 조사하기 위해 전국 주산단지에서 각 30점씩 1985년 에 채취,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의 경우 7~60%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잔류수준은 매우 낮았다. 검출시료의 평균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었으며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53~2/3에 불과하였다. 2. 검출농약의 잔류분포를 보면 captan과 captafol은 75~80%가 0.2ppm 이하로, dicofol은 77%가 0.1ppm 이하로 parathion은 60%가 0.05ppm 이하로 검출되었다. 3. 한편 배 과일의 부분별 잔류분포를 조사한 결과 배 중 잔류농약의 대부분이 과피에 잔류하고 과육에는 18~29% 잔류하였다. 4. 단감의 경우는 captan, captafol, EPN, parathion 및 phenthoate가 3~20%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나 잔류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하였다. 본 조사결과는 배와 단감이 사과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중요수출농산물인 만큼 농산물 국제무역에서 장애요인의 하나인 농약 잔류문제에 대처하고 또한 식품별 잔류허용기준설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시설재배 딸기와 오이 중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and Cucumbers from plastic Film Houses)

  • 이해근;김영구;박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88
  • 농작물중 농약 잔류량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국주요시설 재배지에서 채취한 딸기와 오이 각 50점과 서울시 소재 5개 슈퍼마켓에서 시판되는 딸기를 수집, 농약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딸기에서는 일부 시료에서 procymidone, chlorothalonil. captan, diazinon, ${\alpha}-endosulfan$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79~1/2 에 불과하였다. Malathion, Fenitrothion, parthion 등 유기인계 살충제는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시판 딸기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오이에서는 유기인계 살충제가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기타 살균제의 검출빈도는 딸기와 비슷하였으나 잔류수준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딸기와 오이 중 검출 빈도와 잔류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농약은 procymidone과 chlorothalonil로서 이들의 조사최대치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고 있어 현재로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일에 의한 딸기중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38~95%로서 상당부분이 제거 되었다. 딸기 잿빛 곰팡이병 방제약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cymidone이나 dichloflanid에 대한 농약잔류향조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아울러 본 조사연구는 금후 이들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antibiotic residues in milk from healthy dairy cows treated with bovine mastitis ointment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 Park, Eun-Kee;Ryu, Yong-Jae;Cha, Chun-Nam;Yoo, Chang-Yeul;Kim, Suk;Lee, Hu-Ja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33-23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penicillin G (PEG), streptomycin (STR) and neomycin (NEO) residues in milk of healthy lactating cows.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four quarters of 12 dairy cows 2−7 days after intramammary infusions of an ointment containing PEG, STR and NEO once (n = 4; group I) or twice (n = 4, group II) dail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determine the antibiotic residues in the samp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the calibration curves for all antibiotics was > 0.999 and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0.002-0.005{\mu}g/mL$ and $0.007-0.02{\mu}g/mL$, respectively. Recovery rates were ranged from 75.5 to 92.3%. In group I, PEG, STR and NEO residues were detected in milk at 2, 3 and 2 days post-treatment, respectively, which were below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In group II, PEG, STR and NEO residues were detected in milk at 2, 3 and 3 days post-treatment, respectively, which were bellow the MR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3-day for milk withdrawal period after the ointment treatment might be sufficient for reduction of the antibiotic residues below the MRL.

서울지역 유통 식육 중의 세팔로스포린계 항균물질 잔류실태 조사 (Monitoring for cephalosporins residues in raw meat in Seoul)

  • 김미란;최윤화;최훈;김두환;김영섭;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9-264
    • /
    • 2015
  • We investigated the residues of 6 cephalosporins (cefquinome, cephalexin, cephalonium, cefazolin, ceftiofur, cefuroxime) using LC-MS/MS in raw meat in Seoul. This method involves extraction of the residue from the meat by distilled water and methanol followed by a manual of residue analysi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The recoveries ranged between 74.71~90.01% in beef, 73.37~101.40% in pork and 70.87~95.53% in chicken,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 were 0.0004~0.0563 mg/kg, an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were 0.001~0.169 mg/kg respectively. Residues of cephalosporins which exceeded maximum residue limits (MRL) were not exceed in any of the 287 samp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method, which includes the active metabolites of ceftiofur.

위해성평가에 근거한 농산물 중 22종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22 Pesticide MRLs in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Risk Assessment)

  • 정형욱;하용근;임무혁;신지은;도정아;오재호;조재호;권기성;박선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6-172
    • /
    • 2011
  • 본 연구를 통해 신규농약인 isotianil의 쌀에 대한 잔류허용기준과, 기준이 확대되는 21종 농약에 대해 26개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시하였다. Iisotianil의 쌀에 대한 MRL은 0.1 mg/kg으로 설정하였고, ADI대비 TMDI의 비율 1.54%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기준이 확대되는 21종의 농약의 경우 dinotefuran, idoxacarb, trifumizole을 제외한 나머지 농약은 ADI대비 TMDI의 비율이 50% 미만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판단된다. Trifumizole은 재평가를 통해 미등록된 작물의 기준을 폐지하면, 현재의 ADI대비 TMDI 비율 절반 수준인 30% 미만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