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llary molar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27초

상악궁 확장술을 통한 치료전, 후 및 보정후 상악 구치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posterior segments between before, after treatment and postretention period through maxillary expansion therapy)

  • 박태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5-63
    • /
    • 1997
  • 치열궁의 크기와 폭경 변화에 대한 연구가 사용된 장치 형태, 사용시기에따라,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또한 Quad-helix도 선학들에게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Quad-helix의 안정성과 장치 사용 전, 후에 대한 효과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장치 사용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논문은 이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환자의 치료전,후 및 보정후의 치열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Quad-helix사용 전, 후 구치부의 적응 양상을 연구함으로써 임상에서 Quad-helix를 통한 치료를 시행할 때 이 장치사용에 따른 효과 및 예후에 대하여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교정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Quadhelix를 사용한 교정치료시 상악 제 1 소구치 와 제 1 대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 및 보정후에서 교두간 폭경의 증가를 보였고 제 2 소구치에서는 치료후와 보정후간에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2. 상악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의 치축은 치료전과 치료후 그리고 보정후에서 협측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으며, 상악 제 2 소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 및 치료전과 보정후 비교에서 설측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 3. 최대 풍융부 항목에서 상악 제 1, 2소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의 비교에서 유의한 증가를, 제 1 대구치에서는 치료전,후, 및 보정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4. 상악 제 1 대구치의 설면구 폭경은 치료전,후 및 보정기간을 통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구개 높이는 치료전과 치료후 비교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확장시킨 상악 치열궁은 회귀현상을 보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 PDF

맹출 장애의 특성과 치료방법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of Eruption Disturbance)

  • 서희원;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4-473
    • /
    • 2018
  • 2011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맹출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7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897개의 치아에 대하여 맹출 장애의 빈도, 원인, 치료방법, 교정적 견인방법, 견인기간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맹출 장애는 상악 견치, 상악 중절치, 상악 제1대구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상악 견치의 맹출장애는 여자에게서 호발 하였고(p < 0.001), 상악 중절치(p = 0.009)와 상악 제1대구치(p < 0.001), 하악 제1대구치(p = 0.028)의 맹출 장애는 남자에게서 호발 하였다. 맹출 장애의 원인은 맹출 경로의 이상, 맹출 경로 상에 장애물의 존재가 가장 많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교정적 견인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으며, 상악 중절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시행되었다. 교정적 견인 기간은 연령이 어릴수록(p < 0.001), 치관의 위치가 낮을수록(p < 0.001), 견인기간이 짧게 관찰되었다. 소아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맹출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인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TTBA 치료 후 상악골 견인 효과 (Maxillary protraction effects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therapy in Korean Class III children)

  • 김혜진;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1-240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고안된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TTBA)의 상악골 견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TTBA로 치료받은 88명(소년 42명, 소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 연령은 7세 6개월${\pm}$1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13개월${\pm}$3개월이었다. 치료 전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계측이 동일 조사자에 의해 투사 및 중첩되었으며, modified McNamara analysis과 pitchfork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과 상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하악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이 양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Net dental changes와 apical vase change가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유리한 방향으로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이 일어났다.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에 대한 기여 정도는 net dental movement 26%, apical vase change 74%였다. 이상의 결과는 TTBA 치료가 상악골 결핍을 가진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유의한 상악골 견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악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에 관한 3 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HENOMENON DURING DISTAL EN MASSE MOVEMENT OF THE MAXILLARY DENTITION)

  • 신수정;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63-580
    • /
    • 1998
  •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을 유발하는 교정력에 의해 발생되는 개개 치아의 초기 변위와 응력분포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치아와 치근막, 그리고 치조골의 해부학적 형태와 생체적 특성을 컴퓨터로 재현하고 모형화된 브라켓을 부착한 3 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형성하였다.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에 사용되는 구외력과 II급 악간고무, ideal arch wire와 MEAW(Multiloop Edgewise Arch Wire), 그리고 호선에 부여된 tip back bend 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 변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방법을 상악 제 2 대구치를 발거한 경우와 발거하지 않은 경우에 각각 적용하여 상악 제 2대구치 존재유무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치부 헤드기어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변위는 후방 치체변위와 후방 경사변위, 그리고 수직변위 모두 치열 전방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2. Ideal arch wire에 II급 악간고무를 적용한 경우, 치아변위가 치열 전방부에 집중되었으나 ideal arch wire에 tip back bend를 부여하면 악간고무에 의한 견인력이 후방으로 전달되었다. 부여하는 tip back 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치체변위와 설측 경사변위는 감소하였고 구치부의 후방 치체변위와 경사변위는 증가하였으며 II급 악간고무에 의한 전치부 정출이 감소하였다. 3. MEAW와 II급 악간고무를 적용한 결과, 치아변위 경향은 ideal arch wire와 II급 악간고무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작은 양의 치아변위와 함께 치열내 개개치아의 비교적 균등한 이동양상을 보였다. 4. 상악 제 2 대구치가 존재하는 유한요소 모델에 상악 제 1 대구치까지만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후방이동을 시도한 결과 상악 제 1 대구치 치아이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치근이개부 II급 병변에서 조직유도재생술의 임상적 치유양상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Healing Aspects in GTR Treatment on Class II Furcation Defects)

  • 문선영;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19-54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ealing aspects of the use of ePTFE membrane alone versus combination treatment of ePTFE membrane and bone grafts on class II furcation defects. Seventeen defects were applied ePTFE membrane alone on mxillary molar buccal class II furcation defects as Group I, seventeen defects were applied ePTFE membrane and bone grafts on maxillary molar buccal class II furcation defects as Group II, twenty-three defects were applied ePTFE membrane alone on mandibular molar buccal class II furcation defects as Group III, twenty defects were applied ePTFE membrane and bone grafts on mandibular molar buccal class II furcation defects as Group IV . Measurements were made to determine clinical attachment level, probing depth, gingival depth, SBI, mobility at baseline, 3, 6, 12 months postoperatively. Additional measurements were made to determine membrane exposure level at surgery, 1, 2, 6 weeks postoperatively. And then healing pattern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The result as follow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ing depth reduction, clinical attachment gain, mobility reduction at values of 3, 6, 12 months postoperatively compared to values of baseline(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I and gingival recession. In group II, membrane exposure level was increased at 1, 2, 6 weeks postoperatively compared to value of baseline(p<0.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probing depth at 3, 6,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combination groups of ePTFE membrane and bone graft compared to groups of ePTFE membrane alone(p<0.05). The vast majority of cases fall into typical healing and delayed healing response when membranes were removed in all groups. Pain and swelling were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showed more effective healing aspects in combination treatment of ePTFE membrane and bone graft than ePTFE membrane alone and on mandibular mo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than maxillary molar.

  • PDF

Subcutaneous Emphysema and Pneumomediastinum during Extraction of Maxillary Third Molar: A Case Report

  • Jung, Da-Woon;Yoon, Hyun-Joong;Lee, Sang-Hwa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5-30
    • /
    • 2014
  • Subcutaneous emphysema and pneumomediastinum is a relatively uncommon phenomenon. It may occur secondary to dental treatment using high-speed air turbine handpieces, especially after extraction of tooth. Subcutaneous emphysema is often limited only to the areas of head and neck, but also can involve deeper structures. Thorough examination and conservative treatment of these problems are essential in preventing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such as airway obstruction and mediastinitis. The subject of this report is a 57-year-old woman with subcutaneous emphysema and pneumomediastinum during the extraction of maxillary third molar using high-speed air turbine handpiece. If there isn't any appropriate measure, severe complications may occu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well-informed of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This article shall present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Angle씨 제3급 부정교합의 치험예 (A case report of Angle's Class 3 malocclusion)

  • 백형선;황충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3권7호통권194호
    • /
    • pp.625-630
    • /
    • 1985
  • 11 years 7 months old female had a reverse object of anterior teeth and class III molar relationship. Maxillary right and left canines were erupted labially and lower left lateral incisor was congenitally missed. She was treated by rapid palatal expansion and full band technique with extrac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second mola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xilary arch was expanded. 2. Anterior cross-bite and crowding was corrected. 3. Molar relationship was corrected. 4. Profile was somewhat improved.

  • PDF

Management of a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with unusual crown and root anatomy: a case report

  • Chowdhry, Prateeksha;Reddy, Pallavi;Kaushik, Mamt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3호
    • /
    • pp.35.1-35.7
    • /
    • 2018
  •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showcase the endodontic management of a maxillary first molar with an unusual crown and root anatomy. Clinical diagnosis of the roots and root canal configuration was confirmed by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the detection of the canals was made using a dental operating microscope. CBCT images revealed the presence of 5 roots with Vertucci type I canal configuration in all, except, in the middle root which had 2 canals with type IV configuration. The 6 canal orifices were clinically visualized under the dental operating microscope. Clinicians shoul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to get additional information in endodontic practice in order to enhance the outcomes of endodontic therapy.

교정장치가 치간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EFFECTS OF ORTHODONTIC APPLIANCES ON THE GINGIVAL TISSUE)

  • 장기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1-301
    • /
    • 1985
  • Fifty subjects who were to be treated with fixed orhodontic appliances by light wire edgewise technique were selected. Bands with different marginal depth were made in first molar and direct bonding brackets were bonded in second premolar. For determining the effects of fixed orthodontic appliance on the gingival tissue, the changes of clinical crown length, periodontal pocket depth, gingival sulcus fluid were check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ingival condition was deteriorated after wearing the fixed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deteriorative rate was decreased gradually. 2. The greatest gingival change was occurred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among the experimental teeth. 3. The gingival change of maxillary teeth was greater than that of mandibular teeth. $(p\leq0.01)$ 4. The greater gingival change was occurred around subgingivally located band than around supragingivally located band. 5. Comparing the gingival changes of banded teeth with them of bonded teeth, the gingival tissue was more effected by oral hygiene than by type of appliances. 6. In the quantitive changes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there was no exact relationship with gingival inflammation.

  • PDF

간접 골성고정원(indirect skeletal anchorage)을 이용한 상악구치 압하

  • 전윤식;장연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2권1호통권416호
    • /
    • pp.7-14
    • /
    • 2004
  • Molar extrusion is a quite common problem in prosthodontic patients. It is caused due to the loss or infraocclusion of opposing teeth. A more conservative approach than reduction of the coronal part of extruded tooth is to intrude the malaligned molar orthodontically. Several authors have presented the cases of molar intrusion, by cither removable or fixed appliances. However, the design of those appliances was complex so that many teeth were included as an anchorage unit. This increased the patient's discomfort inevitably. Moreover, the results could be unpredictable. Instead of these conventional methods, skeletal anchorage has been suggested for ideal force system to intrude a molar without any side effects. Many recent clinical reports presented the cases using microscrew or miniplate as a direct anchorage, which included some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the indirect skeletal anchorage for intrusion of extruded maxillary mol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