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urolicus japonic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한해협의 서수도에 출현하는 앨퉁이(Maurolicus japonicus) 어란의 발생 단계별 구성비에 관한 연구 (The Composition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Maurolicus japonicus (Sternoptychidae, Stomiiformes) Eggs in the Western Korea Strait)

  • 김성렬;차성식;김철호;오지나;이윤호;김웅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8-386
    • /
    • 2007
  • 대한해협의 서수도에서 출현하는 앨퉁이 어란의 발생 단계별 구성비를 연구하기 위해 수온, 염분, 난 자치어를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에서 $10^{\circ}C$ 이하의 대한해협 저층냉수는 대한해협의 서수도에 위치한 울산 연안의 사면과 부산 근해의 저층에서 발견되었다. 어란은 조사해역의 모든 정점에서 출현하였다. 이들 정점에서 발생 단계별 어란의 구성비는 발생 초기가 37.7~89.5%, 중기가 8.5~37.8%, 후기가 0.0~24.7%였다. 어란의 출현량이 많은 곳은 대한해협 저층냉수의 세력이 강한 곳이었다. 이 해역을 포함한 인접해역에서는 발생 초기 어란의 비율이 73.3~89.5%로 매우 높았다. 이 어란들은 동해서남부 대륙붕단 주변해역의 산란장에서 울릉분지 내 $10^{\circ}C$ 이하의 냉수에 의해 대한해협의 서수도로 수송되어 누적된 것들로 추정된다. 반면 대한해협 저층냉수가 없는 대마도 북동 해역에서는 어란의 발생 초기의 비율이 37.5%로 매우 낮은 대신 중기와 후기의 비율이 각각 37.8%와 24.7%로 매우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한해협 저층냉수에 분포한 어란들이 상층의 대마난류수에 의해 다시 북쪽으로 수송되는 동안 발생이 진행되어 발생 초기보다는 중기나 후기단계의 어란들이 이 해역으로 가입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때 어란들의 일부가 부화하여 전기자어가 조사해역의 중부와 북부해역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독도 주변해역에서 봄과 가을철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Spring and Autumn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of Korea)

  • 김성;유재명;이은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43-448
    • /
    • 2002
  • A study on the ichthyoplankton assemblage was conducted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in September 1999 and May 2000. Sixteen species of fish larvae including eggs were collected during the survey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eggs and larvae were comprised of 2.0% and 94.5% of total samples in number, respectively. Muller's pearlside (Maurolicus muelleri) eggs and larvae were comprised of 95.0% and 3.2%, respectively. The other species mostly composed of warm water species were less than 2% of total samples in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the fish lawae and eggs were higher in September than in May. Although there were limited data on the ichthyoplankton around Dokdo in summer and winter, this study area seems to be used for the spawning or nursery ground of fishes.

독도 주변해역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off Dokdo in the East Sea)

  • 신의철;윤석진;김진구;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98-507
    • /
    • 2021
  • Ichthyoplankton (fish eggs and larvae) were collected seasonally collected from 2017 to 2019 to clarify whether Dokdo serves as a fish spawning and/or nursery ground. Fish egg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16 species. The dominant fish egg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Maurolicus japonicus, and Parajulis poecilepterus. Fish larvae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15 species. The dominant fish larvae species were E. japonicus, M. japonicus, and Sebastes owstoni. A cluster analysis similarity percentages revealed two distinct groupings according to sample location (stations) with E. japonicus and M. japonicus as the main group influencers. E. japon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off Dokdo. Th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peaked in summer. The diversity index, richness index, and evenness index fluctuated seasonally. There were no predominant species variations among the years. Sedentary species such as P. poecilepterus, Semicossyphus reticulatus, and Glyptocephalus stelleri occurred in the inshore stations. E. japonicus, M. japonicus, and Trachipterus trachypterus occurred in the offshore stations. Our results show these species use Dokdo as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월성 주변 해역의 부유성(浮游性) 난(卵)과 자치어(仔稚魚)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Wolsong, Korea)

  • 차성식;박광재;유재명;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3
    • /
    • 1991
  • 월성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 11월과 1990년 2월, 5월, 7월의 4회에 걸쳐 봉고네트로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층채집 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돛양태류, 앨퉁이, 전어와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기간 중 앨퉁이와 돛양태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60.1%와 13.7%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21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61.2%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돛양태류가 11.9%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앨퉁이, 망둑어류, 까나리, 볼락, 개볼락, Scartella cristata, 쏨뱅이가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9개 분류군은 총출현량의 96.5%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은 용승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으로 용승으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은 부유성 난이나 자치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독도 주변해역 자치어 종조성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Ichthyoplankton off Dokdo in the East Sea)

  • 이해원;유정화;홍병규;손명호;전영열;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51-755
    • /
    • 2010
  •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nursery grounds, the seasonal variation of ichthyoplankton was investigated in the East Sea, off Dokdo, from September 2009 to May 2010. The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us (92.7%), which occurred in May and September. The next abundant species was Maurolicus japonicus (5.7%), found in all four seasons. Several rare warm-water species were found in September and November, when the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two seasons. Several fish species used Dokdo as a nursery ground for a restricted season, while M. japonicus used it in all four seasons.

여수주변해역의 치자어 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Yousu)

  • 유재명;이은경;김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5-302
    • /
    • 1999
  • 여수주변해역에서 부유성 어란과 치자어의 분포 조사가 1996년 8월, 11월과 1997년 1월, 4월에 실시되었으며 조사기간 중 어란은 4종, 치자어는 24종이 동정되었다. 어란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가 전체 어란 출현량의 $80.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동갈양태류 (Callionymidae spp.) ($1.6\%$), 그리고 전어 (Konosirus punctatus)와 앨퉁이 (Maurolicus muelleri)는 $1.0\%$ 미만으로 출현량 비율이 매우 낮았으며 기타 미동정 어란은 $17.8\%$를 차지하였다. 치자어의 출현 종 수는 여름철에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봄철에 4종으로 가장 적었다. 어종별 출현비율은 동갈양태류가 전체 치자어 출현량의 $25.7\%$로 가장 높았고 망둥어류 (Gobiidae spp.)가 $23.5\%$,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이 $17.2\%$, 멸치가 $12.2\%$,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 )가 $9.9\%$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의 종은 모두 $2.0\%$ 미만이었다. 여수주변해역의 치자어는 망둥어류, 동갈양태류, 쥐노래미등의 연안성 어종과 비록 출현량은 작지만 제주도 주변해역을 통과하는 난류수의 영향으로 출현한 몽치다래류, 만새기, 자리돔 등과 같은 난류성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여름철 대한해협의 전선구조에 따른 자치어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Fish Larvae and the Front Structure of the Korea Strait in Summer)

  • 김성;유재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2-85
    • /
    • 1999
  • 전선역 주변해역의 자치어 종 조성에 관한 조사가 대한해협을 대상으로 1993년 8월에 실시되었다. 북위 $35{\sim}36^{\circ}$의 대륙사면 주변해역에 전선이 형성되어있었다. 총 125 종류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멸치와 앨퉁이였으며 두 종의 출현량 비율은 각각 84.3%와 7.7%였다.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망둑어과, 돛양태과 그리고 자리돔과 둥이다. 위의 5종은 크게 모든 조사해역에서 출현하는 멸치와 돛양태과, 전선역을 경계로하여 수온이 높은 전선역의 남부해역에 주로 출현하는 망둑어과와 자리돔과 그리고 전선역을 포함한 전선역의 북부해역에 주로 출현하는 앨퉁이로 크게 구분되었다. 본 연구해역에서 자치어의 종 조성과 지리적인 분포는 어류의 종별 산란생태 뿐만 아니라 대마난류수와 동해고유수의 접촉으로 형성된 전선의 지리적인 분포와 구조등과 같은 물리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섭이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White-spotted Conger Eel(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최정화;최승희;김종빈;박정호;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2-288
    • /
    • 2008
  • Feeding ecology of the white-spott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as examined. Specimens were caught monthly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6. Primary prey items of C. myriaster included fish, shrimp, and crabs. C. myriaster exhibited a nocturnal feeding strategy and preyed upon a wide range of pelagic fish groups(e.g., Engraulis japonicus, Glossanodon semifasciatus, and Maurolicus muelleri). This species was also an opportunistic feeder that exploited the available prey in each area(i.e., fish in the A area and shrimp in the B area). The composition of the diet of C. myriaster exhibited seasonal fluctuations that were related to food availability during each season. The observed ontogenetic shifts in diet were relatively clear, despite substantial overlap between the 10 cm and 20 cm groups of C. myriaster.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Larval Fishes off the East Sea, Korea)

  • 최희찬;정해근;조정현;윤석현;오현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6-200
    • /
    • 2022
  •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의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8년 2월부터 12월까지 격월로 RN80 네트를 이용하여 자치어를 채집하였고, 해양 환경과 자치어 분포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등 물리적 요인과 영양염, 엽록소-a 및 동물플랑크톤 현존량과 같은 화확 및 생물학적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2018년 동해 근해에 출현한 자치어는 49개과 104개 분류군, 총 7,644.3개체/1,000 m3가 출현하였다. 이중 멸치가 전체 출현량의 76.2% 우점하였고, 앨퉁이가 15.0%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 까나리, 악어치가 각각 0.8%와 0.5%로 비교적 많은 출현량을 보였고, 고등어와 날붕장어가 0.3% 이상으로 위 6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량의 93.2%를 차지하였다. 조사 해역의 월별 자치어 출현양상을 보면, 출현분류군수는 2월에 10개로 가장 적었고, 10월에 33개로 가장 다양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량은 4월에 76.3개체/1,000 m3가 출현하여 연중 가장 적었고, 8월에 4,585.8개체/1,000 m3로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였으며, 월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출현 자치어의 월별 공간 분포는 저수온기보다 고수온기에 연안 가까이에서 많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출현 분류군 중 전체 출현량의 91.3%를 차지한 멸치와 앨퉁이의 월별 공간 분포와 유사하였다. 한편 자치어 전체 출현량과 해양 환경과의 상관관계는 2월에 수온 및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용존무기질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월에는 용존무기질소와 음의 상관관계, 12월에는 엽록소-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우점종인 멸치는 4월에 염분, 6월에 엽록소-a 8월에 용존무기질소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NOSIM 분석 결과, 자치어의 월별 종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월별 dissimilarity는 주로 멸치와 앨퉁이의 출현량 변동에 의해 결정되었으나, 그 외 우점 분류군들의 종조성과 출현량 변화가 조사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자치어 군집의 분포가 저수온기에는 주로 수온, 고수온기에는 염분, 동물플랑크톤 건중량 및 영양염류 농도 등 비교적 다양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