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Spring and Autumn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of Korea

독도 주변해역에서 봄과 가을철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 (Ecosystem and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KORDI) ;
  • Yoo, Jae-Myung (Ecosystem and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KORDI) ;
  • Lee, Eun-Kyung (Ecosystem and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KORDI)
  • 김성 (한국해양연구원 생태환경연구본부) ;
  • 유재명 (한국해양연구원 생태환경연구본부) ;
  • 이은경 (한국해양연구원 생태환경연구본부)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A study on the ichthyoplankton assemblage was conducted around Dokdo in the East Sea in September 1999 and May 2000. Sixteen species of fish larvae including eggs were collected during the survey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eggs and larvae were comprised of 2.0% and 94.5% of total samples in number, respectively. Muller's pearlside (Maurolicus muelleri) eggs and larvae were comprised of 95.0% and 3.2%, respectively. The other species mostly composed of warm water species were less than 2% of total samples in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the fish lawae and eggs were higher in September than in May. Although there were limited data on the ichthyoplankton around Dokdo in summer and winter, this study area seems to be used for the spawning or nursery ground of fishes.

Keywords

References

  1. 김 성, 유재명. 1999. 앨퉁이(Maurolicus muelleri) 난.자치어 분포와 수온전선. 한국어류학회지, 11(1), 62-71.
  2. 김수암, 강수경. 1998. 동해의 수산자원 현황 및 연구방향. 한국수산자원학회지, 1(1), 44-58.
  3. 김종만, 유재명, 명정구, 임주열. 1986. 한국 연근해 어란.치어 도감.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BSPE 00060-98-3, 369 p.
  4. 김철호, 김 구. 1983.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한국해양학회지, 18(1), 73-83.
  5. 독도연구보전협회. 1998. 독도 인근해역의 환경과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독도연구보전협회, 254 p.
  6. 선영란. 2002. 동해 남서부해역 수온전선역 앨퉁이(Maurolicus muelleri) 난자치어 수직분포 및 이석의 미세구조를 이용한 나이 측정과 성장분석. 충남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51 p.
  7. 손용호. 1986. 조선 동해 가까운 바다에 있는 물고기의 분포상에 대하여. 수산과학기술 론문집(1), 공업출판사. 평양. 132-150.
  8. 이충령. 1994. 황해의 어류상에 대한 검토. 한국어류학회지, 6, 172-192.
  9. 임주열, 조문규, 이미자. 1970. 한국근해에 있어서 어란 치자어의 출현분포. 수진원 자원조사보고, 8, 7-29.
  10.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 p.
  11. 조문규, 문창호, 양한섭, 강원배, 이광우. 1997. 동해 극전선역의 영양염류 순환과정. III. 1995년 10월 동해 중부 및 북부 해역의 수괴의 영양염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0, 393-407.
  12. 차병일, 김주일, 김진영, 허성회. 1998. 앨퉁이(Maurolicus muelleri)의 산란생태 및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0(2), 176-183.
  13. 차성식. 1990. 전남 연안해역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연령과 초기 성장. 한국수산학회지, 23(5), 385-393.
  14. 한국해양연구소. 1995. 한국근해 해양환경도 작성연구 - 동해 남서부(1차년도).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336 p.
  15. 한국해양연구소. 1997. 한국근해 해양환경도 작성연구 - 동해 남서부(2, 3차년도).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601 p.
  16. 한국해양연구소. 1998. 한국근해 해양환경도 작성연구 - 동해 남서부(4차년도). 한국해양연구소 보고서, 320 p.
  17. 해양수산부. 1999. 독도 해양환경 수산자원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해양수산부, 544 p.
  18. 해양수산부. 2000. 독도 생태계 등 기초조사 연구 최종보고서. 해양수산부, 223-318 p.
  19. 한국해양연구원. 2002. 동해 기후변동 예측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보고서, 330 p.
  20. Fukuhara, O. 1983. Development and growth of laboratory reared Engraulis japonica (Houttuyn) larvae. J. Fish Biol., 23, 641-652. https://doi.org/10.1111/j.1095-8649.1983.tb02943.x
  21. Kim, J.Y. 1992. Relationship between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 and larval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Waters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5(6), 495-500.
  22.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 Press 1154 p.
  23. Okiyama, M. 1971. Early life history of the Gonosotmatid fish Maurolicus muelleri (Gmelin), in the Japan Sea. Bull. Jap. Sea Reg. Fis. Res. Lab., 23, 21-53.
  24. Okiyama, M. 1981.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a sternoptychid fish, Maurolicus muelleri, in the Japan Sea, with comments on the strategy for successful larval life. Rapp. P.-v. Reun. Cons. Int. Explor. Mer., 178, 246-247.
  25. Zweifel, J.R. and R. Lasker. 1976. Prehatch and posthatch growth of fishes a general model. Fish. Bull., 74(3), 609-621.

Cited by

  1. Seasonal Variation of Ichthyoplankton off Dokdo in the East Sea vol.43, pp.6, 2010, https://doi.org/10.5657/kfas.2010.43.6.751
  2.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Around Dokdo, East Sea of Korea vol.43, pp.6, 2010, https://doi.org/10.5657/kfas.2010.43.6.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