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ity Index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4초

백색 레그혼종 순종계통의 산란능력에 있어서 세대별 선발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on Response of Generation for Egg Production in Single Comb Leghorn)

  • 이학교;최철환;박무균;이수헌;박태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7-195
    • /
    • 1992
  • 본 연구는 난용종 순종계의 특정 집단의 주요 경제형질에 대한 단기 산란검정기록을 이용하여 유전적 개량량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통계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단관 백색 레그혼종 F, K 계통에 대한 1986년부터 1991년까지 6세대간 선발결과의 기록으로서 주요 선발형질은 270일령 산란수, 시산일령, 270일령 난중 및 체중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계통별 평균능력을 보면 시산일령은 매 세대당 1.94일(K) 1.32일(F)씩 감소되었고 체중은 15.39(K), 16.5g(F)씩 감소되었다. 난중은 0.09(K), -0.05g(F)씩 증가되었고 산란수는 0.56(K), -0.78(F)의 증가를 보였다. 2. 조사형질 모두의 예상 선발차에 대한 실현 선발차의 비율이 세대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았다. 3. 분산성분에 의한 유전모수는 시산일령이 평균 0.28(F), 0.40(K), 270일령 체중이 0.29(F), 0.39(K), 산란수 (270일)가 0.25(F), 0.29(K), 270일령 난중이 0.51(F), 0.48(K)으로 추정되었다. 4. 세대당 유전적 개량은 F, K 계통 모두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고 시산일령이 -2.46(F), -1.94(K), 산란수 2.01(F), 2.25(K), 270일령 난중이 0.54(F), 0.64(K)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만새우, Parapenaeopsis tenella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moothshell Shrimp, Parapenaeopsis tenella from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차형기;최정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9-16
    • /
    • 2004
  •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민새우는 서해 북쪽으로는 영광에서 남쪽으로 거제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거문도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민새우의 암 ${\cdot}$ 수 성비는 암컷이 48.6% 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 회 신생 가입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갑각정 13mm 이상의 전 출현 암컷의 50%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1mm이고, 성 성숙과 교미율에 의한 군성숙도 ($CL_{50}$) 는 각각 갑각장 12.53mm와 12.28mm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자료에 의해 추정된 민새우의 수명은 암컷이 14-15개월로 나타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의해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 ${\cdot}$ 수 각각 1.22/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 ($L_{\infty}$)은 암 ${\cdot}$ 수 각각 21.99mm와 15.00mm이였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리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의 생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Cardinalfish Apogon lineatus (Perciformes: Apogonidae)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Korea)

  • 백근욱;박찬일;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4-161
    • /
    • 2010
  • 한국 동해 남부 고리 주변해역에서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저인망과 삼각망에서 채집된 열동가리돔 4,300개체의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열동가리돔의 체장범위는 2.1~8.6 cm 였다. 열동가리돔은 여름과 가을에는 표층에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봄과 겨울에는 저층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열동가리돔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9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12월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란시기는 8~10월로 추정되었다. 열동가리돔의 암 수간 성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hi}^2$-test, p>0.05). 열동가리돔 암컷의 50% 군성숙체장은 5.43 cm로 추정되었고, 모든 암컷은 7.0 cm 이상의 성숙하였다. 열동가리돔은 연속산란종으로 산란기 동안 2회 이상 산란을 하였으며, 최대난경은 0.65 mm를 보였다. 포란수는 8,555~20,084개의 범위였으며, 평균 15,038개 였다. 체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334,851\;SL^{1.9876}$ ($R^2$=0.53), 체중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7,167.6 Ln (BW)-2,198.1 ($R^2$=0.33)로 추정되었다.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r Group Size on Intake, Growth,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Bos taurus coreanae)

  • Lee, Sang-Moo;Kim, Jae-Yeon;Kim, Eun-Jo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553-155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r group size on feed intake, daily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Korean indigenous breed) steers reared from 7 months to 31 months of age. Thirty Hanwoo ste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each (a total of 12 pens). In each group, one (G1), two (G2), three (G3), and four steers (G4) per pen were allocated as treatments. Pen size was $32.0m^2$, and therefore Hanwoo steers in G1, G2, G3, and G4 were reared under different space allowances, i.e. 32.0, 16.0, 10.6, and $8.0m^2$/steer, respectively. Steers were reared following a conventional beef cattle management method in Korea, and were offered a fixed amount of commercial concentrate with ad libitum forages. Results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variance with stocking density as the main effect, and significance was declared at p<0.05. Although total fee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it numerically increased in animals of low stocking density (G1) compared to those subjected to high stocking density treatment (i.e. G4). Feed conversion ratio was higher (p<0.05) in G3 compared to G1 and G2. Animals in G1 (low stocking density) grew faster (p<0.05) than those of high stocking density (G3 and G4). Back fat thickness, meat yield index, and meat yield grade were similar among all levels of stocking density. However, longissimus muscle area was larger in G1 and G2 (p<0.01) compared to G3 and G4, and animals in G3 produced smaller carcasses (p<0.05). Carcass quality traits, including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maturity and meat quality grade, as determined by a group of exper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lower stocking density resulted in increased feed efficiency, daily gain, and carcass weight in Hanwoo steer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such differences are the results of stocking density or group size, or a combination of both. Nonetheless, these results confirm previous studies reporting a negative effect of increased stocking density on animal productivity. Further, animal welfare under an intensive farming system in relation to economical return is discussed.

Effect of crude protein content and undegraded intake protein level on productivity, blood metabolit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economics of Hanwoo steers

  • Lee, Youn Hee;Ahmadi, Farhad;Lee, Myun;Oh, Young-Kyoon;Kwak, Wan 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599-160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how feeding diets differing in crude protein (CP) and undegraded intake protein (UIP) levels affected productivity, blood metabolit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he production economics of Hanwoo steers. Methods: Thirty-six Hanwoo steers (age = 8.2±0.5 mo; body weight = 254±16.1 kg) were assigned at random to one of three treatments (4 steers/pen; 3 pens/treatment): i) a low-CP diet (LP; control) containing 12.1% CP with 35.1% UIP, 12.0% CP with 36.8% UIP, and 12.9% CP with 48.8% UIP, in the grow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respectively; ii) a high-CP, low-UIP diet (HPLU) containing 15.0% CP with 33.7% UIP, 14.0% CP with 35.7% UIP, and 13.1% CP with 46.7% UIP, respectively; and iii) a high-CP, high-UIP diet (HPHU) containing 15.0% CP with 45.8% UIP, 14.0% CP with 44.6% UIP, and 13.0% CP with 51.1% UIP, respectively. Results: The treatments did not affect feed intake and growth performance, except for average daily gain during the fattening period that tended to be the lowest (p = 0.08) in the HPLU-fed steers. The feed CP conversion ratio over the entire feeding period was higher with high-CP diets. The treatments did not affect most blood metabolites; however, blood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s during the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were the lowest in steers fed a HPLU diet. The treatments had negligible effects on cold carcass weight, yield traits including longissimus muscle area, backfat thickness, yield index, and yield grade, plus quality traits including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However, marbling score and frequency of carcass quality grade 1++ were greater in HPHU-fed steers. Conclusion: Feeding diets with higher CP and UIP levels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but tended to improve the carcass quality of Hanwoo steers, resulting in greater economic return.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성성숙과 산란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HILGENDORF))

  • 백혜자;김형배;이택열;이병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77-483
    • /
    • 1985
  • 부산 해운대 동백섬 연안에서 1983년 2월부터 1984년 1월까지 채집한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성숙과 산란에 관여하는 형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별체장조성 조사 결과, 점망둑은 만 1년만에 성숙하여 산란을 마치고 사망하는 1년생 어류로 판단되었다. 2. 간숙도지수는 암${\cdot}$수 모두 생식소 활성화가 일어나는 2월에 peak를 이루고 산란기인 $4{sim}7$월 사이에는 낮은 값을 보이는데, 이는 간에서 생성된 물질이 생식세포성숙과 직접 관련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3. 비만도변화는 암${\cdot}$수 모두 산란기에 저조한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생식활동에 의한 체력에너지 손실로 여겨진다. 4. 성숙란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월부터 산란이 끝난 8월까지의 개체를 대상으로 그들이 포란하고 있는 난경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한 산란기 동안 1회 산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5. 성숙개체의 포란수를 조사한 결과, 절대포란수는 체장, 체중증가에 비례하나 상대포란수는 체장증가에는 비례하는 반면 체중증가에 따라서는 오히려 감소현상을 나타냈다.

  • PDF

맥류등숙향상에 관한 연구 제2보 온도 및 토양수분차이가 소맥의 생육 및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Grain-filling in Wheat II. Effects of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he Growth and Grain-filling in Wheat)

  • 하용웅;류용환;연규복;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39-444
    • /
    • 1983
  • 본 시험은 1979/1980년 맥작기간중 맥류연구소에서 소맥품종 그루밀과 청계밀을 포장에 파종하여 추파성을 소거한 후 온실에 이식하여 출수기까지 주간/야간온도를 20/15$^{\circ}C$ 조건에서 재배한 다음, 출수기 이후 주간/야간 온도를 30/$25^{\circ}C$(고온구), 20/15$^{\circ}C$(적온구)의 두 처리구를 두고 각 온도별 토양수분을 포장용수량의 50-60%(적습구), 40-50%(한발구)의 두 처리로 하여 온도와 토양수분의 차이가 소맥의 생장 및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 및 등숙기간은 각각 적온구에서 6-7일과 38-40일었고 고온구에서는 각각 4일과 29-31일이 소요되었다. 2. 출수후 15일의 엽면적지수 및 엽록소함량은 적온적습구, 고온적습구, 적온한발구, 고온 한발구 순으로 엽면적지수가 높았고, 엽록소함량이 많았으나 이후 고온구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출수후 22일에 영에 이른 반면 적온구에서는 그 감소정도가 완만하여 출수후 45일까지 유지되었다. 3. 토양수분 부족에 의한 1$\m^2$당 수수 감소 정도는 그루밀에서 컸고, 동일수분 조건일 때는 고온에 의한 수수 감소 정도는 청계밀에서 컸다. 4. 곡립중은 고온에서는 립의 발육이 빨라서 출수후 29일에 최고에 달했으나 적온구에서는 발육정도가 완만하여 45-50일에 최고에 달하였고, 립중도 무거웠다. 5. 소수단수별 착생립수 및 천립중 분포는 이삭의 기부로부터 5-8 > 1-4 > 9-12 > 13이상의 소수순으로 많았고 립중도 무거웠다. 6. 1$\m^2$당 수량은 적온적습구에 비하여 두 품종 모두 적온한발구 25%, 고온적습구 45-51%, 고온한발구 60-75%가 각각 감수되었다.

  • PDF

생태형이 다른 대두품종의 생육 및 건물축적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Different Ecotypes of Soybeans (Glycine max. L.))

  • 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4-181
    • /
    • 1988
  • 하대두형 및 추대두형 콩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 했을 때 생육상의 차를 구명하고, 또한 건물축적양상 비교하기 위하여 1987년 천안시 안서동에 위치한 단국대 농대 실습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극조반(4월 15일파종)나 그후 파종(5월 15일 및 6월 15일)에서 하ㆍ추대두형품종간 출현율의 차가 관찰되지 않아 포장에서 저온발아성의 차를 검정한다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또한 하ㆍ추대두형간 개화일수단축정도의 차도 없었으나, 하대두형인 DN82029-3이나 ES18085-1의 조ㆍ만파기 생육일수의 차가 추대두형인 장엽콩이나 팔달콩에 비하여 크지 않아, 생육후기 고온에 의한 결실일수가 촉진되어 만파에서 추대두형에 비하여 몇가지 수량구성요소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대두형은 추대두형에 비하여 만파에서 도장정도가 심함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이이나 추대두형인 단엽콩 및 장엽콩은 개화시 이후에도 경엽신장이 큰 폭으로 증가된 바, 개화시 이후 3품종 모두 경장이 17∼32cm가 신장되었으며, 엽면적지수도 개화시 이후 0.83∼1.53의 증가를 보여 엽의 신장이 큰 폭임을 나타내 주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은 단엽콩이나 장엽콩에 비하여 49일이나 빨리 최고건물중을 나타냈으나, 절대량은 추대두형의 최고건물중의 약 50% 수준이어서 5월 15일 파종시 일장둔감형인 하대두형은 충분한 영양생장을 이루지 못한 가운데 생식생장기 간으로 접어들어 건물축적량이 크게 낮아지게 되고, 이것이 낮은 수량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

제주연안 큰열매모자반의 생장과 성숙패턴 분석을 위한 생식배분 지수의 적용 (Application of reproductive allocation index to the analysis of growth and maturation patterns of Sargassum macrocarpum C. Agardh in Jeju Island, Korea)

  • 고신자;김유경;홍성완;강민수;황은경;이영돈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672-681
    • /
    • 2019
  • 큰열매모자반은 제주도 연안 생태계에서 수관층을 형성하는 중요한 다년생 갈조류이다. 이 연구는 2018년 5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제주연안에서 큰열매모자반 개체군의 생장 및 생식패턴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큰열매모자반 개체군의 정량조사를 통해 월별 형질분석, 밀도 및 현존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큰열매모자반의 생식자원 배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체 엽체길이 및 엽중량에 대한 생식엽길이와 중량비율을 측정하였다. 조사지역에서 큰열매모자반의 최대 엽장은 6월에 135.3±20.0 cm, 최대 엽중량은 5월에 평균 3.6±2.1kg·wet-wt., 평균밀도는 4.5 individuals·m-2 및 평균현존량은 4.6 kg·wet-wt.·m-2였다. 생식기탁의 형성은 4~8월(수온 16.1~25.0℃)까지 관찰되었으며, 난 방출 시기는 6~7월(수온 19.3~22.9℃)이었다. 엽체의 발달은 수온 14.1℃ 이상의 조건에서 이루어 졌으며, 성숙에 요구되는 유효 적산온도는 726.3 degree-days였다. 큰열매모자반의 생식배분은 6월에 최대 69.3%로 나타났다. 큰열매모자반의 생장과 성숙패턴은 생장기(10~1월), 생식시작기(2~4월), 성숙기(5~6월), 난 방출기(6~7월) 및 휴지기(8~9월)로 구분되었다.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꽃새우, Trachysalambria curvirostris의 성숙과 성장 (Maturation and growth of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in the coastal water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최정화;차형기;김주일;고정락;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2호
    • /
    • pp.120-127
    • /
    • 2003
  • 우리 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을 분포하는 꽃새우는 북쪽으로는 강화도에서 남쪽으로 사랑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거문도 인근해역 꽃새우의 암ㆍ수 성비는 암컷이 48.6%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회 신생 개체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고, 갑각장 19 ㎜ 이상의 암컷에서는 반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8 ㎜이고, CL/sub 50/ 성 성숙체장과 교미체장은 각각 갑각장 18.89 ㎜와 19.19 ㎜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변화에 의해 추정된 거문도 개체군의 수명은 암컷 14-15개월이고, 수컷은 13-147개월 나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ㆍ수 각각 1.40/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L/sub ∞/)은 암ㆍ수 각각 29.54 ㎜와 18.95 ㎜이었으며, 암컷이 수컷 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