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ntents in Middle Schoo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7초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Development Tend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 전선미;유원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79-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발된 중등 수학영재를 위한 교수 학습자료를 최대한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들을 교수 학습 대상, 수학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렌쥴리의 3부 심화학습 단계, 자료의 성격, 교육과정 역역 등의 5가지 유목에 대해 각 유목별로 세부영역을 두어 분류한 다음 개발 동향과 특정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중등 수학영재를 위한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세부영역별 개발 빈도수의 편차를 줄이고 개발 자료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학교 현장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수학교육저널의 기술공학분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about Technology in Math Education Journal of Both Korea and U.S.A. for School Classrooms)

  • 백형윤;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229-264
    • /
    • 2005
  • This thesis is about a comparative study how they use technology in math education in both Korea and U.S.A.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the representative math education journals in Korea and America-Mathlove of Korea and Mathematics Teacher of U.S.A. I have chosen and studied contents that is related to technology in the two journals which were published for 10 years from 1995 to 2004. The followings are the theme of the study. Theme 1 (The situation of environment) : I have examined the usage situation of technology in Korea and America, by studying and analysing the rates and types of sentences contained technology in the two journals. Theme 2 (The situation of substances) : By studying and analysing substances and materials of two journals, I have made a study what changes technology of math education in U.S.A and Korea made for math learning contents and materials. Theme 3 (the situation of methods) : I made a study about how technology has affected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 in both Korea and U.S.A by analysing and studying the methods which they have applied to math education.

  • PDF

융합인재교육(STEAM)의 아웃리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A Case Study of the STEAM Educational Outreach Program Development and their Application)

  • 서원석;이창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6호
    • /
    • pp.38-45
    • /
    • 2015
  •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ase study of th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TEAM) outreach program development and their application. This program was operated by 18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C University on October 2014. The major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me of the outreach program consisted of four engineering areas, aerospace engineering, chemical engineering,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mechatronics (robot) engineering; moreover, the materials for the students' workbook, the guidebook for teachers, and the program operation manual for staffs in a university were developed by working with four authors and ten subject matter expert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ontents and activities was ranged from 4.24-4.31 out of 5 points. Third, the vitalizing activation plan was discusse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STEAM outreach program.

디지털교과서 활용 효과에 관한 영향 - 6학년 수학 쌓긴나무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Digital Textbook - Focused on Stacking Cubes Activities in 6th Grade -)

  • 이혜숙;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7-114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쌓기나무 단원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공간능력, 수학학업성취도,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수업에 있어서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를 위하여 실험반은 디지털교과서, 비교반은 서책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처치 후 실험반과 비교반의 공간 감각 능력 및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공간능력 성적의 중위 그룹에서 실험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디지털교과서가 다수의 중위권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흥미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공간 능력 검사지의 대부분의 문항에서 실험반이 더 높은 정답률을 보인 점은 구체물과 멀티미디어를 병행 활용한 학습 형태가 공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실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Actua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 정주영;김향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39-347
    • /
    • 2007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은 사회 및 생활 전반에 깊숙이 보급되었다. 최근 인터넷을 활용한 e-러닝의 교육적 요구는 학교교육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시스템은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인 성장에 비해 질적인 운영관리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K지역 S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들의 인식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K지역의 초등교사 139명, 중등교사 139명, 총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시스템의 다양한 학습 콘텐츠 제공, 콘텐츠의 질, 학교수업 보충에의 도움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초등교사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더욱 더 효과적인 시스템을 위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 및 컴퓨터 활용 인프라 구축, 그리고 학교 및 교육당국의 지속적인 지원과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방안 등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Problem Posing Activities)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11-428
    • /
    • 2012
  • 미래 사회에 대비하고 적응하기 위하여 창의성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문제 만들기는 수학적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제 만들기 활동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상 수준 5명, 중 수준 7명, 하 수준 4명을 포함한 16명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고, 학생들이 만든 문제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성 점수의 평균에서는 상, 중, 하의 성취 수준에 비례하여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만든 문제의 수에서는 상, 중, 하 수준의 학생들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생들은 세 수준 모두에서 조건을 변경하여 문제를 만드는 비율이 높았고, 이런 현상은 상, 중, 하 순으로 갈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중학교 수학과 수행평가의 문제점 분석 및 그 해결 방안 연구 (Problem Analysis and Study of Solution Device in Relation with Middle School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 박재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49-163
    • /
    • 2000
  •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had us practice the performance test as a substitute proposal, however, all the more for the idealistic purport, our education front does not have such a sufficient condition as to practice the performance test for many classes and miscellaneous duties and over-populated class, and that practice has been enforced so abruptly without any drastic preparation and has caused much confusion from the beginning of that enforcement. Thus, these problematic concerns are remained as the tasks of the teachers to be solved by themselves in the front of education, and herein I came to do this research.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that I got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1) Performance test style should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and the gap of the teachers' recognition; descriptive test, portfolio assignment and formative test styles were proper for the students lacking basic study ability. (2) Descriptive test should have its beginning with the question items to which students can write the problem solving procedure logically rather than those to evaluate the creation ability and thinking ability: and putting down specifically the assessment standard could prevent students' confusion and scheme the impartiality of the assessment. (3) Portfolio assignment evaluation should be given with as interesting and suitable amounts as possible so that the students can do by themselves. (4) Utilizing the performance test table enabled easy management of documentary evidenc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uccess of the performance test should have preceding conditions like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ir positive participation. Therefore, I'd like to give suggestions herein like the followings; (1) The performance test should not always be made into grades,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test gradually in the condition that the education surroundings permit by checking time, frequency, ratio and contents of the test while practicing the multiple choice writing test. (2) As long as the performance test has the aims of improving the study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y performance test only for the sake of making numerals with the thought that assessment is the disposal of the grades should be avoided, and the change of the lecturing styl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assessing types and studying materials should be endeavored to confirm with the aims.

  • PDF

초.중학교 로봇융합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Robot and Convergence Activity)

  • 박정호;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5-294
    • /
    • 2014
  • 최근 K-12교육에선 교수학습도구로 로봇을 활용하는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핸즈온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은 과학, 수학 교과학습 뿐만 아니라 STEAM 융합활동에서도 긍정적 교육효과를 제공하며 비판적 사고력, 창의성, 의사소통능력, 협동심 등의 21세기에 필요한 능력 신장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 성과에 비해 초중등 교육현장에서 로봇의 도구적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로봇교육과정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즉, 학교급/학년별로 도구적 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체제적인 교육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로봇'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국내외의 로봇교육과정 및 관련 사례를 분석한 후 개정될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의 하위 영역으로써 로봇영역의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의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Learn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sing e-Textbook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LEE, Sunghye;CHAE, Yoojung;CHOI, Kyounga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0권2호
    • /
    • pp.195-221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using e-textbooks in online learning co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ees for this study were 19 students who enrolled voluntarily in an online mathematics and science inquiry progra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online learning. The students generally have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using e-textbooks were conceptualized via three different categories including temporal, spatial, and technical. Such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ere able to provoke self-directed learning, extended learning, interactive learning, in-depth learning, improved ICT literacy, and formation of positive emotions and learning habits. Most of the learners showed positive feedback towards the use of e-textbooks, while some mentioned the technical limita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paper-based learn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e-textbooks are likely to induce positive experiences for learners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contents that utilize various functions and advantages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use e-textbooks effectively.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 내용 분석 -6차와 2007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letter and expressi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애;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5-128
    • /
    • 2013
  •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7차 이후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가운데 초등수학 교과서의 내용 변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수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자와 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자와 식은 6차 교육과정에서는 '관계' 영역에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 그리고 2007 교육과정에서는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다루어져왔다. 특히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수학에서 문자가 도입되지 않았으나, 6차와 2007년 교육과정에서는 초등수학에서 문자 x의 도입, 등식의 성질, 방정식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이러한 변화를 겪고 있는 문자와 식에 대하여 교육과정별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의 내용 및 지도 시기,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자 x의 도입, 등식의 지도, 방정식의 지도와 같이 3가지 주제를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서 초등수학을 중심으로 6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동시에 그 사이에 놓여 있는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7-가 단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초등수학에서 문자와 식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