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History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초

학습 단계별 수학사 활용 학습을 통한 수학 수업 개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hematics via the Use of the Mathematical History based on the Learning Stages)

  • 이정재;윤상현;추신해;심수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1호
    • /
    • pp.57-70
    • /
    • 2007
  • 수학사 관련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만 치중하였고 개발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습내용에 알맞은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로 실제 수업시간 중 흥미유발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문제 파악, 문제추구 및 해결, 적용 발전, 과제 파악 등의 각 학습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사 자료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수학 사업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한국, 중국, 일본의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참가 역사 비교 (Comparison of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Participation Histo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 이승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1-133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and compare the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participation histo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Especially, the processes for the first participation of the IMO, trends in team rankings of the IMO, and national team selection systems and education systems are compared. And we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olicies for the talented girls mathematics Olympians. Several proposals are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Korean Mathematical Olympiad and participations to IMO.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수학사 관련 내용 분석 및 그 적용 (An Analysis of Application of Mathematical History into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김민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3-54
    • /
    • 2005
  • 수학사의 교수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수학 교육과정상 수학사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면서 초등학교 교수학적 현상에 적용해 본 사례들을 통해 그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수학 교육학적 입장에서 교실 현장에 나가기 전 예비교사들의 수학사적 연계에 대한 교수경험의 중요성과 교실현장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중요성을 수학 교수학적 입장에서 입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PDF

Toward Students' Full Understanding of Trigonometric Ratios

  • Yi, Jung-A;Yoo, Jae-Geun;Lee, Kyeong Hw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63-78
    • /
    • 2013
  • Trigonometric ratios are difficult concepts to teach and learn in middle school.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mathematical terms (sine, cosine, tangent) don't convey the idea liter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a concept from the learner's standpoint, and searches the orientation of teaching that make students to have full understanding of trigonometric ratios. Such full understanding contains at least five constructs as follows: skill-algorithm, property-proof, use-application, representation-metaphor, history-culture understanding [Usiskin, Z. (2012). What does it mean to understand some mathematics? In: Proceedings of ICME12, COEX, Seoul Korea; July 8-15,2012 (pp. 502-521). Seoul, Korea: ICME-12]. Despite multi-aspects of understanding, especially, the history-culture aspect is not yet a part of the mathematics class on the trigonometric ratio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story approach on students' understanding when the history approach focused on the mathematical terms is used to teach the concept of trigonometric ratios in Grade 9 mathematics class. A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help in more full understanding on the trigonometric ratios through such teaching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mplies that the historical derivation of mathematical terms as well as the context of mathematical concepts should be dealt in the math class for the more full understanding of some mathematical concepts.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Using History in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 김은숙;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71-4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II>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ankvist(2009)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이유와 방법에 따른 수학사 활용 유형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수학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사 과제가 대부분 정의적 도구로 사용되었고, 인지적 도구나 목표에 해당하는 과제는 소수에 불과했다. 둘째, 정의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대부분이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것이고 수학자가 겪었던 어려움 등을 통해 수학의 인간적 측면을 보여주는 수학자 과제는 1개이다. 셋째, 정의적 도구와 목표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는 모두 설명 자료이고, 인지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10개 중 2개는 설명 자료, 8개는 모듈 자료이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활용의 중요성과 가치를 고려할 때, 인지적 도구-모듈 자료, 목표-모듈 자료 형식의 수학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나 수학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수학적 귀납법에 관한 소고 (On Mathematical Induction)

  • 고영미;이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95-204
    • /
    • 2021
  • Mathematical induction is one of the deductive methods used for proving mathematical theorems, and also used as an inductive method for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patterns and mathematical formul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al induction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deductive logic and inductive logic and helps the developments of algorithm and data scienc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We look at the origin of mathematical induction and its usage and educational aspects.

소크라데스의 대화법과 수업에서의 수학적 대화의 역사 (Socrates's dialogue and a history of mathematical dialogues in classrooms)

  • 한길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7-1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수학 학습에서 의사소통 방법 중의 하나인 대화법에 초점을 두어, 먼저 소크라테스의 교육철학을 살펴보고, 수학적 의사소통의 효시라 일컬어지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과 고대에서 현대까지 교사와 학생사이의 대화 형태로 존재하는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예를 살펴본다.

  • PDF

수학사에 근거한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 in View of Mathematical History)

  • 김선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5-94
    • /
    • 2005
  • 이 연구는 창의적 생산력 계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 학생들이 생산한 창의적 산출물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학사를 통해 수학자들이 이룩한 산출물을 토대로 창의적 산출물 생산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이 모델은 수학적 지식, 수학적 사고, 수학적 탐구 기술의 세 가지 요소와 창의적 산출물 전체에 대한 평가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산출물은 모델의 각 요소에 초점을 둔 것에 대응시킬 수 있었다. 수학에서의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평가 준거는 창의적 산출물 생산 모델의 요소에 근거하여 개발하였으며, 이 준거에 의한 평가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수학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금순;남영만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383-401
    • /
    • 2012
  •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includes two important areas; cognitive area that emphasizes mathemat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affective area that stresses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is not only in acquiring the contents and knowledge but also rousing up interest and attention toward mathematics. Therefore, effort to accomplish this affective purpose has to be made. Introducing history of mathematics to teaching can be a important method for the students to arouse interest and attention toward mathematics. History of mathematics can help the students who are familiar to only manipulation of the symbols to develop a new way of thinking and mathematical thoughts arousing reflective thinking. According to the survey, although the effect of using mathematics history has been recognized, the mathematics history has neither been developed as teaching materials nor reflected in the courses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reading materials into suit for the mathematics curriculum to extract contents of the mathematics valuable in us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materials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on learning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The way of developing material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select the interesting and instructive subject for the elementary students such as the story and life of a mathematician, developmental stages of mathematical theory and calculation currently used and finding the patterns of the rules that requires mathematical thoughts. Second, to classify the selected items according to mathematics curriculum. Third, to reorganize the classified items of the appropriate grade with the reading materials of dialogue pattern in order to draw attention and interest from the students I developed 18 kinds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cedure and applied 5 materials among them to one class in 4th grade. Analysing the student's responses, First,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helps the students to arouse interest and confidence on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And the students became better attitude of studying by oneself and attention on class. Second, as know by opinions after lesson, most students have a chance refresh one's thinking of mathematics, want to know the other content of history of mathematics and responded to study hard in mathematics. As a result, the reading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motivates students for mathematics and helps them become confident in mathematics. If the materials are complemented properly, they will be useful and effective for students an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