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nal haploi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종간교배(N.tabacum ${\times}$ N.africana)에 의한 반수체의 출현빈도와 특성 (MATERNAL HAPLOIDS FROM CROSS OF N. TABACUM WITH N. AFRICANA AND THEIR CHARACTERS)

  • 금완수;정석훈;정윤화;최상주;이승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3-96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maternal haploid method for the practical breeding of M tabacum using the interspeciflc hybridization between M tabacum and N. aflicana. The frequency of surviving seedling per seed capsule o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was 4.15. Among them, the frequencies of maternal haploid and hybrid were 1.20 and 2.95, respectively. The chromosome numbers of n=24 for maternal haploid and 2n=47 for hybrid were identified in surviving seedling from interspecific hybridiztion. Except the chromosome number, distinguishabl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material haploid from hybrid were observed at seedling stage.

  • PDF

연초(Nicotiana tabacum L.) 새포질 웅성불임 $F_1$과 Nicotiana africana의 종간 교배에 의한 반수체 식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aploid Plants Derived from Interspecific Cross between Cytoplasmic Male-sterile Tobacco $F_1$(Nicotiana tabacum) and Nicotiana africana)

  • 정윤화;금완수;조명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9-654
    • /
    • 1995
  • 연초(N. tabacum L.)의 세포질 웅성불임 F$_1$ 식물체와 N.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웅성불임 반수체식물의 육성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MS NC82$\times$burley 21) F$_1$과 N.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세포질 웅성불임 반수체 식물의 출현빈도는 삭당 0.5주로 나타났다. 2. 종간교배으로 얻은 웅성불임 반수체식물 중 잎과 줄기의 색이 green(황색종)과 yellow(버어리종)의 분리비는 3 : 1로 나타났다. 3. 반수체 식물 중 잎과 줄기의 색이 yellow(버어리종 type)인 개체에 TMV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저항성과 이병성의 비는 1 : 1로 나타났다. 4. (CMS MC82 Burley 21)F$_1$과 N. africana의 종간교배으로 세포질 웅성불임 isogenic Burley 21 반수체 식물의 육성이 가능하였고 이 반수체 식물의 염색체를 배가함으로써 여교배육종법에 비하여 조기에 세포질 웅성불임 Burley 21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AFLP-based Linkage Map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Using Haploid DNA Samples of Megagametophytes from a Single Maternal Tree

  • Kim, Yong-Yul;Choi, Hyung-Soon;Kang, Bum-Y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2호
    • /
    • pp.201-209
    • /
    • 2005
  • We have constructed an AFLP-based linkage map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 using haploid DNA samples of 96 megagametophytes from a single maternal tree, selection clone Kyungbuk 4. Twenty-eight primer pairs generated a total of 5,780 AFLP fragments. Five hundreds and thirteen fragments were verified as genetic markers with two alleles by their Mendelian segregation. At the linkage criteria LOD 4.0 and maximum recombination fraction 0.25(${\theta}$), a total of 152 markers constituted 25 framework maps for 19 major linkage groups. The maps spanned a total length of 2,341 cM with an average framework marker spacing of 18.4 cM. The estimated genome size was 2,662 cM. With an assumption of equal marker density, 82.2% of the estimated genome would be within 10 cM of one of the 230 linked markers, and 68.1% would be within 10 cM of one of the 152 framework markers. We evaluated map completeness in terms of LOD value, marker density, genome length, and map coverage. The resulting map will provide crucial information for future genomic studies of the Japanese red pine, in particular for QTL mapping of economically important breeding target traits.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의 웅성발생성 처녀생식: I. 형질전환 유전자 표지를 이용한 웅성발생성 반수체 유도의 최적화 (Intraspecies Androgenesis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 Optimization of the Egg Inactivation and Haploid Androgenesis Using Transgene Marker)

  • 남윤권;노충환;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6-172
    • /
    • 2006
  • 동일 종내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웅성발생성 인공처녀생식(intraspecific androgenesis)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꾸라지 난 유전물질의 불활성화와 이에 따른 웅성발생성 반수체 유도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다양한 자외선(UV)농도$(0\sim25,650ergs/mm^2)$를 이용하여 미꾸라지 난의 유전학적 불활성화를 시도하였으며 수정률, 부화율 및 반수체 출현율을 평가한 결과 10,800 ergs의 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반수체 유도 효율을 보였으며 최초 처리 난 중 50%이상의 웅성발생성 반수체 수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웅성발생성 개체는 전형적인 haploid syndrome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flow cytometry분석 결과 정확히 미꾸라지 반수체(1.4 pg/cell)의 DNA함량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삽입된 형질전환 유전자 표지를 이용하여 부계 특이적인 인공처녀생식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일부 반수체자어들에서$(8\sim11%)$ 모계 유전물질의 잔류가 검출되었다.

배추 종간 잡종의 소포자배양에 의한 Double haploid 집단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flavonoids in double haploid population derived from microspore culture of F1 hybrid of Brassica rapa)

  • 서미숙;원소윤;강상호;김정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35-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유지형 배추인 LP08과 청경채형 LP21을 교배한 교잡종 $F_1$을 소포자 배양하여 유전적으로 고정된 계통을 획득하였다. 엽의 결각 유무 및 결각수에서 다양한 형태적 특징을 보이는 66개 고정계통을 대상으로 항암 및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66개 고정 계통의 엽의 결각 유무와 플라보노이드 함량 간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양친으로 사용된 LP08, LP21 그리고 결구 배추형 품종인 Chiifu를 대상으로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실시한 결과, quercetin, naringenin, 및 kaempferol 함량의 다양한 분포가 관찰되었다. 또한 모계인 LP08에서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고 결구 배추형인 Chiifu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66개 고정 계통을 대상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quercetin은 LP08 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는 18 계통이 확인되었으나 naringenin과 kaempferol에서는 교배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는 계통을 발견할 수 없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 kampferol은 79.7 %, quercetin은 17.4 %의 비율을 보였고 naringenin의 경우 2.8 %로 거의 대부분의 계통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이고 22개 계통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성분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quercetin과 kaempferol의 함량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향후 플라보노이드 생합성 기작 관련 유전자 탐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고정 계통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광범위한 형질 조사를 실시하여 배추의 품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Siluriformes) 자성발생성 이배체 생산 - I.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처리 조건의 최적화 (Production of Induced Gynogenetic Diploid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Siluriformes) - I. Optimization of Treatment Condition for Diploid Gynogenesis)

  • 박상용;이윤아;남윤권;방인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4-189
    • /
    • 2007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유전육종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자성발생성 이배체 유도 기법을 최적화하였다. 대농갱이 반수체 유도를 위해 다양한 농도의 자외선 조사를 통해 대농갱이 및 동자개 정자의 유전학적 불활성화 실시하였으며 최적 자외선 처리 조건은 4,800 $ergs/mm^2$로 나타났고, 이 때 Hertwig effect와 함께 97% 이상의 반수체 유도가 가능하였다. 반수체 대농갱이는 전형적인 반수체 증후군(haploid syndrome)을 보였으며, 반수체 대농갱이를 이배체로 복원시키기 위해 $4^{\circ}C$ 또는 $6^{\circ}C$에서 인공 수정 후 3, 5 및 7분 후에 30, 40 및 50분 간의 처리를 수행한 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38.6%)과 이배체 복원률(87.9%)은 수정 5분 후 $4^{\circ}C$에서 40분간 처리 조건에서 관찰되었다.

Blocking the 1st Cleavage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 Yoon Kwon Nam;Gyeong Cheol Choi;Dong Soo Kim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7-173
    • /
    • 1999
  • Blocking the 1st mitotic cleavage was performed in mud loach (Misgurmus mizolepis) using UV-irradiated cyprinid loach (M. anguillicaudatus) sperm and ternal shocks Optimum UV range for inactivation of cyprinid loach sperm and thermal shocks. Optimum UV range for inactivation of cyprinid loach sperm was between 3,150 to 4,050 ergs/m$m^2$. Heat shock treatment ($41^{\circ}C$ for 3mins) with various treatment initiation times ranged from 22 to 50 min post insemination resulted wide range of success for induced gynogenesis. Best result was obtained when haploid egges were shocked at 28 min after insemination (corresponding to metaphase division of the 1st cleavage); 26% of total eggs inseminated were viable diploid gynogens. The hatching success and early survival of the both meiotic and mitotic gynogen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rosses (P<0.05). Maternal origin of induced gynogenetic mud loach was verified by multi-locus DNA fingerprinting.

  • PDF

연초(Nicotiana tabacum L.)의 반수체 육종법 1주1계통법, 집단육종에 의한 육성계통의 특성비교 (Comparison of Lines from Anther and Maternally-derived dihaploids, Single-seed Descent and Bulk Breeding Method in Flue-cur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 정윤화;이승철;김달웅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4-115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four different breeding methods in tobacco varietal development. A single Fl hybrid plant from cross of two flue-cured cultivars of Nicotiana tabacum L Bright Yellow 4(BY4) and NC95, was selfed. F2population above cross was screened for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wilt caused by Pseudommonas solanacearum E.F.Smith under the naturally infested field conditions, and the 30 lines were developed from F2 individual plant by anther culture (ADH), maternal method utilizing Nicotiana afpicana (MDH), single- seed descent(SSD) and Bulk breeding method, respectively. All characters except content of total alkaloids of ADH and MDH which wore bred by haploid methods reduced more than that of lines bred by conventional methods(SSD & Bulk) : however, the yields were 8% lower than other lines. The total alkaloid content of ADH was higher than that of MDH, and yield was reduced about 4n even though the number of leaf was identical with the MDH. All other characters of ADH were also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lines bred by conventional methods, population developed by SSD showed significantly wider leaf width, shorter plant height, later days to flower, and lower in percent reducing sugar than those by Bulk. The populations derived from haploid method showed greater phenotypic variance and wider range of variation than conventionally developed ones.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selection will provide a significantly greater genetic gain for leaf number and leaf length in the ADU and MDH populations, and for plant height and days to flower in the SSD and Bulk populations.

  • PDF

무지개송어, Oncorhynhus mykiss와 산천어, O. masou간의 잡종 및 잡종 3배체 생산 I. 세포유전학적 연구 (Production of Hybrid and Alotriploid betwee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Cherry Salmon, O. masou I. Cytogenetic study)

  • 박인석;김치홍;최경철;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7
    • /
    • 1997
  •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와 산천어, O. masou 간 잡종 및 잡종 3배체가 유도되었다. 잡종 3배체의 3배체 유도율은 92%로 유도된 잡종 3배체의 초기 생존율은 잡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잡종의 염색체수는 2n=63 이었으며 잡종 3배체의 염색체수는 3n=93으로 나타났다. 잡종은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에서 잡종유도시 사용된 무지개송어, 산천어의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의 중간치를 나타냈으며 잡종 3배체는 잡종에 비해 배수화에 기인되어 큰 적혈구 세포 및 핵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배수화는 인형성부위 수에서도 나타나 잡종은 1개 혹은 2개의 인형성부위를 보인 반면 잡종 3배체는 1개, 2개 혹은 3개의 인형성부위를 나타내었다.

  • PDF

생쥐 수정란의 핵이식에 관한 연구 I. 모성 및 부성 genome의 기능차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uclear transplantation in mouse embryos. I.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genomes)

  • 최상용;박충생;이효종;박희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3-127
    • /
    • 1990
  • 모성 및 부성 genome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세조작기법과 Sendai virus를 이용한 핵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2개의 자성전핵만으로 구성된 2배체의 gynogenetic 수정란을 그리고 2개의 웅성전핵만으로 구성된 2배체의 androgenetic 수정란을 인위적으로 작출하였다. 이들의 작출효율은 biparental 수정란에서는 56%, gynogenetic 수정란에서는 50% 그리고 androgenetic 수정란에서는 56% 이었다. 이들을 체외에서 배양한 결과 gynogenetic 및 androgenetic 수정란은 2-세포기 이후에는 biparental 및 intact 수정란에 비하여 그 발달능이 매우 저조하였으나 이들 중 25% 이상이 포배까지 발달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ynogenetic 및 androgenetic 수정란을 동기화된 수란생쥐의 난관내에 이식하였던 바, androgenetic 수정란은 전혀 착상 되지 않았으나, gynogenetic 수정란에서는 착상이 확인되었다. 핵이식기법으로 인위조작된 2배체의 biparental 수정란으로부터 28마리의 생쥐 신생자를 생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