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ial Recycling

검색결과 1,159건 처리시간 0.025초

시멘트 혼화재로서 제지슬러지 소각재의 재활용 특성 (A Study on the Reusability of Incinerated Paper Mill Sludge Ash as Cement Additive)

  • 주소영;연익준;이민희;박준규;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2호
    • /
    • pp.34-4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abilization disposal and recycling on incinerated paper mill sludge ash as cement additives. It was investigated chemical(pH, ICP, TGA XRD) and physical(PDA, SEM) characteristics of the incineration ash. And the pozzolanic characteristics of incineration ash was applied to cement as additive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results were that the pH characteristic of incineration ash was strong alkalinity, the content of silica and alumina as a pozzolanic material was 50.97%,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5.03{\mu}m$ respectively. When the ash contents as cement additive were varied in 0~15%(wt) of cement weight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n the solidified cement mortar, the proper amount of the incineration ash substituted was about 5~l0%(wt). Therefore we found that using the incineration ash as cement additive obtains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 the stabilization disposal, the reduction of waste disposal expense, and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too.

수용액(水溶液)에서 코발트와 니켈 분리(分離) (Separation of Cobalt and Nickel from Aqueous Solution)

  • 류양;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1호
    • /
    • pp.11-19
    • /
    • 2013
  • 코발트와 니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순도가 높은 상태로 이 금속들을 회수하는 것은 중요하다. 고순도 코발트와 니켈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금속이온과의 분리가 필요하다. 본 총설에서는 순수한 코발트와 니켈용액을 얻을 수 있는 용매추출, 이온교환 및 침전법을 소개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용매추출에 대해서는 기존 공정의 장단점과 함께 공정조건을 조사하였다.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실태 분석 (A Study on the Environment-Conscious Logistics considering Business Scales)

  • 박석하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1-131
    • /
    • 2005
  • 환경문제가 기업의 물류분야에서도 중요한 경쟁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추진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물류활동 82개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제조기업 129사를 대상으로 기업규모별로 추진실태를 조사하였다. 환경친화적 물류활동 조사항목 중 40개 이상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10% 수준에 불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추진하여야 환경친화적인 물류활동의 추진방향을 6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PDF

재생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벽돌의 물성 연구 (The Study Concrete Brick Material of Recycle Cement Using)

  • 서경호;박차원;안재철;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87-90
    • /
    • 2004
  • Serious problems of the environment protection and resource exhaustion are exhibit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and activation of the remodeling, recently. Especially, most of the advanced countries. recycling plan for the waste concrete is vigorously progr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king advances in th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material for use as recycled aggregate to make secondary concrete product. Using recycled aggregates form demolished concrete, we manufactured cement bricks to experiment overall performance in Korean Standard and feasible performances. On the recycled cement, in the case of cement : aggregate is 1 : 7 is satisfied with KS F 4004 : dimensions, water absorption, compressive strength of quality of a standard. So we concluded that it has great feasibility to apply these products to construction industry.

  • PDF

연질 PVC재료로부터의 첨가제의 침출거동 (Elution Behavior of Additive Agent from Flexible PVC)

  • 신선명;전호석;박찬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6호
    • /
    • pp.3-8
    • /
    • 2001
  • 연질PVC(polyvinyl chloride) 재료를 알카리수용액 중에서 반응온도 $80~120^{\circ}C$, 반응시간 0~24시간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PVC의 탈염소가 일어나기 이전에 첨가제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하는 목적으로서 가소제의 침출거동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10$0^{\circ}C$ 이하에서는 연질PVC재료에서의 탈염소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또한 NaOH농도가 5M이상에서는 가소제의 용출율은 100% 였다. 따라서 반응온도 및 NaOH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질PVC재료로부터 탈염소가 일어나기 이전에 가소제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것이 가능했다.

  • PDF

기업의 규모별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Conscious Logistics System on according to Business Scales)

  • 이병섭;박석하;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1-9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environment conscious logistics system which is essential to make material recycling economic society. Environment conscious logistics management which meant simply recycle is tend to promote material reduction, reuse and recycling. We have made case studies about advanced environment conscious logistics system. To examine korean companies' environment conscious logistics system, we made survey form which is consist of 81 questionnaires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5. And we have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propose the way of constructing environment conscious logistics system in Korea.

  • PDF

자성체를 사용하는 중금속 오염토양의 새로운 복원기술 (Novel Technique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with Heavy Metals Using Magnetic Substances)

  • 전충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4호
    • /
    • pp.90-96
    • /
    • 2011
  •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어지고 제안되어져 왔다. 그러나 다양한 기술들에 대한 단점은 실제공정에 대한 적용을 어렵게 했으며 새로운 기술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본문에서는 최근에 새롭게 개발되어지거나 실용화되어지고 있는 국/내외 기술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하며 특히, 자성체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복원기술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를 위한 배출업종별 성상 및 특성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for recycling of Multifarious Food Waste)

  • 주흥수;류재영;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117-124
    • /
    • 2001
  • 본 연구는 각 업종별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다양한 성상 및 그 특성을 분석하여 검토함으로서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처리방안과 설계단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업종별로 성상이 차이가 있었고, 일식업소가 다른 업소에 비교하여 많은 차이를 보였다. 조성면에서는 채소류가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또한 계절에 따라 채소류의 함량은 차이가 많았다 이물질은 조개껍질류가 가장 많았으며, 요식업소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비율이 공동주택에서 보다 높아 사전분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염분은 일식업소에서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1% 전후로 자원화에 바람직하지 않지만, 전단계에서 세척공정을 둔다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료성분은 조섬유가 28%, 조단백질이 25%, 조지방이 11%로 나타났다. 유해균 및 중금속에 대한 분석도 동시에 실시하였으나, 병원성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고, 각종 유해물질은 규제농도이하 값을 보였다. 각종 성상의 분석결과, 자원화에 있어서 계절요인과 요식업소와 공동주택의 수거비율을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공동주택은 부패 등의 문제로 인하여 사료화보다는 퇴비화가 적합하고, 요식업소중 중식, 분식, 집단급식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사료화가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코발트와 팔라듐 폐금속자원의 흐름분석을 통한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 (Resource Circulation Plan using Material Flow Analysis of Waste Metals of Cobalt and Palladium)

  • 이희선;이정민;이소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1호
    • /
    • pp.14-21
    • /
    • 2018
  • 희유금속이 포함된 제품의 소비 급증으로 이를 재활용을 통해 자원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자원 중 코발트와 팔라듐의 폐자원흐름분석을 통해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을 각 단계별로 모색하였다.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서 배출/수입단계에서는 대상금속이 포함된 폐기물을 자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며, 해당 폐금속자원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수거/폐기단계의 가장 큰 문제는 스크랩 원료 확보의 불안전성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입찰 시스템 개선과 같은 수급안정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기술 개발 지원, 물질재활용 효율 향상 방안 등의 기술적 부분과 친환경 설계 의무 강화, 클로즈드 리사이클링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재활용 방법과 기준의 강화 등 제도적 개선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 중소기업 상생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품생산/수출단계에서는 폐금속자원의 국외 반출량 억제를 위해 코발트와 팔라듐이 포함된 폐자원 수출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여야 할 것이다.

D시 생활폐기물 관리 방법과 온실가스 배출량과 감축량 산정 연구 (A Study of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and Reduction by Municipal Solid Waste (MSW) Management)

  • 윤현명;장윤;장용철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606-615
    • /
    • 2018
  •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options for solid waste management have been changing from land disposal to recycling, waste-to-energy, and incineration due to growing attention for resource and energy recovery.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 has become an issue of concern in the waste sector because such gases often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during the waste management processes (e.g., biodegradation in landfills and combustion by incineration) can contribute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emission and reduction rates of GHGs by the municipal solid waste (MSW) management options in D city have been studied for the years 1996-2016. The emissions and reduction rat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 and the EU Prognos method, respectively. A dramatic decrease in the waste landfilled was observed between 1996 and 2004, after which its amount has been relatively constant. Waste recycling and incineration have been increased over the decades, leading to a peak in the GHG emissions from landfills of approximately $63,323tCO_2\;eq/yr$ in 2005, while the lowest value of $35,962tCO_2\;eq/yr$ was observed in 2016. In 2016, the estimated emission rate of GHGs from incineration was $59,199tCO_2\;eq/yr$. The reduction rate by material recycling was the highest ($-164,487tCO_2\;eq/yr$) in 2016, followed by the rates by heat recovery with incineration ($-59,242tCO_2\;eq/yr$) and landfill gas recovery ($-23,922tCO_2\;eq/yr$). Moreover, the cumulative GHG reduction rate between 1996 and 2016 was $-3.46MtCO_2\;eq$, implying a very positive impact on future $CO_2$ reduction achieved by waste recycling as well as heat recovery of incineration and landfill gas recovery.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improved MSW management systems are positive for GHGs reduction and energy savings. These results could help the waste management decision-makers supporting the MSW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policies as well as the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orts at local government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