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ive rotator cuff tear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1초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상완 이두 건 장두의 병변 (Long Head of the Biceps Tendon Lesion Associated with Rotator Cuff Tear)

  • 김영규;김동욱;이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64-71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되어진 상완 이두 건의 병변 및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후향적으로 상완 이두 건의 병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92예를 대상으로 2년 이상 추시하였다. 상완 이두 건 병변은 건막염, 건의 마모 또는 비대, 파열, 불안정성의 4형태로 구분하였다. 회전근 개는 광범위 파열 중 4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봉합하였으며 상완 이두 건 병변에 대해서는 변연 절제 30예, 건 절단 10예, 건 고정 8예, 재배치 4예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UCLA 평가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상완 이두 건 병변을 보인 예가 70예 (76%)로 건막염은 19예, 건의 마모 또는 비대 22예, 파열 21예, 불안정성 8예의 병변을 보였다.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에 따라서 중범위 이하에서는 63%, 대범위 이상에서는 88%의 상완 이두 건 병변을 보였다. 치료 결과는 상완 이두 건 병변이 없었던 22예에서는 29.6점, 병변이 있었던 예 중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였던 66예에서는 28.3점이었다. 동반된 상완 이두 건을 절단하거나 재고정을 시행한 예에서는 28.2점이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상완 이두 건 병변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형태도 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완 이두 건 병변의 원인이 회전근 개 파열을 유발시키는 원인과 연관될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동반된 상완 이두 건 병변의 치료로 건 절단이나 건 고정이 동통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견관절 Scoring System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oulder Scoring Systems)

  • 태석기;조성구;정영복;진휘재;김종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4권2호
    • /
    • pp.173-180
    • /
    • 2001
  • Aim: To evaluat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four shoulder scoring systems. Material and Method: Twenty-five cases of shoulder instability(22 traumatic, 3 non-traumatic) and twenty-three cases of rotator cuff tear(12 small or medium, 10 large or massive) treated surgically were evaluated with the Shoulder Function Scor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Penn FS), Constant Score, UCLA Shoulder Rating Scale and Simple Shouler Test(SST),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The average follow-up was 16.0 months in instability group and 17.5 months in rotator cuff tear group. Using the SPSS program, Pearson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cy(PLCC) between the scores were calculated. And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PLCC betwee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 scores were also calculated. Responsiveness was measured by the standardized response mean(SRM). Result: In instability 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scoring systems was low preoperatively except between Constant and SST, but high after operation.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scores showed low PLCC preoperativley, but high PLCC postoperatively. SRM was high in PENN and UCLA, but when the satisfaction segment of the score was eliminated from UCLA, the SRM was the lowest. In rotator cuff tear group,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not only preoperatively but postoperatively.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matched well with the scores. SRM was particularly high in UCLA and SST. Even when satisfaction segment was eliminated from UCLA, the SRM was still the highest. Conclusion : Evaluation by the 4 scoring systems investigated in the study showed less consistency in instability than rotator cuff tear in terms of correlation and validity. Responsiveness was generally higher in rotator cuff tear group than in instability group except for Pennsylvania Shoulder Function Score. Therefore it is construed that use of any among the four scoring systems doesn't make difference in evaluation of rotator cuff lesions. However in instability group, care is needed because different result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scoring system.

  • PDF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자기공명 조영술-관절경의 불일치 - 증례 보고 - (Discrepancy of Ultrasound-MR arthrography-Arthroscopy for the Diagnosis of Rotator Cuff Tear - Case report -)

  • 오정희;오주한;조기현;김세훈;빈성우;공현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3-26
    • /
    • 2008
  •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 검사는 간편성, 저비용, 손쉬운 접근성 등의 이유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초음파와 자기공명 조영술 검사상 파열의 크기 등이 각각에 따라 차이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74세 여자가 우측 어깨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신체 검진 상 충돌 증후군의 소견과 극상건의 근력 저하를 보여주었다. 초음파 상 1 cm 가량의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이 관찰되었으나, 자기공명 조영술에서는 3 cm 정도 크기의 파열이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상 회전근 개의 광범위 층상 파열과 함께 결손 부위에 얇은 막으로 덮여 있는 부분이 있어, 이러한 복합적인 파열 형태가 초음파 검사에서 크기를 작게 측정하게 된 원인이 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초음파 검사의 장점과 한계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검사 결과에 비하여 근력의 저하나 오랜 기간의 증상을 보여준다면 추가적 자기공명 조영술이나 반복적인 초음파 검사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ynamic three-dimensional shoulder kinematics in patients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s: a comparison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subscapularis tears

  • Yuji Yamada;Yoshihiro Kai;Noriyuki Kida;Hitoshi Koda;Minoru Takeshima;Kenji Hoshi;Kazuyoshi Gamada;Toru Morihara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4호
    • /
    • pp.265-273
    • /
    • 2022
  • Backgrou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MRCTs) with subscapularis (SSC) tears cause severe shoulder dysfun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influence of SSC tears on three-dimensional (3D) shoulder kinematics during scapular plane abduction in patients with MRCTs was examine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praspinatus (SSP) and infraspinatus (ISP) tears with SSC tear (torn SSC group: 10 shoulders) or without SSC tear (intact SSC group: 5 shoulders). Single-plane fluoroscopic images during scapular plane elevation and computed tomography (CT)-derived 3D bone models were matched to the fluoroscopic images using two-dimensional (2D)/3D registration techniques. Changes in 3D kinematic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The humeral head center at the beginning of arm elev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orn SSC group than in the intact SSC group (1.8±3.4 mm vs. -1.1±1.6 mm, p<0.05). In the torn SSC group, the center of the humeral head migrated superiorly, then significantly downward at 60° arm elevation (p<0.05). In the intact SSC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the superior-inferior translation of the humeral head between the elevation angles. Conclusions: In cases of MRCTs with a torn SSC, the center of the humeral head showed a superior translation at the initial phase of scapular plane abduction followed by inferior transl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SSC musc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glenohumeral joint in a superior-inferior direction in patients with MRCTs.

40대 이후 발생한 견관절 탈구와 회전근 개 파열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with Rotator Cuff tear Over the 5th Decades of Age)

  • 문영래;이상홍;김정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1-135
    • /
    • 2002
  • 목적 :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서 견관절 전방 탈구와 동반된 회전근 개 파열환자에서 예후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5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내원한 견관절 탈구 후 발견된 회전근 개 파열 12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연령은 42세에서 67세까지 였고, 이중 2예에서 액와 신경 마비를 보였으며 대결절 골절을 동반하였다. 모든 예에서 회전근 개 파열을 보였으며 파열 범위는 8예가 광범위 파열 3예가 광범위 파열, 1예가 소범위 파열이었다. 결과 : 견관절 탈구와 동반된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결과 불행 삼주징을 동반한 2예를 제외 한 10예에서 UCLA shoulder rating scale 을 이용하여 결과를 판정한 바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중장년층에서 발생한 견관절 탈구의 경우 동반 병변의 확인과 액와신경 손상이 동반된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적절한 회전근 개 봉합술 및 액와 신경 손상에 대한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회전근 개 대 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과 개방적 봉합술 간의 중기 결과 (A Mid-Term Reults of Arthroscopic Versus Open Repair for Large a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 왕성일;박종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22-228
    • /
    • 2011
  • 서론: 회전근 개 대 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 군과 개방적 봉합술 군 간의 중기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대 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대해 봉합술을 실시한 48예 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한 군은 28예, 개방적 봉합술을 시행한 군은 20예 였다. 임상적 결과는 관절운동 범위, 통증과 기능에 대한 VAS, ASES 점수 및 KSS 점수를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운동 범위, 통증에 대한 VAS 점수, 기능에 대한 VAS 점수 및ASES 점수는 두 군 모두 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상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으나 최종 추시상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KSS 점수도 최종 추시상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결론: 관절경적 봉합술과 개방적 봉합술 모두 향상된 중기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두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