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 bia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2초

가스 분무법으로 제조된 NixFe100-x(x=40~50) 퍼멀로이 분말 및 압분 코아의 자기적 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NixFe100-x(x=40~50) Permalloy Powders and Dust Cores Prepared by Gas-Atomization)

  • 노태환;김구현;최광보;김광윤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218-223
    • /
    • 2002
  • 가슨 분무법으로 제조한 High-Flux형 $Ni_{x}Fe_{100-x}$(x=40~50, wt.%) 퍼멀로이 분말 및 압분 코아의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화자화는 45%Ni조성에서 최대 값을 보이며 이보다 보 함량이 낮아지면 인바 효과의 작용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압분 코아의 투자율은 Ni 농도가 낮아지면 현저히 증가하는 바 이는 자기변형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자심손실은 Ni=45%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Ni농도가 50%에서 45%로 낮아짐에 따라 자심손실이 감소하는 주원인은 전기 비저항의 증대에 따른 와전류 손실의 감소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Ni=45% 분말 합금으로 만든 압분 코아는 Ni=50%의 경우보다 더 우수한 투자율의 주파수 의존성, 큰 Q 값, 그리고 더 나은 직류 바이어스 특성을 나타내어 상용 High-Flux 코아(50%Ni-50%Fe)에 비해 더 좋은 압분 자심 재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VAF 변분법을 이용한 전구 해양자료 동화 연구 (A Study of Global Ocean Data Assimilation using VAF)

  • 안중배;윤용훈;조익현;오혜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1호
    • /
    • pp.69-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구 해양에서 관측되는 ARGO및 TAO해양 자료를 이용하여 해양의 3차원적인 구조를 분석.동화하고 궁극적으로 해양대순환모형을 위한 초기장을 생산하였다. 초기장의 생산을 위하여 전구 해양대순환 모형인 MOM3.1을 이용하였으며 생산한 배경장에, 계산시간과 계산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공간필터를 사용한 변분법(VAF, variational analysis using filter)을 이용하여 ARGO와 TAO 수온 자료를 동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료 동화가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험적분을 수행하였는데, 모형의 초기입력 자료를 자료동화 기법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두 가지로 나누어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동화된 분석장은 OISST와의 비교를 통해 적절히 생산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관측자료를 동화한 분석장을 초기자료로 한 10개월간의 적분결과를 살펴보면, 자료 동화를 통해 제거된 모형의 계통적 bias가 적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관성 중력파 등의 형태로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측과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행한 자료동화가 모형의 역학적인 균형을 유지하면서 적절히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며, 전구 대순환 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대기.해양 예측에 이러한 해양 자료동화가 대단히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기법의 차이에 따른 현장시료의 VOC 분석결과 비교연구: 분석오차의 발생 양상과 원인 (A comparative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levels in field samples between different gas chromatographic approaches)

  • 안지원;수딜 팬디;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465-4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기환경시료 및 현장조건에서 채취한 현장시료들 중, 악취성분 및 주요 VOC 성분들 중에서 여러 유형의 관리대상으로 지정 중인 benzene, toluene, p-xylene, styrene, methyl ethyl ketone의 농도분석 방식들을 비교하였다. 이때, GC/FID와 튜브를 연계한 F-T 분석방식과 GC/MS와 백(bag)을 연계한 M-B방식으로 같은 시료를 각각 분석하고 이들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상관분석결과, toluene과 pxylene에서 F-T와 M-B방법간의 결과에서 큰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 < 1.4E-08). 양 기기간의 오차를 percent difference (PD)와 같이 산술적으로 구하여 평가한 결과, benzene과 toluene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분석대상 성분들 간에 양 방식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35%가 넘으면서 F-T와 M-B간의 오차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존재하였다. 그리고 F-T/M-B ratio가 대부분 1 이하로 나타나면서, M-B의 결과 값이 F-T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양 분석기기로부터 산출한 결과 값을 통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toluene, pxylene, styrene, methyl ethyl ketone 성분에서는 두 시스템간의 결과 값에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43).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 분석기법의 차이에 따른 오차는 상당 부분 선택한 표준시료의 성상 및 백내부의 시료손실 등과 같은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항암효능측정을 위한 발광 전립선 세포의 개발 및 평가 (A New Bioluminescent Rat Prostate Cancer Cell Line: Rapid and Accurate Monitoring of Tumor Growth)

  • 이미숙;정재인;권승해;심인섭;함대현;한정준;한대석;윤정한;허송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738-1741
    • /
    • 2010
  • 기존의 동물모델에서 암의 성장은 caliper를 이용하여 고형암 부피를 측정으로써 조사하였으나, 암 조직 속의괴사와 부종으로 인하여 부피측정에 신뢰성이 결여 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광 암세포를 이용하여 광학생체영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개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 발광 암세포를 제조하여 고형암 동물모델에서 B16 발광 암세포와 암 성장을 비교 측정하여 신규발광 암세포를 평가하였다. In vitro에서 세포 수와 발광강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R^2$=0.99), 고형암 동물모델에서 암 성장 측정은 괴사에 의한 오차를 줄였다. 이러한 발광신호를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은 caliper의 부피 측정에 비하여 높은 항암효과를 보임으로써 기존의 발광 암세포보다 신규 발광전립선 암세포의 유용성을 증명하였다.

결핵전문병원에 입원한 결핵환자의 우울증위험인자 (Risk Factors for Depression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in Tuberculosis Specialty Hospital)

  • 왕정현;박철수;김봉조;이철순;차보석;이소진;이동윤;서지영;안인영;백종철;강형석;문성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14-120
    • /
    • 2015
  • 연구목적 결핵환자 중 우울증 고위험 환자와 저위험 환자의 비교연구를 통해 결핵환자의 우울증 위험요인을 밝히고자 했다. 방 법 57명의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벡 우울 검사 2판을 이용하여 우울증상을 평가하였다. 우울증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누어 이분형로지스틱회귀분석 및 계산도표를 작성하였다. 결 과 신체비만지수가 낮아질수록 우울증 고위험군에 속할 위험은 높았다. 결핵치료 임의중단력이 있을 경우 우울증 고위험군에 속할 위험은 6배 높았다. 우울증 과거병력이 있는 경우 우울증 고위험군에 속할 위험은 25배 높았다. Original C-index는 0.789였고 bias corrected C-index는 0.754로 상당한 일치를 보였다. 결 론 낮은 신체비만지수, 결핵치료 임의중단력, 우울증 과거병력은 결핵환자의 우울증 위험요인임을 밝혔다. 이는 결핵환자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적 개입 및 치료를 위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이라크전쟁의 군사적 교훈 (Lessons learned from Operation Iraqi Freedom(OIF) for ROK forces)

  • 문광건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호
    • /
    • pp.71-111
    • /
    • 2003
  • The key lessons of the very complex modern war can be dangerously misleading to the outsiders. The efforts trying to draw lessons learned from the Iraq War (OIF : Operation Iraqi Freedom) may be biased by the view of point by Americans, because most of war episodes have been come from the Western media coverage. More serious bias can be committed thanks to the differences of warfighting doctrines and military technology between US forces and ROK forces. However, OIF-fought allied commanders and outside military experts said this campaign exemplified 21st-century warfare: swift, agile and decisive, employing overpowering technology to bring relentless violence to bear in many places at once. Even though the campaign evolved differently than anticipated, allied forces regrouped and regained the initiative remarkably quickly, thanks in large part to a new command flexibility, tied to new technology that made possible the more rapid sharing of data. These factors permitted "new air-land dynamic". The things that compel that are good sensors networked with good intelligence disseminated through a robust networking system, which then yields speed. Speed turns out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conducting "Rapid Decisive Operations" relied on joint "Mass of Effects". ROK forces facing the heaviest ground threat in the world may learn more from Cold War era-typed US Army 3rd Infantry Division (3ID), which operating considerably beyond existing doctrine. 3ID flew its personnel into Kuwait to meet up with equipment already located in the region as pre-positioned stock. During OIF, the division conducted continuous offensive operations over 230km deep battlespace for 21 days. The lessons learned for ROK army to prepare tomorrow's war may be found from 3ID in its training, command and control, task organization, firepower and battlespace management, and logistics.

  • PDF

Effect of Gocho(苦椒) Extract Mesotherapy on Regional Fat Loss in Obese Korean Women

  • Kim, Eun-Joo;Brodsky, Marc;Cho, Jae-Heung;Cho, Yu-Jeong;Song, Mi-Ye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0-40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ocho (苦椒) extract mesotherapy can effectively reduce weight and abdominal fat in obese patients. Methods: Forty obes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Five participants dropped out voluntarily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and four men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o avoid gender bias. Results are presented on a total of thirty-one women. Over an eight-week period, the treatment group (n=13) received gocho (苦椒) extract injections (100mcg/3cc) in the abdominal skin, twice per week; the control group (n=18) received normal saline injections (3cc). A mixed lidocaine and prilocaine cream (2.5%/2.5% EMLA cream) was applied before the injection. At baseline and 8 weeks, body weight, body-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WC), waist-hip ratio (WHR), abdominal fat, energy expenditure, and questionnaires (eating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were evaluated in both groups. Results: Reductions in body weight (p<0.005), BMI, and WC (p<0.05) were greater in the treatment group. WHR, total fat area, and visceral fat area decreased only in the treatment group (p<0.05). Resting metabolic rate (RMR) change was correlated with weight loss only in the control group (r=-0.498, p<0.05).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questionnaire variables (p>0.05). Conclusion: his study suggests that abdominal gocho (苦椒) extract mesotherapy might be an effective way to promote weight and abdominal fat loss in obese Korean women.

입체해석학적 접근법에 의한 암반 절리 크기 및 밀집도의 통계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of Rock Joint Size and Intensity by Stereological Approach)

  • 류동우;김영민;이희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2권1호
    • /
    • pp.10-18
    • /
    • 2002
  • 암반 구조물의 거동에 있어 지배적인 영향을 마치는 3차원 암반 절리계의 정의는 2차원 혹은 3차원 불연속 암반 거동의 예측을 위한 수치해석 시 매우 중요하다 .3차원 절리계의 정의에 있어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절리 기하학적 속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통계량 추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절리 기하학적 속성 중 절리 크기 및 밀집도를 중심으로 통계적 분석기법에 대해 제안하고 , 절리 크기 및 밀집도의 추정에 필요한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3차원 공간상에 위치하는 절리 기하는 위치, 크기, 밀집도, 방향의 결합된 형태로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방법 및 자료의 차원 한계 (dimensional limit)로 인해 3차원 기하학적 속성은 확률론적이다. 따라서, 절리 크기의 추정 시 차원 한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편향들을 보정하기 위한 기법을 논의하였고, 업체해석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절리 크기의 통계량으로부터 3차원 밀집도를 유도하였다.

폐회로 습도계를 이용한 수증기 플럭스 관측시관의 감쇠 효과에 관하여 (On the Effect of Tube Attenuation on Measuring Water Vapor Flux Using a Closed-path Hygrometer)

  • 홍진규;김준;최태진;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80-86
    • /
    • 2000
  • 에디 공분산 방법은 생태계와 대기간의 질량과 에너지 교환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다른 미기상학적 방법과는 달리 많은 가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접 측정으로서, 스칼라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고속 반응의 개회로 또는 폐회로 기기를 필요로 한다. 후자를 사용할 경우, 흡입된 공기가 관을 통과하면서 스칼라의 농도 변동의 감쇠가 일어난다. 이러한 관 감쇠 효과는 측정하고자 하는 난류 플럭스를 과소 평가하게 한다. 난류 흐름의 감쇠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서 개회로 기기와 폐회로 기기로 측정된 수증기 농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에 의하면, 폐회로 기기에서 얻어진 스펙트럼이 0.5 Hz 이상의 영역에서 개회로 기기에서 얻어진 스펙트럼과 서로 다름을 보였다. 낮에는 관 감쇠에 의한 수증기 플럭스의 손실이 5% 이내였으나, 밤에는 풍속이 작고, 난류의 강도가 약하여 플럭스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론적으로 계산된 플럭스 손실은 관측 결과와 고주파수 영역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수증기가 관의 벽과 상호 작용하면서 플럭스 측정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개회로나 폐회로기기 모두 5% 오차 내에서 수증기 플럭스 관측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가 안정할 때는 플럭스 산출시 고주파수에서의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 주어야 한다.

  • PDF

CMAQ 모델링을 통한 초기 기상장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예측 민감도 연구 (Sensitivity Study of the Initial Meteorological Fields on the PM10 Concentration Predictions Using CMAQ Modeling)

  • 조유진;이효정;장임석;김철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54-569
    • /
    • 2017
  • Sensitivity analysis on $PM_{10}$ forecasting simulations was carried out by using two different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of meteorological fields: NCEP/FNL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Final Analysis) reanlaysis data and NCEP/GFS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Global Forecast System) forecasting data, and the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wo different simulations. The two results both yielded lower $PM_{10}$ concentrations than observations, with relatively lower biased results by NCEP/FNL than NCEP/GFS. We explored the detailed individual meteorological variables to associate with $PM_{10}$ prediction performance. With the results of NCEP/FNL outperforming GFS, our conclusion is that no particular significant bias was found in temperature fields between NCEP/FNL and NCEP/GFS data, while the overestimated wind speed by NCEP/GFS data influenced on the lower $PM_{10}$ concentrations simulation than NCEP/FNL, by decreasing the duration time of high-$PM_{10}$ loaded air mass over both coastal and metropolitan areas. Thes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FNL against GFS data such as maximum 3~4 m/s weaker wind speed, $PM_{10}$ concentration control with the highest possible factor of 1.3~1.6, and one or two hour difference of peak time for each case in this study, were also reflected into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t is implying that improving the surface wind speed fluctuation is an important controlling factor for the better prediction of $PM_{10}$ over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