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up Language

검색결과 746건 처리시간 0.034초

유사 패턴을 갖는 HTML 문서의 XML 자동 변환 (Automatically Converting HTML Documents with Similar Pattern into XML Documents)

  • 오금용;황인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3호
    • /
    • pp.355-364
    • /
    • 2002
  • 최근 들어, WWW(World Wide Web)의 급속한 보급으로 많은 양의 정보가 생성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웹은 이제 정보 교환의 도구로서 뿐 아니라 정보의 저장소로 인식되게 되었다. 현재 웹상의 많은 문서들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HTML은 간단하고 배우기가 쉬운 반면, 데이터에 대한 기술을 명확하게 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해 정보 검색에 있어서 효율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가 구조적인 언어로 부상하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변환하는 것이다. XML은 웹 상에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안된 표준 메타 언어이다. 효과적인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XML은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통하여 문서의 구조를 기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유동성은 웹에서 운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통합, 저장,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유사한 패턴을 갖는 HTML 문서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에 관련된 경로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XML 문서로의 변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XML 변환기를 구현하였다.

증강현실 시스템을 위한 시나리오 마크업 언어 설계 (Design of a Markup Language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 최종명;이영호;김선경;문지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1-25
    • /
    • 2021
  • 증강현실 시스템이 엔터테인먼트, 쇼핑, 교육 및 훈련 등의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증강현실 기술의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증강현실 기술을 교육이나 훈련에 사용할 때 동일한 마커에 대해서도 작업 단계에 따라 다른 가상 객체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훈련 내용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훈련 시나리오를 이용해서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훈련 내용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증강현실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위한 시나리오 마크업 언어를 제안한다. 증강현실을 위한 시나리오 마크업 언어는 장면, 마커와 가상 객체를 연결하는 방법, 장비의 상태 혹은 센서 값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조건에 따른 장면 이동 방법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증강현실 시나리오 마크업 언어는 유연하게 증강현실 시스템의 사용 방법과 콘텐츠 사용의 유용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XSL를 이용한 XML 문서 검색에 관한 연구 (Study for XML document retrieval to use XSL)

  • 김충성;김용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66-68
    • /
    • 1999
  • 최근 들어 이 기종 간의 문서 교환을 위해 SGML(Standard Markup Language) 문서보다 XML(eXtend Markup Language) 문서가 인터넷 기반에서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 인터넷상의 수많은 정보들을 XML을 기반으로 할 것이고 이를 위해 문서 정보 검색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문서의 논리 구조를 표현하는 DTD(Document Type Definition) 기반으로 구조 검색을 할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XSL(XML Style Sheet Language) 문서에서 DTD의 Element를 지정하는 Pattern을 이용하여 문서 구조와 속성을 새로운 Tree로 표현하며 검색에 필요한 질의어 또한 XSL의 Pattern 자체를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편하고 효율적인 검색 환경을 위해서 검색 인터페이스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그리드에서 작업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JCML과 GUI 기반의 편집기 (A JCML and a GUI-based Editor for Specifying Job Control Flow on Grid)

  • 황석찬;최재영;이상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3_4호
    • /
    • pp.152-159
    • /
    • 2004
  • 그리드는 기존의 컴퓨팅 환경을 대체하는 새로울 환경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그리드가 원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질적인 특성으로 인한 사용상의 복잡함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안경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향상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작업의 수행을 돕는 JCML(Job Control Markup Language)과 편집기에 대해 소개한다. JCML은 기존의 글로버스에서 사용하는 RSL을 향상시킨 작업 제어 언어이다. JCML은 표준 XML 문서 형식으로 설계되어 그리드 서비스와의 데이타 호환성을 제공하며, 작업의 표현과 의존성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GXL(Graph eXchange Language)을 이용한 그래프 방식으로 노드와 에지를 사용하여 두 노드간의 의존성을 표현한다. 그리고 JCML 편집기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비주얼 환경을 제공하며, 끌어다 놓기와 같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복잡한 작업 지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인터넷 악보 표현을 위한 XML DTD 설계 (A Design of XML DTD for Representation of the Internet Sheet Music)

  • 채진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52
    • /
    • 1999
  •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에서 악보를 표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인터넷 악보 표현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한 새로운 마크업 언어인 ScoreML(Score Markup Language)을 제안하고, 이것을 정의하는 XML DTD를 설계하였다. ScoreML을 구성하는 XML DTD는 실제 연주에 사용되는 악보를 인터넷 상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악보의 다양한 부분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 설계되었다. 이러한 ScoreML을 사용하여 작성한 인터넷 악보는 Java applet으로 구현된 ScoreML 브라우저에 의해 인터넷 상에서 곧바로 보여지게 된다.

  • PDF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크업 언어 표준 분석 및 설계 (Analysis and Design for User Interface Markup Language Standardization)

  • 김성한;이승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62-665
    • /
    • 2015
  • 본 논문은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 관련 표준화를 추진 중인 ISO/IEC/JTC1의 SC35 UI의 제스처 기반 UI 요소 및 요구사항 및 제스처 기반 UI 표준 프레임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GIML(Gesture-based Markup language) 마크업 언어 설계에 대해 제안 한다.

  • PDF

홈네트워크 시스템상에서 상황인식을 위한 HIML(Human Interaction Markup Language) 미들웨어 (HIML(Human Interaction Markup Language) Middleware for Context Awareness in Home Network)

  • 김준형;손민우;신동규;신동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B)
    • /
    • pp.38-43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발달하면서 홈네트워크 환경의 사용자 상황을 쉽게 인식하고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라 좀 더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게 되었다. 지능적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황 정보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상황 정보는 개체의 상황을 특성화 하는데 사용 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태 정보를 User context, Device context, Proximity(유저와 장치간의 거리) context로 분류하고, 그 상황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XML기반의 HIML(Human Interaction Markup Language)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HIML 문서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동하고, 여러 가전기기와 센서장비들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그 기능을 실험하였다.

  • PDF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마이크로 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a Implementation of WML(Wireless Markup Language) Micro Browser)

  • 장지산;최철웅;신화종;김상국;신동규;신동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067-1070
    • /
    • 2000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무선 인터넷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엄청나게 늘어난 무선 인터넷 이용자들의 컨텐츠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CP(Content Provider)들은 무선 장비에 맞게 설계된 WML(Wireless Markup Language)과 WMLScipt를 무선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와 비슷한 상황에서 컨텐츠(Content)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웹 컨텐츠를 좀 더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WML 마이크로 브라우저의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WML 마이크로 브라우저는 WML 파싱(parsing) 모듈과 브라우징(Browsing)모들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 측 WAP 스택으로 요청한 결과로 얻은 컨텐츠를 화면에 출력한다.

  • PDF

웹 페이지의 내재 규칙 습득 과정에서 규칙식별 역할에 대한 효과 분석 (Effect of Rule Identification in Acquiring Rules from Web Pages)

  • 강주영;이재규;박상언
    • 지능정보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3-151
    • /
    • 2005
  • 오늘날 자원의 보고라 할 수 있는 웹에는 자연어로 표현된 텍스트와 테이블들로 구성된 무수히 많은 문서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웹 문서들로부터 규칙을 습득하고 습득된 규칙과 웹 문서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확장형 규칙 표식 언어 (extensible Rule Markup Language, XRML) 체계를 개발하였다. XRML은 웹 페이지에 내재되어 있는 규칙을 식별하여 자동으로 정형화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규칙 식별 표식 언어 (Rule Identification Markup Language, XRML)와 구조화된 규칙 표현을 위한 규칙 구조 표식 언어 (Rule Structure Markup Language)로 구성된다. 특히, RIML은 HTML안에 내재되어 있는 규칙을 HTML 문서에 직접 명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RIML을 통해 웹페이지에 있는 규칙들을 식별하고 이 식별된 규칙은 RSML으로 표현된 정형화된 규칙으로 자동 변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RIML의 설계 시 웹페이지로부터 규칙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유되는 변수 (variables) 및 값 (values),생략된 어구 ,동의어와 같은 몇 가지 중요한 현상들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XRML 접근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고자, 3개의 대표적인 온라인 서점인 Amazon.com, BarnesandNoble.com, Powells.com의 실제 웹페이지들로부터 배송 및 환불과 관련된 규칙을 습득하여 XRML의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웹페이지로부터 규칙은 $97.7\%$의 매우 높은 정확성을 가지고 습득되었으며, 생성된 규칙의 완전성은 $88.5\%$로 측정되어, XRML이 특정 주제에 관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웹페이지로부터 규칙을 추출할 때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이 예시되었다.

  • PDF

From Tombstones to Corpora: TSML for Research on Language, Culture, Identity and Gender Differences

  • Streiter, Oliver;Voltmer, Leonhard;Goudin, Yoan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450-458
    • /
    • 2007
  • Tombstone inscriptions represent a linguistic genre which yields insights in culture and language. Creating corpora from tombstones is thus a complementary approach for the study of languages and cultures. For the annotation of tombstone corpora, we propose TSML, the Tombstone-Markup-Language, developed during the massive annotation of Taiwanese tombstones and a number of tombstones from China, Indonesia and Europe. We discuss our conceptual framework in the annotation of tombstones and derive successively and present preliminary research data to show how the usefulness of the annotations. Finally, we will encourage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the specification of TSML to obtain soon an annotation language for annotations across cultures and langu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