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r Density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9초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V. 황해산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의 지질성분의 변화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V.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in the Yellow Sea)

  • 최진호;김동우;박청길;김재일;양동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1-607
    • /
    • 1997
  •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 설정의 기초연구의 일환으로서 오염이 심각한 서해산 (황해) 도다리 (Pleuronichthys conutus)의 혈액의 지질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액중의 헤모글로빈의 함량은 동해안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 대비 $15\~30\%$의 현저한 감소현상이 나타나서 서해안의 내해 (內海) 뿐만 아니라 외해 (外海)의 오염도 상당히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중성지질 (TG)의 함량도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TG의 함량 대비 $15\~50\%$나 유의적으로 높았다. 서해안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중의 총콜레스테롤의 함량 대비 아산과 서산은 $20\~25\%$나 높았지만, 격포나 보령은 차이가 없었다.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혈청 중의 LDL-콜레스테롤의 함량도 각각 $15\~35\%$나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의 증가는 거의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동맥 경화지수는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동맥경화지수 대비 각각 $10\~60\%$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질병이나 노화와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인지질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함량비 (T-Chol/PL ratio)는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T-Chol/PL비가 포항의 자연산 도다리의 T-Chol/PL비와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서해안의 자연산 도다리의 오염도 서해안의 넙치와 마찬가지로 병적상태로 오염의 정도가 상당히 심각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은 서해안의 수질환경이 공장폐수 및 육상오수의 유입, 그리고 농약 등의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유향성 황색계 호접란 육성 및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Breeding of Fragrant Yellow Phalaenopsis and Scent Pattern Analysis by GC/SAW Electronic Nose System)

  • 빈철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56-663
    • /
    • 2010
  • 노란색 유향성 호접란을 육성하기 위해 황화계 육종모본들을 이용하여 5종류의 교배조합이 작성되었으나 $Phal.$ Brother lawrence를 종자친으로 $Phal.$ Brother saragold를 화분친으로 한 교잡에서만 정상적인 교배와 꼬투리 형성 및 종자발아가 이루어졌다. 잡종후대로 약 500개체가 실생 조직배양을 통해 육성되어 온실에 심어졌으며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위주로 60여 우수개체가 1차 선발 되었고 다시 생육속도, 병충해저항성 등을 검정한 2차 선발에서 15계통이 육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향기가 비교적 강하고 꽃 수명이 길어 시장에서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6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이들 유향종들과 이들 교잡종들의 양친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분석이 이루어졌다. 전자코로 꽃 향기를 분석한 후 GC chromatogram peak와 이 피크를 이용한 Polar derivative diagram을 작성 비교한 결과 양친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peak가 나타났다. 양친과 비교하여 잡종후대의 선발계통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즉 8s 근처에서 하나의 강한 피크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친에서 나타났던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2개의 피크는 교잡후대 중 4개의 계통에서 이 피크가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2개의 계통에서는 오히려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VaporPrint^{TM}$ 이미지 분석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향기패턴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한 결과 더욱 명확하게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는데 마찬가지로 교잡양친과 교잡후대계통 모두에서 retention time 8s 근처에서 강한 peak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성분은 노란색 유향종에서 주로 강하게 발현되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피크는 향후 노란색 유향성 개체의 교잡선발 육종에 유용한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만 쥐(ob/ob mouse)의 간 세포막과 핵에 있는 $T_{3}$ 수용체의 결합능력에 관한 연구 (Liver Plasma Membrane and Nuclear $T_{3}$ Receptor Binding in the Obese (ob/ob) Mouse)

  • 김경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356-365
    • /
    • 1991
  • 유전에 의해 비만증을 타고나는 비만쥐 (ob/ob mouse)의 간으로 부터 유리된 세포막과 핵의 $L-triiodothyronine(T_3)$ 결합 능력이 그들과 한 배에서 태어난 정상 체중의 쥐들의 것들과 비교되었다. 세포막이 hypotonic 용액과 discontinuous sucrose density를 사용하여 원심분리기로 분리되었으며, 세포 각 부분의 marker enzyme들의 activity로 세포막의 순도가 측정되었다. 핵은 $Triton{\times}100$를 사용하여 윈심분리기로 얻어졌다. $T_3$ 수용체의 Bmax(최대결합용량)와 Kd(dissociation constant)가 세포막 혹은 핵을 여러 농도의 $^{125}I-T_3$와 함께 일정시간 incubation 시킨 후, 그 binding이 reverse Scatchard analysis에 의하여 계산하여 얻어졌다. 모든 실험과정은 비만쥐와 정상쥐에 대하여 평행으로 진행되었다. 간 핵의 $T_3$ 수용체의 최대결함용량은 비만쥐가 정상 체증의 쥐 보다 유의적으로 적었으나(p<0.001), $T_3$에 대한 친화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이전의 보고들의 결과를 확인해 주는 것이다. 세포막에 있는 $T_3$ 수용체의 최대결합 능력과 친화력은 비만쥐와 정상쥐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비만쥐의 세포막에 있는 $T_3$수용체의 기능에는 결함이 없음을 나타내며, 비만쥐의 말초조직에서 손상된 갑상선 홀몬의 작용은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한 이후에 일어나는 과정에 원인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핵에 있는 $T_3$수용체의 결함이 비만쥐 (ob/ob mouse)의 비만증의 근본적인 원인일 수 있다는 제안을 뒷받침하여 주고 있다.

  • PDF

Aged garlic extract enhances exercise-mediated improvement of metabolic parameter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Seo, Dae Yun;Lee, SungRyul;Figueroa, Arturo;Kwak, Yi Sub;Kim, Nari;Rhee, Byoung Doo;Ko, Kyung Soo;Bang, Hyun Seok;Baek, Yeong Ho;Han, 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6호
    • /
    • pp.513-519
    • /
    • 2012
  • Aged garlic extract (AGE) is known to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immune system, endothelial functi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exercise with and without aged garlic extract administration on body weight, lipid profil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xidative stress marker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rats. Forty-fiv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either a HFD (HFD, n = 40) or a normal diet (ND, n = 5) for 6 weeks and thereafter randomized into ND (n = 5), HFD (n = 10), HFD with AGE (n = 10), HFD with Exercise (n = 10), or HFD with Exercise+AGE (n = 10) for 4 weeks. AGE groups were administered at a dose of 2.86 g/kg body weight, orally. Exercise consisted of running 15-60 min 5 days/week with gradually increasing intensity. AGE (P<0.01), Exercise, and Exercise+AGE (P<0.001) attenuated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compared to HFD. Visceral fat and liver weight gain were attenuated (P<0.05) with all three interventions with a greater effect on visceral fat in the Exercise+AGE than AGE (P<0.001). In reducing visceral fat (P<0.001), epididymal fat (P<0.01) and liver weight (P<0.001), Exercise+AGE was effective, but exercise showed a stronger suppressive effect than AGE. Exercise+AGE showed further additive effects on reducing visceral fat and liver weight (P<0.001). AGE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increase in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mpared with HFD (P<0.05). Exercise+AGE attenuated the increase in triglycerides compared with HFD (P<0.05).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decrease in C-reactive protein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alone have anti-obesity, cholesterol lower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but the combined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weight gain and triglycerides levels than either intervention alone.

심장 침습을 동반한 현저한 파골세포 모양의 거대세포로 구성된 원발성 폐평활 근육종 1예 (A Case of Primary Leiomyosarcoma with Prominent Osteoclast-like Giant Cell of Lung with Cardiac Invasion)

  • 송기룡;조용선;신성균;전호석;현우진;이양덕;한민수;노지영;김경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78-283
    • /
    • 2004
  • 원발성 폐평활근육종은 아주 드문 종양으로 대부분 전이된 예로 나타난다. 저자들은 좌폐상엽과 하엽에 연하여 발생한 종괴와 좌심방과 좌심실에 전이된 소견을 보이는 종괴를 관찰후 진단적 개흉술을 통한 조직검사로 진단하고 전이여부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 결과 현저한 파골세포 모양의 거대세포로 구성된 원발성 폐평활근육종의 심장내 전이로 진단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J01이 OP9세포에서의 지방 분화와 P-407로 유발한 고지혈증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Herbal Preparation HJ01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OP9 Cells and the Poloxamer-407 Induced Hyperlipidemia in Mice)

  • 박정은;한상용;최은식;정명수;김윤경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9-110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erbal preparation HJ01 consisting of Salicornia herbacea,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Crataegi Fructus and Glycyrrhizae Radix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OP9 cells and on poloxamer 407(P-407)-induced hyperlipidemia in mice. Methods : 1.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cytotoxicity of Salicornia herbacea,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Crataegi Fructus, Glycyrrhizae Radix and HJ01, respectively. 2. Bone-marrow derived OP9 cells were treated with HJ01, and the alterations in fat storage in the cells were determined by the Oil red O assay. 3. The protein level of CA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C/EBP{\alpha}$), as a adipocyte differentiation marker, was examin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in differentiated OP6 cells. 4. Adult male C57BL6 mice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P407 to induce hyperlipidemia, simultaneously, were treated with HJ01 for 4 weeks. Then the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an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levels in sera and liver tissues were measured. Results : 1. The MTT assay exhibited that Salicornia herbacea,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Crataegi Fructus, Glycyrrhizae Radix and HJ01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in tested dosages. 2. Ten days' treatment with HJ01 markedly inhibited the increases in fat storage in differentiated OP6 cells. 3. Four weeks' treatment with HJ01 down-regulated the protein level of CA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C/EBP{\alpha}$) but up-regulated the levels of adiponectin in differentiated OP9 cells. 5. HJ01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TC and TG in liver tissues and increased serum levels of TC in hyperlipidemic mi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J01 can in vitro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fat storage in OP6 cells, in vivo improve the hyperlipidemia induced by P-407 in mice, which may be mediated by promoting glucose uptake and improving a lipid metabolite profile.

사과원에서 피복식물이 토양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Plants on Soil Biota: A Study in an Apple Orchard)

  • 어진우;강석범;박기춘;한경숙;이영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7-292
    • /
    • 2010
  • 사과원 토양의 지속적인 생산성을 위해 토양생물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복식물 재배에 따른 미생물 PLFA 및 미소동물의 개체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복식물은 두과식물인 호밀, 귀리, 들묵새와 두과식물인 자운영, 레드클로버, 크림슨클로버, 헤어리배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청경구에 비하여 피복식물을 재배하였을 때 미생물 PLFA 수치 및 미소동물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청경구보다는 피복식물로 토양을 관리하는 것이 토양생물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 PLFA 수치에서는 피복식물간 차이가 적었지만, 화본과식물 중에서는 들묵새와 두과식물 중에서는 자운영이 토양의 미소절족동물의 개체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적절한 피복식물 선정을 통한 효과적인 유기물분해와 안정적인 양분공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악성 종양 표지자가 상승된 만성 흉수를 동반한 종격동 기형종 1예 (A Case of Mediastinal Teratoma Associated with Elevated Tumor Marker in Chronic Empyema)

  • 엄수정;양두경;이수걸;손춘희;노미숙;김기남;이기남;최필조;방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2호
    • /
    • pp.127-131
    • /
    • 2009
  • 기형종은 주로 전 종격동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 무증상이며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드물게 기형종이 파열하여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합병증은 급성 증상을 동반한다. 저자들은 급성 증상없이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 기형종 파열 1예를 경험 하였다. 환자는 왼쪽 폐에 다량의 흉수가 있었는데 배액관 삽입으로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흉수의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및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이 증가되어서 악성 흉수를 동반하는 종양과 구별이 어려웠다. 본 증례는 이차 감염에 의한 농흉을 치료하기 위해 흉강경으로 확인하기 전까지는 확진이 어려웠고, 매우 높은 흉수 내 악성 종양 표지자 수치를 보인 증례가 국내에는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유사 증례의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 Whole Genome Association Study on Meat Quality Traits Using High Density SNP Chips in a Cross between Korean Native Pig and Landrace

  • Lee, K.T.;Lee, Y.M.;Alam, M.;Choi, B.H.;Park, M.R.;Kim, K.S.;Kim, T.H.;Kim, Jong-J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529-1539
    • /
    • 2012
  • A whole genome association (WGA) study was performed to detect significant polymorphisms for meat quality traits in an $F_2$ cross population (N = 478) that were generated with Korean native pig sires and Landrace dams i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ongwhan, Korea. The animals were genotyped using Illumina porcine 60k SNP beadchips, in which a set of 46,865 SNPs were available for the WGA analyses on ten carcass quality traits; live weight, crude protein, crude lipids, crude ash, water holding capacity, drip loss, shear force, CIE L, CIE a and CIE b. Phenotypes were regressed on additive and dominance effects for each SNP using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after adjusting for sex, sire and slaughter stage as fixed effects. With the significant SNPs for each trait (p<0.001), a stepwise regression procedure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best set of SNPs with the additive and/or dominance effects. A total of 106 SNPs, or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ere detected, and about 32 to 66%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was explained by the significant SNPs for each trait. The QTL were identified in most porcine chromosomes (SSCs), in which majority of the QTL were detected in SSCs 1, 2, 12, 13, 14 and 16. Several QTL clusters were identified on SSCs 12, 16 and 17, and a cluster of QTL influencing crude protein, crude lipid, drip loss, shear force, CIE a and CIE b were located between 20 and 29 Mb of SSC12. A pleiotropic QTL for drip loss, CIE L and CIE b was also detected on SSC16. These QTL need to be validated in commercial pig populations for genetic improvement in meat quality via marker-assisted selection.

Genomic partitioning of growth traits using a high-densit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rray in Hanwoo (Korean cattle)

  • Park, Mi Na;Seo, Dongwon;Chung, Ki-Yong;Lee, Soo-Hyun;Chung, Yoon-Ji;Lee, Hyo-Jun;Lee, Jun-Heon;Park, Byoungho;Choi, Tae-Jeong;Lee, Seung-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558-1565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number of loci affecting growth traits and the distribu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effects on growth traits, and to understand the genetic architecture for growth traits in Hanwoo (Korean cattle) using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genomic partitioning, and hierarchical Bayesian mixture models. Methods: GWAS: A single-marker regression-based mixed model was used to test the association between SNPs and causal variants. A genotype relationship matrix was fitted as a random effect in this linear mixed model to correct the genetic structure of a sire family. Genomic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and BayesR: A priori information included setting the fixed additive genetic variance to a pre-specified value; the first mixture component was set to zero, the second to 0.0001×σ2g, the third 0.001×σ2g, and the fourth to 0.01×σ2g. BayesR fixed a priori information was not more than 1% of the genetic variance for each of the SNPs affecting the mixed distribution. Results: The GWAS revealed common genomic regions of 2 Mb on bovine chromosome 14 (BTA14) and 3 had a moderate effect that may contain causal variants for body weight at 6, 12, 18, and 24 months. This genomic region explained approximately 10% of the variance against total additive genetic variance and body weight heritability at 12, 18, and 24 months. BayesR identified the exact genomic region containing causal SNPs on BTA14, 3, and 22. However, the genetic variance explained by each chromosome or SNP was estimated to be very small compared to the total additive genetic variance. Causal SNPs for growth trait on BTA14 explained only 0.04% to 0.5% of the genetic variance Conclusion: Segregating mutations have a moderate effect on BTA14, 3, and 19; many other loci with small effects on growth traits at different ages were also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