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time Safety Audit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및 기술기준 소개 (Introduction to Maritime Safety Audit(MSA) and it's Guidelines)

  • 조익순;이상진;김인철;황의선;임광태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9-84
    • /
    • 2009
  • 최근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가 지속되면서 기존 선박 통항로가 협소해졌을 뿐 아니라, 해상교통시스템 개선 및 최적화, 해상구조물 설치, 항만 정비사업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시설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의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국토해양부에서는 항해민감시설이 선박의 안전항해에 미치는 정도를 전문기관에 의해 사전평가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해양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해상교통안전지단제도를 법제화하여 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힐 목적으로 진단제도의 개념 및 필요성 등에 대해 소개하고, 국내외 유사진단제도를 분석하여 향후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진단제도의 과학적 표준적 시행을 위하여 현재 진행중인 진단제도 기술기준 연구에 대해서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IWRAP and the ES Model in Ulsan Waterway

  • Kim, Dae-Won;Park, Jin-Soo;Park, Young-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1-287
    • /
    • 2011
  • According to the Marine Traffic Safety Law, revised in 2009, Marine Traffic Safety Audit is introduced to secure the safe navigation, to prevent the marine accident an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port. In this audit system, marine traffic safety assessment is the most important scheme because the primary purpose of the audit system is to identify potential risk elements affecting safe navigation. Even though the reliability of audit result depends on the selection of assessment models, there are no independent assessment models for Korean coastal waters and most of models used in Korea currently are developed by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independent assessment model for Korean coastal water is required. This study, prior to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assessment model, aims to provide a basic data by comparing two foreign assessment models in Ulsan port area with marine accident statistics data.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상의 스코핑제도 도입방안 연구 (The study on Introducing Scoping System in Maritime Safety Audit)

  • 김부영;조익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4-365
    • /
    • 2012
  • 진단서의 질적 향상을 통한 안전진단제도의 효율적 운영이 필요한 상황으로, 해상교통안전진단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안전진단제도에서도 스코핑 제도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다만,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제도 및 외국의 스코핑 운영실태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에 적합한 시스템 도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운영현황과 향후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Maritime Safety Audit)

  • 조익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05
    • /
    • 2011
  • 최근 선박의 고속화, 대형화와 더불어 국가경제발전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해상횡단교량, 항만건설 및 해상풍력단지 등 사회기반 시설의 확충사업을 적극 추진중이다. 국토해양부에서는 이렇게 선박통항로에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의 설치 보수공사 등이 선박의 안전항행에 미치는 정도를 사전에 평가하여 잠재적 위험요인을 미연에 제거하기 위해 해상교통안전법 개정을 통해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를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도입 및 운영을 통해 도출된 약 2년간의 성과와 문제점의 고찰을 통해 제도개선 및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진단대상사업 및 진단항목 결정 등의 객관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스크리닝 및 스코핑 도입 검토 및 안전진단제도를 국토해양부 중심의 협의형 제도에서 벗어나 사업계획 지원형 제도로 발전할 수 있도록 관련법령 개정 등 정책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진단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유도하고, 제도관련 하위법령 개정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 Study on Improvement of Criteria for Mooring Safety Assessment in Single Point Mooring

  • Lee, Sang-Won;Kim, Young-Du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7-297
    • /
    • 2019
  • The recent increase in crude oil trading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workings of SPM for crude oil carriers. VLCCs generally encounter difficulty entering port due to limitations in terms of sea depth and maneuverability. The SPM is a system that allows mooring to the buoy located in the outer sea for such vessels. However, the buoy is more affected by relatively external forces because of their of shore location. Therefore, the safety assessment of SPM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it can lead to large oil pollution disasters in the event of SPM accidents. Despite thi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ine Traffic Safety Audit Scheme in Korea, there exists no guidance for SPM. In this study, a SPM mooring safety assessment is performed using OPTIMOOR, a numerical analysis program, so as to understand the mooring characteristics of SPM.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tension of mooring lines and hull movement in the SPM are greatly affected by the encounter angles with external force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tension of the mooring line is elevated as the water depth becomes shallower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According to SPM characteristics, which has a large influence on the encounter angle, this study has proposed an amendment to setting criteria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 Scheme which could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mooring safety assessments.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문기관의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y of Specialized Institution for Efficient Operations of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 Scheme)

  • 김영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24
    • /
    • 2015
  •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가 도입(2009.11)된 후 운영 중 나타난 제도상 운영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을 반영하고, 제도의 효율성제고 및 종합 관리를 위해 해상교통안전진단시행지침 전부개정(2012.3)을 통해 선박안전기술공단내 해사안전연구센터가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개정된 관련 해사안전법령에는 안전진단서 사전검토, 진단대상사업에 대한 검토 의견 제시 등 유사 국내 평가제도에서의 전문기관과 비교하면 역할과 업무가 명확하지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SWOT분석을 통해 전문기관 발전을 위한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처분기관, 사업자, 안전진단대행업자 등 관련 전문가 의견수렴 및 국내 유사 평가제도의 전문기관의 역할 및 운영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진단제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진단사업에 대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도록 스크린 스코핑, 컨설턴트 시스템 도입을 위한 전문기관의 조직 구성과 운영체제 개선과 진단관련 주체들의 책임과 역할을 명확화하기위해 해사안전법 개정 등 전문기관의 발전과 해양개발사업에 대한 통합관리를 위한 제도상 운영상의 개선사항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국제해사기구 회원국감사(IMSAS) 주요 결과분석 및 종합 전략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jor Results of the IMO Member State Audit Scheme (IMSAS) and the Comprehensive Strategic Plan)

  • 박혜리;박한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2-243
    • /
    • 2019
  • IMO는 2005년 자발적 회원국 감사제도(VIMSAS)를 도입하여 총 67개 회원국에 대한 감사를 시행하였으며, 2016년 강제화(IMSAS) 하였다. 현재 174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매년 25개국씩 협약이행 의무에 대한 감사를 7년 주기로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20년 7월 수감 받을 예정이다. 이에 2020년 우리나라 감사에 대비하여 회원국 감사 지적사항을 최소화하고, IMO 협약 이행 및 시행에 대한 모범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철저한 사전대비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6년 강제화 된 IMSAS 감사결과를 대상으로 주요 발견사항 및 관찰사항을 분석하고, 타 회원국 감사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감사 종합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Validation of Statistical Analysis-based Aberrancy Probability Using Marine Simulations

  • Kim, Sung-Cheol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2-338
    • /
    • 2018
  • To perform the Maritime Safety Audi Scheme, $10^{-4}$ was constantly applied without adjustment when evaluating the proximity of the fairway.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different aberrancy probabilities from the different proximity of the fairwa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ute and the size of the ship was validated using marine simulations. Marin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statistical analysis-based aberrancy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hapes of routes and ship siz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s results, the validity of the criterion of the statistical analysis-based aberrancy probability was confirmed by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based aberrancy probabilities.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aberrancy probabilities by the types of a vessel could be different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vessels. The results motivate that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find the reasonable criteria of the aberrancy probabilities for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udit according to the fairway shape and the size of the vessel.

Analysis of the IMO's Role for Safe Maritime Transport System

  • Kim, Inchul;An, Kwang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6-273
    • /
    • 2015
  • Keeping in mind that there are only limited soci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resources for reducing marine casualties, the result of statistical survey showed the loopholes of safe maritime transport system, and rendered that most casualties occurred in coastal waters by human errors. When the IMO Marine Casualty Investigation Code was utilized to reveal any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international measures, IMO was required to expand its roles to enhance the interface between Liveware and Environment of SHEL model. So, several risk assessment models were studied and found that Maritime Safety Audit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could be a good example of enhancing safe interface between navigators (Liveware) and the navigational circumstances (Environment). It could be dealt with at IMO level as a tool for applying at human error enforcing waters. International cooperative research for upgrading risk assessment modes should also be future terms of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