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clay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4초

준설점성토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Dredged Clay)

  • 김승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연약지반처리위원회 학술세미나
    • /
    • pp.23-35
    • /
    • 1999
  • Although the purpose of dredging in the past was merely as a means of lowering the water level, presently land reclamation from dredged fill is of greater interest. From an economical standpoint, due to the difficulties in acquiring landfill for coastal projects,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 simply using easily obtainable marine clay for use as fill. But because the ground formed by dredged fill has but low strength and is accompanied by large settlements, it is important that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be fully investigated. In order to use dredged Masan marine clays as fill material,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 PDF

여천 임해공업단지 매립 계획 및 설계 (Reclamation Plan and Design for The Yeochon Industrial Complex)

  • 한경석;신승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2년도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86
    • /
    • 1992
  • The elevation of reclamation work in the coastal area for the industrial complex is determ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review of marine conditions, drainage plan and fill materials. The embankment to be constructed with crushed stone on the soft soil should be safe against the wave force, immediate and long 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overturning and sliding due to self-weight and other forces. Because of lack of fill material from the borrow pit, the soft marine clay to be dredged shall be used as the reclamation material. And Paper Drain Board is used as the improvement method for the deep soft clay strata.

  • PDF

황해 표층퇴적물의 점토광물 분포; 절대광물조성과 상대광물조성 (Clay Mineral Distribution in the Yellow Sea Surface Sediments: Absolute Mineral Composition and Relative Mineral Composition)

  • 문동혁;이희일;신동혁;신경훈;조현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9-295
    • /
    • 2008
  • 해양퇴적물 전체 시료 내에 존재하는 각 점토광물의 함량비(전대광물조성)와 점토광물들만을 100%로 환산했을 때 각 점토광물의 함량비(상대광물조성)를 구한 후, 지도에 도시하여 그 분포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시료는 한국해양연구원의 2001년 황해 2차 탐사에서 채취된 86개 표층 퇴적물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정량X선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구하였다. 황해 표층 퇴적물은 주구성광물(석영 평균 44.7%, 사장석 15.9%, 알카리장석 13.9%. 각섬석 2.8%), 점토광물(일라이트 15.3%, 녹니석 2.6%, 카올리나이트 1%), 탄산염광물(방해석 1.7%, 아라고나이트 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들은 대체로 황해의 가장자리에 적은 분포를 보이고 산동반도 남동쪽에서 제주도 남서쪽을 연결하는 해역에서 높았으며, 세립질 퇴적물의 분포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점토광물들의 합을 100으로 가정하고 구한 점토광물의 평균 상대광물조성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가 각각 80.3%, 14.9%, 4.8%이다. 점토광물들의 상대광물조성을 이용하여 나타낸 분포 양상은 절대광물 조성을 이용하여 구한 그것과 많은 차이를 보이며, 점토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세립질 퇴적물의 분포경향과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점토광물들만을 대상으로 상대광물조성을 구하여 퇴적물 근원지 해석 등에 이용할 때에는 상당히 신중을 기한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식김의 광합성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부이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Silt and Clay on the Rate of Photosynthesis of laver, Porphyra yezoensis)

  • 장선덕;진평;박기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5-340
    • /
    • 1983
  • 양식 김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해수중의 현탁부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 김의 광합성률은 실험수온 $8{\sim}16^{\circ}C$까지는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18^{\circ}C$에서는 감소되었다. 2. 실험염분 $21.5{\sim}33.5\%0$ 범위에서, 김의 광합성률은 $29.5\%0$에서 다소 증가하였고 $21.5\%0$에서는 감소하였다. 3. 김의 광합성률은 부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 처리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4. 김의 광합성률에 미치는 염분과 부니의 복합영향을 보면, 저염분영향이 큰 $21.5\%0$에서 부니의 영향이 컸고, $33.5\%0$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김의 생체량은 부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또 처리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해성점토를 이용한 시멘트 혼합토의 배합조건 및 재령일별 강도 예측 (Strength Prediction of Mixing Condition and Curing Time Using Cement-Admixed Marine Clay)

  • 전제성;박민철;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2호
    • /
    • pp.45-56
    • /
    • 2013
  • 기존 연구를 통해 혼합토 강도예측에 있어 Abrams 방정식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점토 함수비와 시멘트 함유율의 비는 강도를 결정짓는 가장 주요한 인자임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토 실내시험을 통해 점토 함수비-시멘트 함유율 및 재령일에 대한 일축압축강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각 배합조건별 Abrams 방정식 상의 계수값 변화 및 재령일에 대한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특정 상수값으로 고려되었던 B 계수는 재령일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서, 최종적인 혼합토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재령일에 따른 변수형태의 고려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Abrams 방정식을 통해 $w_c/C$, 재령일을 변수로한 일축압축강도의 조건별 상호 관계식을 구성하였으며, 각 계수별 회귀분석 결과는 특정 배합조건에서의 혼합토 강도값을 이용한 임의 조건에서의 강도예측에 적용될 수 있었다.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des 구제효율에 미치는 황토의 광물학적 특징 (Effects of Yellow Clay Contents on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박영태;박호섭;박태규;안경호;손문호;김평중;박맹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662-1672
    • /
    • 2016
  • To address physicochemical factors of yellow clay for remov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the correlation of removal efficiency with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 clay collected from various areas was surveyed. Yellow clay from different localities showed the wide range of chemical compositions $SiO_2$ : 43~71%, $Al_2O_3$ : 13~26%, $Fe_2O_3$ : 5~14%, MgO : 0.4~1.8%, $K_2O$ : 0.6~3.3%, L.O.I.(Loss of Ignition) : 4.5~15%. The mineral compositions of yellow clay were mainly consisted of quartz and feldspar including small amounts of kaolinite, chlorite, and Fe-oxides. The result of size analysis showed that $6{\Phi}(31{\sim}16{\mu}m)$ and $7{\Phi}(16{\sim}8{\mu}m)$ were dominated sizes. The zeta-potential were in the range of -4.1~-20.7mV(average -13.7). As increasing removal efficiency of C. polykrikoides, contents of $Al_2O_3$, $Fe_2O_3$ and L.O.I. in yellow clay increased, whereas $SiO_2$ content decreased. Furthermore, the amounts of silt mineral and small particle were high when the removal efficiency was high.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wo components of factor 1 and factor 2 showed 79% of the total variance, which is related to cohesion and adsorption. Inducing cell lysis of C. polykrikoides by cohension and adsorption between C. polykrikoides and yellow clay.

해성점토지반에서 CPT를 이용한 응력이력(OCR, $\sigma$를 p)의 산정 (Profiling Stress History(OCR, $\sigma를$p) of Marine Clay Using Piezocone Penetration Test)

  • 이강운;윤길림;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3-81
    • /
    • 2002
  • 국내 남해안 해성점토 지반의 응력이력(stress history)에 대하여 피조콘 관입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과 사례 연구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경험식과 피조콘 관입시험으로 산정한 선행압밀응력과 과압밀비는 이론적, 경험적 상관관계를 찾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기준값은 실내 표준압밀시험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표준압밀시험에서 나타난 조사 지반의 응력이력 상태는 전체적으로 해수면 아래 표층 l0m까지는 과압밀된 상태였으나, 표층 l0m 아래 깊이에서는 과압밀비(OCR)가 0.3까지도 존재하여 전반적으로 지층상태는 불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응력이력에서 선행압밀하중의 결정은 Chen과 Mayne(1996)의 경험방법과 Konrad와 Law(1987)의 이론공식을 사용하였다. 산정결과, Chen과 Mayne(1996)의 경험공식중에서 간극수압을 이용한 예측방법이 가장 신뢰성이 높았다. 그리고 과압밀비도 Chen과 Mayne(1996)의 경험식이 가장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하지만 Mayne과 Holtz(1988), 그리고 Mayne과 Bachus(1988)방법은 각각 OCR이 1.0이하인 미압밀 지반에서 좋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피조콘 관입시험으로부터 지반의 응력이력을 산정하는 다양한 방법은 대부분 지반조건과 위치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다르므로 지역과 현장특성을 반영한 적합식을 개발하여 지반 설계에 활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준설매립지반의 장기압밀 특성 (Long-term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 이충호;김주현;백원진;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486-493
    • /
    • 2008
  • Consolidation settlements on marine dredged clays are often greatly and potentially damaging to structures. Currently, large-scale projects are in planning or progressing in Korea. These projects has been performed on thick and soft clay layers. So, the evaluation of long-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is very important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long-term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dredged clays are investigated. First, the relationship of $C_{\alpha}/C_c$ on marine dredged clays near Gwang-yang Port was evaluated. Second, long-term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preconsolidated ground were evaluated.

  • PDF

경기해안 준설매립 해성점토의 토질정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Soil Parameters of Dredged and Reclaimed Marine Clay in Gyeonggi Coast)

  • 안수영;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35권
    • /
    • pp.81-88
    • /
    • 2015
  • The single regression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ssion index with mechanical properties for reclaimed marine clays in the Gyeonggi coast of Korea. As results of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for 62 samples about reclaimed marine clays in the Gyeonggi coast of Korea, linear regression lines between compression index and natural water content, void ratio in situ, and liquid limit respectively were obtained. The changed properties of reclaimed soil due to disturbance during dredging and reclaiming could be investigated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empirical correlation equations for the original ground where dredging was performed.

  • PDF

남극 사우스셰틀란드 해양퇴적물내 스멕타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기원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Smectite in the Marine Sediment around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 정기영;윤호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32
    • /
    • 2002
  • Mineral composition and chemistry of the clay minerals in the three cores from the continental shelves of South Shetland Islands (NCS09) and Anberse Island (GC98-2), and from the fjord of King George Island (A10-01) were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and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in search of the distributions and origin of the clay minerals in the Antarctic marine sediments. Smectite content is relatively high in NCS09 regardless of core depths (av. 8.3%), but low in GC98-2 (1.1%). In Al0-01, smectite content is higher in the upper section than in the lower section. Kaolinite was not detected from all the cores in this study Yellow to yellowish green clay granules were commonly scattered in the sediments of NCS09 cores. The clays contain 16.97% and 2.53% $Fe_2$$O_3$$K_2$O. Average structural formula of the clay indicates ferrian beidellite . The (Fe, K)-rich smectite of NSC09 must have been derived from relatively young basaltic volcanics altered by reaction with seawater near Shetland Islands by glacial erosion or eolian process related to volcanic eruption. GC98-2 nearer to Antarctic continent is very low in smectite content. In A10-01, the lower diamicton was deposited from the glacial erosion of smectite-free ancient volcanics in the interior of King George Island, while the upper section was derived from the smectite-bearing terrestrial debris and eolian materials after retreat of glaciers in Marian Cove and ice cover in Barton Peninsula. Thehigh K contents of smectites suggest the interstratification of illite and smectite layers, which might be observed by future TEM lattice fringe im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