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Fungu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4초

An Acetophenone Derivative, Clavatol, and a Benzodiazepine Alkaloid, Circumdatin A,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Cladosporium

  • Yang, Guohua;Nenkep, Viviane N.;Siwe, Xavier N.;Leutou, Alain S.;Feng, Zhile;Zhang, Dahai;Choi, Hong-Dae;Kang, Jung-Sook;Son, Byeng-Wh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130-133
    • /
    • 2009
  • The crude extract of the mycelium of Cladosporium was found to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nd multidrug-resistant S. aureus.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an organic extract led to the isolation of an acetophenone derivative, clavatol (2',4'-dihydroxy-3',5'-dimethylacetophenone) (1), and a benzodiazepine alkaloid, circumdatin A (2). Compound 1 showed moderat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and multidrug-resistant S. aureus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of 62.5, 62.5, 31.0 $\mu$g/mL, respectively, but compound 2 was inactive. Compounds 1 and 2 exhibited UV-A protection activity with ED$_{50}$ values of 227.0 and 82.0 $\mu$M,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y were more potent than the positive control, oxybenzone (ED$_{50}$ 350 $\mu$M), a common sunscreen agent.

Ascophyllum and Its Symbionts. VII. Three-way Interactions Among Ascophyllum nodosum (Phaeophyceae), Mycophycias ascophylli (Ascomycetes) and Vertebrata lanosa (Rhodophyta)

  • Garbary, David J.;Deckert, Ron J.;Hubbard, Charlene B.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53-361
    • /
    • 2005
  • Ascophyllum nodosum (L.) Le Jolis has a systemic infection with the ascomycete Mycophycias ascophylli (Cotton) Kohlmeyer and Volkmann-Kohlmeyer with which it establishese a mutualistic symbiosis. In addition, A. nodosum is the host for the obligate red algal epiphyte, Vertebrata lanosa (L.) Christensen.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 describe morphological and cytochemical changes occurring as a consequence of rhizoid penetration of V. lanosa into cortical host tissue. Rhizoids induce localized cell necrosis based on physical damage during rhizoid penetration. Host cells adjacent to the rhizoid selectively undergo a hypersensitive reaction in which they become darkly pigmented and become foci for hyphal development.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show that M. ascophylli forms dense hyphal aggregations on the surface of the V. lanosa rhizoid and extensive endophytic hyphal growths in the rhizoid wall. This is the first morphological evide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M. ascophylli and V. lanosa. We speculate that M. ascophylli may be interacting with V. lanosa to limit tissue damage to their shared host. In addition, the fungus provides a potential pathway for the transfer of materials (e.g., nutrients and photosynthate) between the two phototrophs.

Ralstonia pickettii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leurotus eryngii

  • Purnomo, Adi Setyo;Maulianawati, Diana;Kamei, Ichir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24-1433
    • /
    • 2019
  • DDT is a hydrophobic organic pollutant, which can be bio-accumulated in nature and have adverse consequences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humans and anim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te-rot fungus Pleurotus eryngii and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Ralstonia pickettii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DDT. The effects of R. pickettii on fungal development were examined using in vitro confrontation assay on a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R. pickettii culture was added to the P. eryngii culture at 1, 3, 5, 7, and 10 ml ($1ml{\approx}1.44{\times}10^{13}CFU$). After 7 d incubation, about 43% of the initial DDT ($12.5{\mu}M$) was degraded by the P. eryngii culture only. The augmentation of 7 ml of R. pickettii culture revealed a more highly optimized synergism with DDT degradation being approximately 78% and the ratio of optimization 1.06. According to the confrontational assay, R. pickettii promoted the growth of P. eryngii towards the bacterial colony, with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bacterial cells and mycelium (0.71 cm/day). DDD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ane), DDE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and DDMU (1-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were identified as metabolic products, indicating that the R. pickettii could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 eryngii.

Aspergillus fumigatus-derived demethoxyfumitremorgin C inhibits proliferation of PC3 human prostate cancer cells through p53/p21-dependent G1 arrest and apoptosis induction

  • Kim, Young-Sang;Park, Sun J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21
  • Human prostate cancer is the second most frequently diagnosed cancer worldwide, and its incidence rate continues to increase. Advanced prostate cancer is more difficult to treat than early forms due to its chemotherapy resistance. There is need for more effective agents that can inhibit the progression of advanced prostate cancer. Demethoxyfumitremorgin C (DMFTC) was isolated from the fermentation extract of the marine fungus Aspergillus fumigatu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DMFTC against human prostate cancer PC3 cells was examined through cell cycle analysis by flow cytometry, the fluorescent nuclear imaging analysis with propidium iodide (PI), and proteins expression related to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were investigated via Western blotting. DMFTC inhibited PC3 cells growth through G1 phas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duction. It activated the tumor suppressor p53 and the Cdk inhibitor p21, which regulate the cell progression into the G1 phase. Additionally, PI-positive late apoptotic non-viable cells were increased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G1-positive downstream regulators cyclin D, cyclin E, Cdk2, and Cdk4 were decreased by DMFTC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MFTC induces G1 arrest and apoptosis induction through regulation of p53/p21-dependent cyclin-Cdk complexes, and it may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human advanced prostate cancer.

복령(Poria cocos) 균사체 발효쌀의 첨가가 된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Fermented using Poria cocos (a Wood-decay Fungus) Mycelium on Fermentation of Doenjang (Soybean Paste))

  • 권오준;김미애;김태완;김대곤;손동화;이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25
    • /
    • 2011
  • 본 연구는 복령 균사체 발효 쌀의 첨가가 된장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복령 균사체 발효쌀을 이용한 된장을 시판하기 위해서는 15%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90일 동안 숙성시킨 된장의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1,889.17 mg%로 분석되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복령 균사체 발효 쌀의 필수아미노산은 7종이 분석되었으며, 일반 쌀과 비교했을 때 lysin,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및 phenylalanine 등의 필수아미노산 성분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령 균사체 발효 쌀을 첨가한 된장의 비타민 함량을 조사한 결과 비타민A는 7.47 RE, 비타민 D는 0.45 mg, 비타민 E는 5.73 mg이 검출되었으며, 대조구에서는 이들 비타민이 검출되지 않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복령균사체 첨가 된장의 전자공여능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에 있어 각각 73.8%와 76%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며, 복령균사체 발효 쌀을 에탄올 추출한 실험구가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환경 스트레스 조건에 따른 화경버섯 균사의 생물발광 변화 (Changes in Bioluminescence of Omphalotus japonicus Mycelia under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 박미정;이효림;유림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1-388
    • /
    • 2020
  • 생물발광은 생물체 내에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에 촉매되는 루시페린(luciferin)의 산화 반응에 의해 나타난다. 생물발광은 균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 종에서 나타남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약 80여 종의 균류에서 생물발광이 관찰됨이 보고 되었다. 화경버섯(Omphalotus japonicus)은 한국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생물발광버섯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경버섯 균사의 생물발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체 배지에서 자란 화경버섯 균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중심부에 비해 높은 발광이 관찰되었다. 또한 균사 표면에 상처를 내자 해당 부위에서 강한 생물발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생물발광의 증가는 처리 후 3시간에 최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극단적인 온도 스트레스에 의한 생물 발광의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부 자극에 의한 상처 스트레스와 달리 고온이나 저온 스트레스에 의해 균사의 생물 발광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나는 생물발광 변화의 생리학적 및 생태학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모의수출조건에서 유황패드와 MAP 복합처리가 '캠벨얼리' 포도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ation treatment with sulfur dioxide generating pad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quality of 'Campbell Early'grape under simulated export conditions)

  • 최미희;이진수;임병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4-745
    • /
    • 2017
  • 장기 해상운송 시 포도과실의 신선도 유지 및 수입국에서의 유통기간 연장을 통한 수출국 다변화 및 수출경쟁력 향상을 위해, 모의수출조건 및 실제 수출 시 유황패드와 MA포장 복합처리에 따른 포도과실의 선도유지 효과를 검토하였다. 캠벨얼리 포도는 경기도 화성지역에서 재배되었으며 2016년 8월 말에 수확하여, 예냉은 $0^{\circ}C$, 선별 및 포장은 $10^{\circ}C$에서 실시하였고 $0^{\circ}C$에 30일간 저장하였다. 시험처리는 관행 수출포장(대조구), 유황패드처리, 유황패드+MA 복합처리의 3가지로 하였다. 모의수출 조건인 $0^{\circ}C$, 30일 저장 시 포도상자 내부의 온도와 상대습도는 처리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했으나 각각 $0.6-2^{\circ}C$, 94-100%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무처리와 유황패드 단독처리의 경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경도의 감소, 과경의 갈변, brush 길이의 감소, 탈립률의 증가 등에서 유황패드+MA 복합처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유황패드+MA 복합처리의 경우 MA포장에 의한 선도유지 효과와 더불어 PE필름으로 인해 저장 30일 후에도 포장 내부에 2.9 ppm 정도의 $SO_2$ 농도가 유지되면서 장기 저장 및 운송 시 포도의 품질을 가장 잘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15^{\circ}C$, 7일 저장의 모의유통조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확 후 11일간의 해상운송을 거쳐 미국 현지 소매점에 유통될 때까지 30일이 소요된 대미수출 포도의 경우에도 모의수출 조건에서 수행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미국 현지에서 품질 조사 수행 결과, 유황패드+MA 복합처리에서만 4.0 ppm의 $SO_2$가 측정되었으며 신선도 유지를 통한 상품성 보존이나 현지에서의 유통기한 연장 효과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장기 해상운송에 의한 캠벨얼리 포도 수출 시 유황패드+MA 복합처리는 상품성 및 유통기간 연장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