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Contents

검색결과 1,229건 처리시간 0.026초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I. 소화율, 배설 및 체조성 변화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I.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7
    • /
    • 1996
  •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160일 동안 사육하면서 사육 후 60일 및 120일째에는 대두박 사료의 소화율, 암모니아의 배설 경향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 및 상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상품용 무지개송어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소화율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지만, 지질 소화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지개송어의 전어체 및 조직(간 및 근육)의 일반 성분에서 대두박 함량이 많은 공급구일수록 지질 함량이 적었으나 전어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인 암모니아($NH_3-N$)의 배설량을 섭이 후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더니, 배설은 주로 후반 12시간에 많아 총 배설량의 2/3 이상이나 되었고, 24시간의 총 배설량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대두박함량 $70\%$ 공급구가 $466.8\;mg{\cdot}kg\;body\;wt.^{-1}day^{\-1}$으로 대조구의 $115\%$ 수준이었다. 이상과 같이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에너지원 중에서 지질의 이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듯 하였다.

  • PDF

가막만 해역에 방류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패턴과 어체성분 변화 (Initial Feeding Habit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leased into the Gamak Bay)

  • 지승철;이시우;유진형;김양수;정관식;명정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0-95
    • /
    • 2007
  • 전라남도 여수시 가막만에 방류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 그리고 체성분 변화에 대해 1개월간 추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류 감성돔은 방류 후 1일째부터 먹이섭취가 이루어졌으며, 포식율은 조사기간 동안 80% 이상을 보였다. 먹이조성은 방류 후 15일째까지 낚시미끼와 가두리에서의 사료 유출물 등 인공먹이를 주로 섭취하였으나, 그 후 20일 이후부터 자연먹이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방류 후 5일 그리고 10일째의 A 정점(SA) 방류 감성돔의 전어체 조지방 함량이 방류전, B 정점(SB) 그리고 양식어(CUL)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방류 30일째의 전어체의 n-3 HUFA 조성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방류어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가막만에 방류된 감성돔은 빠른 먹이섭취가 이루어졌으며,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은 어체성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어기 넙치 사육을 위한 배합사료 및 습사료의 효과 비교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s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for Growth of Sub-Adult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강용진;이종윤;남명모;김강웅;장미순;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2-106
    • /
    • 2008
  • 본 연구는 미성어기 넙치 사육용으로 부상배합사료를 제조하여 습사료와 그 효능을 비교함으로써 넙치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초 평균체중 594g의 실험어를 6개의 15톤 수조에 150마리씩 사료별 2반복으로 수용하여, 실험 부상배합사료 2종류와 습사료를 1일 2회 만복으로 공급하며 32주간 사육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의 평균수온은 $13.2{\pm}4.0^{\circ}C$였다. 생존율은 실험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종체중은 MP 실험구가 EP1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EP2 보다는 높았다. 사료효율은 MP 실험구가 EP 실험구보다 낮았으며, 사료섭취율은 MP가 EP 실험구보다 높았다. 실험어의 비만도는 모든 실험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사육실험 종료 후, 실험어 등근육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지질 함량은 실험사료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 사용된 EP의 사료조성은 미성어기에서 상품크기의 넙치 사육을 위한 MP 대체 배합사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생선비늘의 유효이용을 위한 성분분석 (Analysis of Composition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Fish Scales)

  • 전유진;김용태;김세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89-597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산가공율의 증가에 따라 부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수산부산물 내지는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어류의 비늘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고 아울러 해산어와 담수어 유래의 비늘 사이에 서식환경에 따른 함유성분의 차이가 있는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해산어와 담수어의 두 어종간에 있어서 함유하고 있는 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이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함량의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숭어비늘의 일반성분 함량은 회분과 단백질이 거의 50%로 같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는데 반하여 잉어비늘에서는 회분이 약 20% 그리고 단백질이 약 80%로서 단백질의 함량이 회분보다 약 4배 가량 높았다. 비늘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그 아미노산 조성 및 전기영동패턴에 의해 콜라겐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비늘 콜라겐의 $\alpha$1 a 및 $\alpha$2 사슬의 전기이동패턴은 대조구로 사용된 소껍질의 Type I 콜라겐의 그것들과 거의 똑같은 것으로 보아 비늘 콜라겐도 Type I으로 추측되었다. 그리고 숭어비늘의 경우에는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단백질이 콜라겐인데 비하여 잉어비늘은 전체 단백질 중 약 53%만을 차지하고 있었다. 비늘로부터 추출한 조회분에 대한 원소분석 및 X-ray 회절분석에서는 그 주성분 hydroxyapatite로 확인되었으며, 시료간의 차이는 전혀 없이 거의 완전하게 일치하였다.

  • PDF

Effect of Applying Molasses and Propionic Acid on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Total Mixed Ration Silage Prepared with Whole-plant Corn in Tibet

  • Chen, Lei;Guo, Gang;Yuan, Xianjun;Shimojo, Masataka;Yu, Chengqun;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349-356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lasses and propionic acid on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total mixed ration (TMR) silages prepared with whole-plant corn in Tibet. TMR (354 g/kg DM) was ensiled with four different treatments: no additive (control), molasses (M), propionic acid (P), and molasses+propionic acid (PM), in laboratory silos (250 mL) and fermented for 45 d. Silos were opened and silages were subjected to an aerobic stability test for 12 days, in which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arameters of TMR silages were measured to determined the aerobic deterioration. After 45 d of ensiling, the four TMR silages were of good quality with low pH value and ammonia/total N (AN), and high lactic acid (LA) content and V-scores. M silage showed the highest (p<0.05) LA content and higher dry matter (DM) recovery than the control and P silages. P silage had lower (p<0.05) LA content than the control silage. During aerobic exposure, lactic acid contents decreased gradually in the control and M silages, while that of P and PM silages increased, and the peak values were observed after 9 d. M silage had similar yeast counts with the control silage (> $10^5$ cfu/g FM), however, it appeared to be more stable as indicated by a delayed pH value increase. P and PM silages showed fewer yeasts (< $10^5$ cfu/g FM) (p<0.05) and were more stable than the control and M silages during aerobic exposure. It was concluded that M application increased LA content and improved aerobic stability of TMR silage prepared with whole-plant corn in Tibet. P application inhibited lactic acid production during ensiling, and apparently preserved available sugars which stimulated large increases in lactic acid during aerobic exposure stage, which resulted in greater aerobic stability of TMR silage.

양식, 방류 및 자연산 감성돔 1년어의 소화기관 및 체성분 비교 (Comparison of Digestive Organ and Body Composition among the Cultured, Wild and Released Fish, 1-Year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지승철;유진형;정관식;명정구;이시우;고현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62-468
    • /
    • 2004
  • In order to evaluate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n released fish, digestive organ and body composition were compared among 1-year old cultured (CUL), released (REL) and wild (WIL)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Hepatosomatic index (HSI) of the R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UL and WIL fish, but intestine weight index (IWI) of R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UL and WIL fis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omach weight index (SWI) and condition facto. (CF) among those different fish groups. The number of pyloric caeca of the REL and WIL fish were 4, but the $30{\%}$ of CUL fish was 3 counts. The moisture content of whole body in the WIL fis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UL and REL fish, but significant lowest in the crude lipid of whole body. The content of moisture and crude protein of dorsal muscl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L, REL and WIL fish, but crude lipid content of WIL fis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UL and REL fish. Moisture content of CUL fish in the liv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L and WIL fish, and crude lipid was significant lowest in the WIL fish. Amino acid content of dorsal muscle in the WIL fish was highest in the total amino acid, EAA and E/A ratio, and CUL fish was highest EAA and E/A ratio in liver. EPA content in dorsal muscle of WIL fish was lower than CUL and REL fish, and the REL fish was highest in DHA content of the fatty acid. EPA content in liver of WIL fish was lower than CUL and REL fish, and DHA content in REL and WIL fish was highest and lowest. Crude protein content of CUL and WIL fish in the 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EL fish,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of crude lipid and ash. Ca and P of scale were formed most of mineral and content of P in CUL fis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REL and WIL fis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g, K, Na and S of scale, but CUL fis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REL fish in C1. Th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ce of digestive organs and body composition concluded it from differences of inhabitation environment and feed formulations.

어분 종류 및 소맥분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Fish Meal and Wheat Flour Content in Extruded Pellet on the Growth and Apparent Digestibility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김동규;정재훈;김강웅;손맹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2-236
    • /
    • 2011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fish meal and wheat flour contents in extruded pellets on the growth and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ur extruded pellets (HB1, HB1T, HB2 and HB2T) were prepared using two kinds of high quality brown fish meal and low quality tuna fish meal. Two diets (HB1 and HB2) contained two different kinds of brown fish meal, respectively; in HB1T and HB2T, we substituted 50 % of the brown fish meal with 10 % wheat flour.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initial body weight of 82 g) were fed the experimental pellets to visual satiation for 15 weeks. The high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fish fed HB1, and weight gain of fish fed HB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HB2T (P<0.05). Feeding efficiency for fish fed HB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HB1T and HB2T (P<0.05),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ish fed HB2. Apparent dry matter digestibility in HB1 and HB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HB1T and HB2T (P<0.05). The highest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observed in HB1, and protein digestibility in HB1T and HB2 was higher than in HB2T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sh meal quality considerably affects grow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olive flounder fed extruded pellets, and the use of HB1 is recommended over HB1T, HB2 and HB2T for efficient olive flounder production.

김치에서 분리한 Lactococcus lactis W-44에 의한 감귤발효물의 양식 넙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Fermented by Lactococcus lactis W-44 Isolated from Kimchi on Growth of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민수;문상욱;이영돈;김세재;김영진;이준원;이정희;이정숙;김보연;안종석;안순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4-129
    • /
    • 2007
  • 젖산균을 접종하여 감귤 분쇄액을 발효시켜 얻은 감귤발효물의 어류양식 사료 첨가제로의 가능성을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양식에서 검토하였다. 김치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젖산균 W-44를 분리한 후 16S rDNA 염기서열 분식을 통하여 Lactococcus lactis W-44로 동정하였다. L. lactis W-44를 이용하여 감귤 분쇄액 발효를 수행한 결과, 생리활성이 우수한 무배당체 flavonoids인 naringenin, hesperitin의 함량이 각각 약 10과 6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L. lactis W-44를 이용하여 발효된 감귤발효액을 양식넙치의 사료첨가제로 투여한 결과, 감귤발효액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구의 평균 전장 및 체중 증가율과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0.2% (v/v)의 감귤발효액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넙치의 성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젖산균의 감귤발효산물을 넙치 양식에서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고지도의 연구 동향과 과제 (Progress and Prospect of Research on Old Maps in Korea)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20
    • /
    • 2007
  •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이후 우리나라 고지도 연구 동향을 시기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주제를 대상으로 연구 쟁점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초기 연구는 "대동여지도"를 중심으로 신비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나 1960년과 1970년대에 규장각 소장 자료가 공개되면서 연구 지평은 크게 확대되었다. 1980년대 들어 목록집이 완성되고 군현지도책이 소개되었다. "대동여지도"에 대한 도법뿐만 아니라 지리지와의 관계가 연구되었으며 지역을 단위로 하는 정리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0년대 이후 전통지리사상, 경관의 복원, 영토 문제, 장소의 의미가 중요시되면서 새롭게 접근되기 시작하였다. 지방에서는 지역 정체성 회복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도록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논문과 저서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각 기관에 소장된 자료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계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흐름 속에서 (1) "천하도"의 제작 기원 (2) 방안식 군현지도 (3) 필사본 "대동여지도"를 중심으로 논쟁이 형성되었다. 고지도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1) 각 기관에 소장된 자료들이 동일한 서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세 목록집의 간행 (2) 소장 기관간의 교류 사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류 협의체의 설립이 요구된다. (3) 또한 연구 인력이 매우 부족한 현실로 볼 때, 학계와 소장 기관간의 원활한 교류뿐만 아니라 학계 내에서도 학문간 경계를 넘는 소통과 협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사료 지질 및 한방제 첨가가 돌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ipid Level and Herb Mixture on Growth of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종현;이상민;백재민;조재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3-119
    • /
    • 2003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id level and herb mixture in the diets on growth of juvenil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Two plicate groups of fish averaging 4.5 g were fed four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herb mixture (0 and 5 g/kg diet) at each of two lipid levels $(8\%\;and\;16\%)$ for 8 months from summer to spring (water temperature, $7.2-25.4^{\circ}C)$. Weight gain improved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 or supplementation of herb mixture during the first 4 months feeding period. Weight gain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6\%$ lipid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8\%$ lipid level. Weight gain of fish fed the diet with herb mix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without herb at the $16\%$ lipid level. Feed efficiency was influenced by dietary lipid level or herb mixture during the first 4 months. On the other hand,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 level and herb mixture after 4 months until end of feeing period. Survival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8\%$ lipid without supplementation of herb mixture was the lowest among the groups (P<0.05). Lipid contents of liver and viscera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 during the first 4 months feeding period, however muscle lipid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dietary lipid and herb. Total cholesterol of serum was influenced by dietary lipid level during the first 4 months feeding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 increase of dietary lipid level from $8\%\;to\;16\%$ and supplementation of herb mixture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parrot fish when water temperature is optimum for growth such as the summer seas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