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al excis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요골 신경 마비를 유발한 활액막 연골종 (Synovial Chondroma Causing Radial Nerve Palsy)

  • 전영수;김준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59
    • /
    • 2007
  • 활액막 연골종은 관절의 활액막에서 결체조직의 화생에 의해 연골 조직이 형성되는 질환이며 드물게 건초, 활액낭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외상, 감염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관절 연골을 구성하던 연골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활액막내로 흡수되어 연골성 화생을 일으킨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주로 슬관절에 발생하며 그 외 견관절, 주관절, 고관절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5세 남자가 약 6개월 간의 우측 주관절 동통, 주관절 구축 및 우측 제1수지와 완관절의 신전 장애 및 감각 저하를 주소로 내원 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주관절의 관절 간격이 좁아져 있었고 관절면의 가장 자리에 골극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연골하골은 경화소견이 관찰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상 요골두 직하방 전외측에 약 $16{\times}12$ mm 크기의 원형의 종양이 관찰되었으며, T1 강조 영상에서 균질의 저신호 강도,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와 저신호 강도가 혼재되어 있었다.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소견상 종양에 의해 요골신경이 압박되어있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절제한 종양은 조직소견상 활액막 연골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Full-Thickness Skin Grafting with De-Epithelization of the Wound Margin for Finger Defects with Bone or Tendon Exposure

  • Lee, Jun Hee;Burm, Jin Sik;Kang, Sang Yoon;Yang, Won Y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34-340
    • /
    • 2015
  • Background Full-thickness skin grafts (FTSGs) are generally considered unreliable for coverage of full-thickness finger defects with bone or tendon exposure, and there are few clinical reports of its use in this context. However, animal studies have shown that an FTSG can survive over an avascular area ranging up to 12 mm in diameter. In our experience, the width of the exposed bones or tendons in full-thickness finger defects is <7 mm. Therefore, we covered the bone- or tendon-exposed defects of 16 fingers of 10 patients with FTSGs. Methods The surgical objectives were healthy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in the wound bed, marginal de-epithelization of the normal skin surrounding the defect, preservation of the subdermal plexus of the central graft, and partial excision of the dermis along the graft margin. The donor site was the mastoid for small defects and the groin for large defects. Results Most of the grafts (15 of 16 fingers) survived without significant surgical complications and achieved satisfactory functional and aesthetic results. Minor complications included partial graft loss in one patient, a minimal extension deformity in two patients, a depression deformity in one patient, and mild hyperpigmentation in four patients. Conclusions We observed excellent graft survival with this method with no additional surgical injury of the normal finger, satisfactory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s, and no need for secondary debulking procedures. Potential disadvantages include an insufficient volume of soft tissue and graft hyperpigmentation. Therefore, FTSGs may be an option for treatment of full-thickness finger defects with bone or tendon exposure.

연부 육종의 예후 인자 - 205례 분석 - (Prognostic Factors of Soft Tissue Sarcomas - analysis of 205 cases -)

  • 이종석;전대근;이수용;김석준;정동환;박현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7
    • /
    • 1997
  • Twenty hundred and five out of 266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Mar. 1985 to Jan. 1994,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survival and local recurrence. Fifty one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inadequate data and follow up.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One hundred and four cases were male, 101 female. Average age was 39.7(range 1 to 77) year with a peak incidence around 4th decade. The most frequent diagnosis was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24.1%). Liposarcoma, synovial sarcoma, rhabdomyosarcoma,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and fibrosarcoma were relatively common diagnostic entities, in decreasing order. In location, extremity was 179(87.3%) and trunk 26(12.7%).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7.5 years(6 months to 10 years). Actuarial 5 years and 10 years survival rate were 64.0% and 40.8%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with log-lank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 were noted in histopathological diagnosis, size(10 cm), stage and metastasis. Age, sex, tumor location, tumor depth and local recurrence didn't affect the survival rate. Adjuvant chemotherapy and/or radiotherapy did not affect overall survival rate, but lowered the local recurrence rate when compared with surgery only. Surgical margin did not affect the survival rate, but local recurrence rate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margin; 5.7% in more than wide; 39.5% in marginal; and 60.0% in intralesional excision.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with Cox's propotional model, metastasis was a meaningful factor for survival of soft tissue sarcoma.

  • PDF

주관절 부위에 발생한 Kimura씨 병 - 증례 보고 - (Kimura's Disease of the Elbow - A Case Report -)

  • 조철현;손승원;강철형;오건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89-93
    • /
    • 2009
  • 목적: Kimura씨 병은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드문 양성 림프 증식성 염증성 질환으로 외과적 절제술 후 비교적 높은 재발율을 보이며 전신적으로 신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주로 동양의 젊은 남자에서 두경부의 무통성 종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말초 부위의 발생은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경험한 증례는 상완골 내 상과 상부에 연갈색의 피부 변화와 경미한 소양증을 동반한 비압통성 종물을 주소로 내원한 28세 남자환자였다. 결과: 혈액 분석상 말초 혈액의 호산구 증가증 및 IgE의 증가 소견을 보였으며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T1 강조 영상에서 근육과 비교해 비슷한 신호 강도, T2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 강도를 보였다. 결론: 치료는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2년째 재발 소견은 없었다.

정중 상구순열의 수술적 교정 치험례 (Surgical Correction of a Median Cleft of the Upper Lip Associated with Enlarged Frenulum and Palatal Masses)

  • 한형민;김지예;민희준;김석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485-489
    • /
    • 2011
  • Purpose: Median cleft of upper lip is defined as any congenital vertical cleft through the midline of the upper lip. It is uncommon, its embryological pathogenesis remains unexplained to date. The authors hereby report a rare case of median cleft of the upper lip associated with enlarged frenulum and palatal mass. This case offers some understanding of the possible embryologic development of this anomaly. Methods: A 10-month-old boy born by normal vaginal delivery at full-term had a notch in the midline of the upper lip with widened philtrum along with enlarged median frenulum, alveolar cleft, and mass of the hard palate. We performed en bloc resection of the enlarged frenulum and palatal mass and cheiloplasty under general anesthesia. Results: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frenulum and palatal mass was consisted of fibrous tissue with normal mucous membrane.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satisfactory. Conclusion: A rare case of median cleft of the upper lip with associated enlarged frenulum and palatal mass was presented with proper surgical management. The surgical technique includes marginal excision of the clefted epithelium and reconstruction of orbicularis oris muscle, in addition to en bloc resection of the palatal mass and frenulotomy.

구강암으로 변연골 절제술 시행한 환자를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한 증례 (Clinical application of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o patient who underwent mandibular resection with oral cancer: A case report)

  • 윤영석;한동후;김형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5
    • /
    • 2016
  • 하악골의 결손은 선천적 기형, 외상, 골수염, 종양 절제술 등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데, 이중 결손부위가 큰 경우는 주로 종양절제술에 의한 결손이다. 악골 결손 부위가 커질수록 저작, 연하, 교합, 발음 등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심미적으로도 불량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 하악골이 절제된 후 그 자리에 완전히 재생되는 경우는 희박하며 인공적으로 재건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며, 통상적인 부분의치 혹은 총의치를 시행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골을 얻은 상태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 혹은 피개의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2004년 2월 25일, 편평세포암종 pT1N0M0, stage I로 진단 받고 구강악안면외과에서 동년 3월, 하악 좌측 부위 COMMANDO 수술(combined mandibulectomy and neck dissection operation), 광범위 절제술(wide excision), 하악골 변연절제술(marginal mandibulectomy), 견갑 설골 상부 경부청소술(supraomohyoid neck dissection, SOHND), 시행받은 환자를 하악 좌측 중절치,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하여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충분한 피개와 임플란트로의 적절한 교합력 분산을 통해 통상적인 국소의치보다 더 이로운 지지, 유지, 안정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경과 관찰 기간은 4년 정도 되었으며,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부위에는 주위골의 흡수양상이 관찰되어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재발된 골섬유종과 백악질골섬유종 (Recurrent ossifying and cemento-ossifying fibroma of the jaws;report of 2 cases)

  • 류선열;오희균;김건중;윤영수;최홍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297-308
    • /
    • 1989
  • 저자동은 약 1년전 모 병원에서 하악과 상악에 각기 안모변형과 골팽창을 동반한 병소에 대해 수술을 재발한 치주인대에서 기인한 양성 섬유골성 병소를 치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증례 1은 32세 남자의 우측 하악 골체부에서 술후 약 1년만에 재발된 백악질골섬유종이었고 증례 2는 72세 여자의 상악 전치부에서 술후 약 5개월만에 재발소견을 보인 골섬유종이었다. 2. 방사선학적 소견에서 증례 1은 방사선 투과상의 병소내에 방사선불투과상의 석회화 물질이 함유된 혼합기의 상태였고 증례 2는 비교적 불명확한 경계를 가졌으나 방사선 투명대에 의해 치밀한 방사선 불투과상의 병소가 둘러싸여 있는 성숙기의 상태였다. 3.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두 증례 모두 조골세포의 부연이나 규칙적인 골소주 구조 및 기절내 세포성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증례 1에서는 골성분외에 백악질소적과 같은 석회화물질이 관찰되었고 증례 2에서는 층판골만이 관찰되어 증례 1은 백악질골섬유종, 증례 2는 골섬유종의 특징을 지닌 양성 섬유 골성 병소였다. 4. 재발된 병소이므로 증례 1은 하악 우측 제 1소구치부터 우각부까지 하악골 절제술과 장골 및 하치조신경 이식술을, 증례 2는 정상 인접골을 포함한 종물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5. 술후 1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정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 검사결과 재발증상 없이 양호한 치유 경과를 보여주고 있다.

  • PDF

방골성 골육종의 임상결과 (Clinical Outcome of Parosteal Osteosarcoma)

  • 송원석;전대근;조완형;공창배;조상현;이광열;이수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27
    • /
    • 2013
  • 목적: 방골성 골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와 국소 재발 후의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명의 방골성 골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14개월(범위; 36-235개월)이었다. 22명 중 7명은 국소 재발 후에 전원 되었다. 병기는 17명에서 IB였고, 5명은 IIB (G2, 2명; 역분화, 3명)이었다. 종양의 위치는 대퇴골(11명), 기타 부위(11명)이었다. 최초 절제연은 광범위 절제연 10명, 변연 절제연 5명, 병소내 절제가 7명이었다. 여러 임상 및 병리인자와 국소 재발과의 연관성, 그리고 국소 재발 후의 임상 경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10년 생존율은 85.7%이었다. 3명(14%)에서 원격 전이를 보였고 이들은 모두 사망하였다. 9명(41%)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다. 종양의 위치, 절제 방법 및 절제연이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다. 국소 재발 후 수술 한 환자 9명 중 최종 추시 시 7명에서는 무병 상태였다. 결론: 방골성 골육종의 오진의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대퇴골 이외에 발생한 경우 오진이 많았다. 대부분의 재발성 종양에 대한 재 절제는 가능하나 공격적 성향을 보이며 재발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urvival outcomes after adjuvant radiotherapy for aggressive fibromatosis depend on time frame and nuclear β-catenin

  • Kim, Jae Sik;Kim, Hak Jae;Lee, Me-Yeon;Moon, Kyung Chul;Song, Seung Geun;Kim, Han-Soo;Han, Ilkyu;Kim, Il Ha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37-42
    • /
    • 2019
  • Purpose: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of aggressive fibromatosis (AF) after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RT) and assess correlations between immunohistochemistry (IHC) features of β-catenin/smooth muscle actin (SMA) and PFS. Materials and Methods: Records of 37 patients with AF treated by PORT from 1984 to 201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ifteen patients underwent wide excision for AF and 22 patients received debulking operation. The median total dose of PORT was 59.4 Gy. IHC staining results of β-catenin and SMA were available for 11 and 12 patients, re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05.9 months. Five-year PFS rate was 70.9%. Tumor size or margin status was not related to PFS in univariate analysis (p = 0.197 and p = 0.716,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interval from surgery to PORT (>5.7 weeks) was a marginal risk factor for PFS (p = 0.054). Administration of PORT at the initial diagnosis resulted in significantly improved PFS compared to deferring PORT after recurrence (p = 0.045). Patient with both risk factors of deferring PORT after recurrence and interval from surgery to PORT >5.7 weeks had significantly lower 5-year PFS than patients without risk factor (34.1% vs. 100.0%; p = 0.012). Nuclear β-catenin intensity tended to inversely correlate with 5-year PFS, although i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62.5% at low vs. 100.0% at high; p = 0.260). SMA intensity was not related to PFS (p = 0.700). Conclusion: PORT should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surgery irrespective of margin status or tumor size especially in recurrent case. Nuclear β-catenin staining intensity of IHC might correlate with local recurrence.

하악 상행지부에 발생한 치성각화낭의 시상 분할 골절단술을 이용한 치험례 (TREATMENT OF OKC ON RAMUS OF MANDIBLE BY SAGITTAL SPLITTING TECHNIQUE)

  • 송현우;류동목;김여갑;이백수;권용대;최병준;김영란;임진혁;이정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08-413
    • /
    • 2009
  • Odontogenic keratocyst (OKC) is a epithelial developmental cyst which were first described by Phillipsen in 1956. The frequency of OKC has been reported to vary from 3% to 11% of odontogenic cysts. The most characteristic clinical aspect of OKC is the high frequency of recurrence. The mechanism of recurrence is thought to be related to residues of cyst epithelium and an intrinsic growth potential following excision. And since the lining of the OKC is thin and friable, removal of the cyst in one piece may sometimes be difficult. Complete removal of the cyst lining without leaving behind remnants attached to the soft tissue or bone is necessary to avoid recurrence. Therapeutic approaches vary in different studies from marsupialization and enucleation, which may be combined with adjuvant therapy such as cryotherapy or Carnoy's solution, to marginal or radical resection. The recurrent rate varies from approximately 20% to 62%. And OKC in the angle-ramus region of the mandible had a higher tendency to recur,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accessing and removing OKC from the ramus. By employing a sagittal splitting of the mandible a good surgical access was provided and cyst could be removed completely. We present an illustrative case of a small, lobulated OKC that involved ramus on mandible, and a review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