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urrent ossifying and cemento-ossifying fibroma of the jaws;report of 2 cases

재발된 골섬유종과 백악질골섬유종

  • Ryu, Sun-Youl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Hee-Kyu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Geon-Jung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un, Young-Su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Hong-Ran (Dep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류선열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오희균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김건중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윤영수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최홍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89.06.30

Abstract

These are two case reports of recurrent ossifying and cemento-ossifying fibroma in a year or 5 months following conservative treatment. Ossifying fibroma or cemento-ossifying is a relatively uncommon benign fibro-osseous tumor of the jaws, and is generally believed to originate from periodontal ligaments. In recent, it is not demanded more differentiation of ossifying, cementifying and cemento-ossifying fibroma due to the thought that these lesions represent a spectrum of the same disease process rather than separate entities. The tumor commonly presents as an asymptomatic mass lesion and is usually well-circumscribed clinically so that conservative surgical excision has been the treatment of choice, but on occasion extended surgical procedures may become necessary, especially for those tumors which demonstrate rapid expansions and are poorly encapsulated (either initially or when recurrent) and when tumor growth is progressed aggressively or recurrent. En-bloc resection of mandible with iliac bone and inferior alveolar nerve graft was performed in case 1, recurrent cemento-ossifying fibroma of 32-year old male patient, and extended surgical enucleation of mass including normal marginal bone was done in case 2, recurrent ossifying fibroma of 72-year old female patient. By follow-up check of the patients, we obtained good result without any sings of recurrence.

저자동은 약 1년전 모 병원에서 하악과 상악에 각기 안모변형과 골팽창을 동반한 병소에 대해 수술을 재발한 치주인대에서 기인한 양성 섬유골성 병소를 치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증례 1은 32세 남자의 우측 하악 골체부에서 술후 약 1년만에 재발된 백악질골섬유종이었고 증례 2는 72세 여자의 상악 전치부에서 술후 약 5개월만에 재발소견을 보인 골섬유종이었다. 2. 방사선학적 소견에서 증례 1은 방사선 투과상의 병소내에 방사선불투과상의 석회화 물질이 함유된 혼합기의 상태였고 증례 2는 비교적 불명확한 경계를 가졌으나 방사선 투명대에 의해 치밀한 방사선 불투과상의 병소가 둘러싸여 있는 성숙기의 상태였다. 3.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두 증례 모두 조골세포의 부연이나 규칙적인 골소주 구조 및 기절내 세포성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증례 1에서는 골성분외에 백악질소적과 같은 석회화물질이 관찰되었고 증례 2에서는 층판골만이 관찰되어 증례 1은 백악질골섬유종, 증례 2는 골섬유종의 특징을 지닌 양성 섬유 골성 병소였다. 4. 재발된 병소이므로 증례 1은 하악 우측 제 1소구치부터 우각부까지 하악골 절제술과 장골 및 하치조신경 이식술을, 증례 2는 정상 인접골을 포함한 종물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5. 술후 1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정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 검사결과 재발증상 없이 양호한 치유 경과를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