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ginal Logi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소비자의 친환경감귤 소비실태와 감귤의 선호속성 분석 (An Analysis of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Mandarin and Attributes of Mandarin in Korea)

  • 고성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9-20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mandarin and attributes of mandarin in Korea. It is also to measure consumers' marginal willingness to pay by the attributes of mandarin and to estimate the market-share by products of mandarin from the data surveyed by a survey research company. The questionnaires for consumers were given randomly by interview to 500 married women lived in Seoul and to 200 wholesaler in Seoul, Busan, Daegu, Kwangju.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consumers' preference and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rational production and marketing policy of mandarin.

  • PDF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심해 유인잠수정 개발사업의 과학기술적 경제적 편익추정 (Measuring the Scientific Benefits from the Deep-sea Human-operated Vehicle Project: A Choice Experiment Study)

  • 진세준;임슬예;박세헌;유승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77-288
    • /
    • 2014
  •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project to develop a deep-sea human-operated vehicle (HOV) to improve the level of deep-sea research. Information on the scientific benefits from the project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come to a decision about whether to implement the project. This paper measures the conservation value of developing nine attributes associated with HOV by using the choice experiment (CE). A survey of about 356 experts was undertaken and 132 experts completely responded to the survey. To deal with the CE data from the survey, we employed a multinomial logit model. All the coefficient estimat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istent with prior expectations. Therefore, we can judge that the respondents' works required in the CE survey were within their cognitive abilities and they reported responsible and significant values. Each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or each attribute associated with the HOV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rovides good information on the scientific values with regard to developing the HOV. The results can be utilized in evaluating and planning several alternatives related to developing the HOV.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통근 교통수단 선택의 차별적 변화 (Differential Changes in Commuter's Mode Choice after the Intergrated Public Transit System in Seoul Metropolitan City)

  • 이혜승;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3-33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의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통근시에 교통수단선택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 통행목적, 출발지와 도착지의 공간적 특성에 따라 두 시점동안 통근 교통수단선택의 변화가 어떻게 차별화되어 나타났는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비교하였으며, 특정 통행수단에 대한 대체 통행수단의 한계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계층일수록 지하철 선택확율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도착지에서의 대중교통 접근도와 밀도가 높고 혼합용도 비율이 높을수록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 시 통행수단간의 대체 한계효과를 보면 자가용 승용차와 지하철간의 대체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교통수단선택의 변화에 미친 영향력은 상당히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있다.

선택형 실험을 이용한 신제품 멀티크림의 가치 분석 (An Analysis of the Value of New Product Multi Cream Using Choice Experiment)

  • 이상학;최세현;하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390-139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새로이 개발한 멀티크림의 속성별 가치를 추정하여 신제품의 가격을 책정하고 제품 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등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였으며, 조건부 로짓 모형을 추정하여 브랜드, 용기 형태, 기능성, 가격 등 각 속성별 한계지불의사금액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한계지불의사금액은 브랜드에 있어서는 대기업이 개당 21,754원, 중소기업이 11,033원, 대학은 16,178원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에 있어서 보습효과 강화는 7,476원, 주름개선효과 강화는 12,107원으로 추정되었다. 대학 브랜드가 중소기업 브랜드보다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대학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저가 브랜드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습효과나 주름개선효과 등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을 개발할 필요도 있다.

개인여객 효용의 극대화 및 운송특성공간상의 무차별곡선의 형태와 그 추정 (Utility Maximization, The Shapes of the Indifference Curve on the Characteristic Space and its Estimation: A Theoretical Approach)

  • 김종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8
    • /
    • 2009
  • 개인여객이 운송수단을 선택하여 얻는 효용은 시간, 비용 등의 운송특성과 소득 등 개인특성의 함수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송특성이 여객효용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송특성변수에 대해 선형인 효용함수를 전제로 한 무작위 효용모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여객의 효용극대화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운송수단선택행위가 소비, 여가, 소득창출 등 보다 본원적인 활동으로부터 파생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다시 말해, 개인의 본원적 활동에 따른 효용극대화 관점에서 운송수단선택에 따른 효용이 진정으로 선형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결론은 첫째, 본원적 활동에 따른 효용이 소비와 여가만의 함수일 때 선형가정은 운송시간의 일부구간에서 진실이다. 둘째, 만일 효용이 노동활동이나 운송시간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을 경우 운송특성에 따른 효용의 선형성은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송특성에 따른 효용의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선 선형이 아닌 보다 일반화된 함수에서의 근사가 요구된다.

An Economic Valua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A Choice Modeling Application to the Mekong Delta Project in Vietnam

  • KHAI, Huynh Viet;VAN, Nguyen Phi;DANH, Vo Tha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8호
    • /
    • pp.465-473
    • /
    • 2021
  • This study is the application of a choice experiment to assess Mekong Delta urban households' preferences and motivations for ecosystem conservation in the U Minh forest. The study applied a choice modeling approach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s of the proposed ecosystem conservation program in the U Minh forest by accessing urban consumer preferences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for the project. Discrete choice experimental data was collected from 450 residents in the cities of the Vietnamese Mekong Delta. The multinomial logit model was employed to identify consumer's stated preferences for the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attributes of the conservation project. The results showed that Mekong Delta urban residents paid much attention to the proposed project to protect and develop the U Minh fores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education, income, and knowledge of the U Minh forest revealed a higher likelihood of selecting the project, while the older residents would select the status quo more than the younger ones. The study also proved that the effect of participation had a strong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project. The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policymakers to take action to raise resident's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ay for the U Minh forest project.

주민참여형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한 국민 선호도 분석: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여 (Analyzing Public Preference for Community-Based Floating Photovoltaic Projects: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Approach)

  • 이혜리;우종률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121-132
    • /
    • 2022
  • The need for floating photovoltaic is being emphasized to expand renewable energy but low residents' acceptance is a major obstacle to the deployment of floating photovoltaic. Using the discrete choice experiment,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ences for community-based floating photovoltaic projects and proposed a method to increase the residents' acceptance of floating photovoltaic projects. The estimates of the marginal willingness to accept (MWTA) of the distance, the coverage ratio, the landscape, the project owner (public institution), and the project owner (large company) are -0.69%p/km, 0.13%p/%p, -0.57%p, -2.95%p, -1.73%p,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imulation analysis, the residents' acceptance i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project is operated by a public institution, with a choice probability of 58%, than when the project is operated by a private company, with a choice probability of 29%, 12% for a large and small company, respectivel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cted returns, the results show that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residence to the power plant, the higher the expected return.

분석대상 규모에 따른 수단분담모형의 추정과 적용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ode Choice Models According to Zone Sizes)

  • 김주영;이승재;김도경;전장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7-106
    • /
    • 2011
  • 수단선택모형은 신설중이거나 계획중인 새로운 교통수단의 수요를 추정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교통수요분석시 수단분담모형구축을 위해 지역별로 공통된 효용함수의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단선택 행태 예측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권역별 자료를 집계하여 공통된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수단선택모형으로 인한 수단전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집계모형(aggregate model)을 사용할 경우 분석권역에 따라 수단분담모형에서는 통행시간이나 통행비용에 대한 계수의 분포가 다름(분석권역별로 서로 다른 모집단 분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파라메타로 모집단을 설명하고자 할 경우 모집단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통행비용 및 통행시간과 같은 정책변수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수단선택 모형에 사용되는 로짓모형과 같이 비선형함수의 경우에 집합화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집합화에 의한 오차(aggregation error) 또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수단선택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단위별로 공통된 파라미터를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집합화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분석대상 규모(zone size)별 수단분담모형 파라미터값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6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각 분석단위(zone)의 수단별 파라미터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결과의 경우 파라미터값의 부호와 한계대체율에 의한 시간가치가 상식적으로 적정한지를 판단하고, 통계적으로 적합한지에 대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축된 모형의 실제 사례에 적용가능성을 보기 위하여 서울지하철 9호선의 개통 전 후를 비교하여 현실에서 관측된 수단분담율 변화와 모형상의 예측치를 비교하여 정확성 및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3세대 디바이스의 속성별 소비자 선호 분석 (Consumers' preference about the attributes of 3rd generation device)

  • 정재영;이주석;곽승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703-710
    • /
    • 2017
  • 3세대 디바이스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지능화된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단말기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기존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이 정체기에 접어들면서, 차세대 디바이스 시장을 이끌어 갈 3세대 디바이스 및 부품, 서비스 개발에 세계 각국이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세대 디바이스의 다양한 속성들에 대한 이용자 편익을 경제적 가치평가 방법론을 적용하여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가치평가법의 하나인 컨조인트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을 위해 3세대 디바이스의 속성을 사용방식, 전력효율성, 라이프케어, 가격의 4가지로 선정했다. 혼합로짓모형을 적용하여 개별 속성들에 대한 한계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으며,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응답자들은 사용방식 속성에서는 완전한 플렉서블 수준에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전력효율성에 측면에서도 진보된 충전기술에 양(+)의 지불의사를 보였다. 또한 응답자들은 3세대 디바이스가 제공할 일상의 생산성 관리 서비스인 라이프케어 속성의 개선에 대해서도 지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량적 결과와 시사점은 3세대 디바이스 시장을 위한 정책 및 제품, 서비스 전략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 꾸러미 속성별 소비자선호 분석 (An Analysis on Consumer Preference for Attributes of Agricultural Box Scheme)

  • 박재동;김태균;장우환;임청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29-3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꾸러미 속성별 소비자선호 분석을 통해 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꾸러미의 속성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품묶음 방식과 배송 방식 및 가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선택실험법에 의해 각 속성의 수준변화에 대한 한계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계량적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모형을 선택하기 위하여 잔차항에 대한 가정이 서로 다른 조건부로짓 모형, 이분산 극한치 모형, 다항프로빗 모형, 혼합로짓 모형 등 네 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상품묶음 방식과 배송 방식 및 가격에 대한 추정계수 값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그우도 값의 크기를 기준으로 볼 때 이분산 극한치 모형이 자료에 가장 적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분산 극한치 모형의 추정계수를 활용한 한계지불의사금액은 상품묶음 방식을 고정형에서 선택형으로 변경 할 경우 1회당 7,096.6원, 배송방식 중 직접배송에 대한 소비자의 한계지불의사금액은 1회당 3,497.5원, 콜드체인 배송에 대한 한계지불의사금액은 1회당 4,035.2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부의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