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p registr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1초

시그널링 비용의 최소화를 위한 MIPv6와 계층적 MIPv6의 적응적 선택 (Adaptive Selection of MIPv6 and Hierarchical MIPv6 for Minimizing Signaling Cost)

  • 김영현;문영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호
    • /
    • pp.103-110
    • /
    • 2006
  • 이동 IPv6(MIPv6)에서 이동 노드의 잦은 위치등록을 줄이기 위해, IETF는 MAP을 도입한 계층적 이동IPv6(MIPv6)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HMIPv6에서 이동 노드로 향하는 모든 트래픽은 MAP을 통해 전달돼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MAP에서의 패킷처리비용의 증가로 인해 불필요한 패킷지연을 초래한다. 이때, MAP의 패킷처리비용은 MAP 도메인 내의 이동 노드의 수와 패킷 수신율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MIPv6와 HMIPv6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네트워크의 시그널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MIPv6와 HMIPv6를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동 노드의 패킷 수신율은 일정하다고 가정한 후, MIPv6와 HMIPv6의 총비용을 비교하여 MAP이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이동 노드의 수를 구한다. 그리고 MAP이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노드가 가득 찬 상태일 경우, MAP 도메인으로 새로 들어온 이동 노드는 HMIPv6가 아닌 MIPv6로 연결성을 제공받는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은 MIPv6와 HMIPv6를 적응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서로의 단점이 해소됨을 보였다.

무인항공기 영상과 현장 조사를 통한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Farm Business Management Databas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Survey)

  • 박진기;박종화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21-2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cultivated crop database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survey over Daesso-myeon, Umsung-gun, Chungbuk. When comparing with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cadastral maps, Daeso-myeon crop field shows 29.8%(2,030 parcels out of 6,822 parcels) is either mismatched or missing. It covers almost 19.3%($3.4km^2$ of $17.6km^2$) of total farmlan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ultifaceted plan including cadastral ma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the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the field survey agreed only in 3,622 parcels in total 6,822 parcels whereas 3200 parcels disagree. Among these disagreed parcels 2,030(29.8%) have been confirmed as unregistered farm business entity. Accuracy of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agreed in 75.6% cases. Especially the paddy field registration is more accurate that other crops. These discrepancies can lead to false payment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For exploration and analysis of regional resources, UAV images can be used together with farm business management database and cadastral map to get a clearer grasp over on-site resources and conditions.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Construction of Eupseong (county se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전종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19-341
    • /
    • 2015
  • 조선시대의 읍성 취락은 중앙 정부가 지방의 각 고을에 계획적으로 건설한 행정 타운으로서 우리나라의 전통 도시를 대변한다. 읍성에는 객사, 동헌과 내아, 질청을 비롯한 다양한 행정 및 통치 시설들이 들어서 있었고 일반 백성들의 민가가 들어서 있는 경우도 많았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주요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지적원도(1913)에 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적 재현을 위한 복원 대상 시기를 설정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조선 읍성 경관의 완성기를 19세기 전반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 전국의 읍성 분포 및 주요 읍성 경관 요소의 전국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이 작업을 토대로,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사례로 읍성 경관 완성기의 읍성 내 주요 경관 요소와 그들의 위치, 전체적 공간 구성을 1910년대의 지적원도 위에 나타내 보았다.

  • PDF

대규모 국·공유지의 디지털 지적정리 방안 - 지적도면 정비를 중심으로 - (A Methodology for Digital Cadastre on Large National Estate - Focusing on Cadastral Map Revision -)

  • 이원희;강상구;정완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137-150
    • /
    • 2015
  • 전국적으로 지적도면을 디지털 지적정리(세계측지계 변환)를 하려는 움직임 가운데 그 대상 중 우선적으로 도로, 하천과 같은 대규모 국 공유지로 논의되고 있어 이에 대한 방법론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규모 국 공유지의 디지털 지적정리를 위한 지적도면 정비방안을 중심으로 유사사례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세계측지계로 변환하기 전에 미리 지적도면의 정비가 필요하다. 그 정비내용은 도형 및 속성오류의 정비와 현황조사를 통해 필요한 부분은 분할 및 현황측량을 실시하고 군소필지와 지목불일치 해소를 위한 지목변경 및 합병정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대규모 국 공유지의 디지털 지적정리에 세계측지계 변환만으로는 지적도면의 부실성은 해소되지 못하며 근본적으로 지적도면의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영상에서 다중 확률 아틀라스 기반 형상제한 그래프-컷을 사용한 신실질 자동 분할 (Automatic Segmentation of Renal Parenchyma using Graph-cuts with Shape Constraint based on Multi-probabilistic Atlas in Abdominal CT Images)

  • 이재선;홍헬렌;나군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1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복부 CT 영상에서 다중 확률 아틀라스 기반 형상제한 그래프-컷을 사용한 신실질 자동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신실질의 다양한 형상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피질기반 유사정합을 통한 다중 확률 아틀라스를 생성한다. 둘째, 최대사후확률 추정을 통해 그래프-컷의 초기 씨앗을 추출하고, 형상제한 그래프-컷을 통해 신실질을 분할한다. 셋째, 확률 아틀라스의 정합 오차를 줄이고 분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정합 및 분할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제안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정성적 평가 및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이 신실질과 유사한 밝기값을 갖는 주변 영역으로의 누출을 방지하여 개선된 분할 정확도를 보여준다.

신안 김환기고택의 건축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Alterations of Sinan Kim Hwan-gi's House)

  • 신웅주;최규웅;김현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1-18
    • /
    • 2018
  • Suhwa Kim Hwan-gi established his own unique world of art based on Korean-style lyricism with his sophisticated and sublimated formative language a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artist. He made his name known not only in Korea but New York and Paris, the center of contemporary art. Presently, there is almost no material left for us to examine how Kim Hwan-gi's house looked in the first place. But there is a painting that chef Kim Am-gi possesses where we can find the image of painter Kim Hwan-gi's house drawn by recalling the memories at home in a far-off land. With that, we can see it should be the original looks of that house. To examine the original looks of Kim Hwan-gi's house when it was built, this author studied the closure land registration map. By analyzing 29 land registration maps around Eupdong-ri of Gijwa-myeon in Muan-gun of Jeollanam-do produced in 1917 which National Archives of Korea possesses, this researcher could figure out the status of land registration around Kim Hwan-gi's house with No. 15 and 22 drawing boa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sidering aerial photographs after the emancipation tha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possesses,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arrangement of Kim Hwan-gi's house was changed from 1954 up to 2008. In 1954 aerophotos, we can see the main building and studio in Kim Hwan-gi's house and there was an additional structure between them. Kim Hwan-gi's house was built before 1925. The main building presently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and also the sarangchae arranged in the east and the studio, too, were built in the similar period.

ICP 기법을 이용한 MSS 및 UAV 간 점군 데이터 자동정합 (Automatic Registration of Point Cloud Data between MMS and UAV using ICP Method)

  • 김재학;이창민;김형준;이동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9-240
    • /
    • 2019
  • 건설, 의료, 컴퓨터 그래픽스, 도시공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3차원 공간모델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측량 및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최근 스마트시티, 정밀도로지도 구축 등과 같은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취득하기 위하여 MMS, UAV와 같은 관측기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두 자료를 통합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관측기술 적용 시 발생하는 원시자료 취득센서, 점군 자료생성 방식 및 관측정확도 간의 차이를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최적의 정합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3차원 모델의 자동정합에 사용되는 ICP(Iterative Closet Point) 기법을 통한 MMS와 UAV 점군 데이터 간 자동정합 성능을 판단하기 위하여, 여의도 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고 UAV 영상을 취득 후 점군 자료로 변환하였다. 그 후 대상지역을 총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MMS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UAV 점군 자료를 기반으로 각 구역에서 관측된 MMS 점군 자료와 수동정합하고 이를 ICP 기반으로 자동정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보다 엄밀하게 ICP 기반의 자동정합 성능을 판단하기 위하여 각 구역별로 데이터 중첩률, 노이즈 레벨 등의 변수를 다르게 하여 비교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ICP 기반의 자동정합 시 데이터 중첩률이 높고, 노이즈 레벨이 낮을수록 더 높은 정확도로 정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차원 거리정보와 DSM의 정사윤곽선 영상 정합을 이용한 무인이동로봇의 위치인식 (Localiz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based on Matching of Ortho-edge Images of 3D Range Data and DSM)

  • 박순용;최성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권1호
    • /
    • pp.43-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야지 환경에서 동작하는 무인이동로봇에서 획득한 3차원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정보와 로봇이 이동하는 지형의 3차원 DSM (Digital Surface Map)에서 정사윤곽선(Ortho-edge) 특징영상을 생성하고 정합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최근의 무인이동로봇의 위치 인식에 대한연구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LIDAR 등의 위치인식 센서를 융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LIDAR에서 획득한 거리정보를 ICP(Iterative Closest Point) 기반의 기하정합으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로봇에서 획득한 센서 정보는 DSM의 센싱 방향과 큰 차이차이가 있어 기존의 기하정합 기술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센싱 방향에서 획득한 3차원 LIDAR 거리정보와 DSM에서 정사윤곽선이라는 특징 영상을 생성하고 이들을 정합하여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한다. DSM으로부터 현재 시점의 정사윤곽선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전방향 LIDAR 거리센서에서 정사윤곽선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정사윤곽선 영상의 정합 기술을 설명하였다. 실험에서는 다양한 주행 경로에 대한 위치 추정의 오차를 분석하고 제안 기술의 성능의 우수성을 보였다.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농경지 지도 작성 및 토지이용 변화 분석 (Farmland Use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Images and Land Use Change Analysis)

  • 이경도;홍석영;김이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64-1172
    • /
    • 2012
  • 급격한 토지이용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인근의 고양시, 남양주시, 용인시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영상과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의 면적과 형상,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농경지 지도를 작성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비교한 결과 기존 수치지도에 비해 농경지의 이용 현황을 보다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농경지 지도와 수치 지적도의 농경지 부분을 중첩하여 '07년 토지이용도로 갱신하고 '99년에 작성된 토지이용도와 비교한 결과 3개 시 모두 조사기간 동안 논 면적이 3,000~5,000 ha 정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밭과 과수원도 논과 함께 주거지로 전용되면서 감소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집약적인 재배가 가능하여 고소득이 기대되고 다른 지목으로 변경이 용이한 시설재배지의 경우에는 면적이 비슷하거나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한 농경지 지도의 확대 구축과 이를 활용한 토지이용도 제작은 토양 조사 등 각종 조사 사업의 최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한 경지면적 산출을 통해 농업통계 및 농업정책 자료로써 효율적인 경지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세기 초 원마산(原馬山) 도시공간의 복원적 연구 -1912년을 기준으로- (A Reconstructive Study on the Urban Structure of the Original Masan Early in the 20th Century)

  • 허정도;이규성
    • 건축역사연구
    • /
    • 제9권1호
    • /
    • pp.27-46
    • /
    • 2000
  •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Masan city after Koryo Dynasty, making a reconstructive map of Original Masan using the first registration maps made in 1912 and analyz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Original Masan area. The origin of Masan city went back to Koryo dynasty. Around 1040 Koryo government placed an official shipping facility in Masan to transport the taxed grain to the capital city. After that Masan became an important port covering the southern part of KyungSang-Do. And the urbanization of the Original Masan began to bud after a shipping facility was again established by the Chosun Dynasty in 1760 and strengthened in the 19th century after the social standing system was broken and many peasants moved to cities as daily workers. In 1899 Masan was forced to be opened to foreign powers and they placed an international settlement distanced from the area(Original Masan). After this many Japanese advanced to the international settlement and further to the area. The advancement of Japanese brought a critical change in the urban structure of the area. Land was owned by Japanese and many modern sysytems were introduced such as modern buildings, new roads, railroad and modern factories. According to the reconstructive map of the area, 80.5% of land lots are less than $200m^2$ showing the size of each land lot is comparatively small. And Japanese occupied 31.5% of the land in the area. Their land was located on the stratigic points near the port and the center of commerce. The ratio of the road area to the whole land was around 14%, not so low for urban areas in that time. The reconstructive map reveals the exact coastline of the year 1912 erased now due to filling the sea and extending the land, Present Masan city has been developed having the Original Masan as its nucleus. The area has been always the center of urban activities for Masan city. Making an exact reconstructive map for the area and analyz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area in 1912 is a very important work to understand Masan city who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