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scape Elements and Construction of Eupseong (county se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

  • Jeon, Jong-Han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Received : 2015.04.13
  • Accepted : 2015.05.06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Eupseong (county seat) represents the Korean historic city which had constructed intentionally by central government during Joseon Dynasty. There were variety of government or county offices which named as Gaeksa, Dongheon, Nea, Jilcheong, and so on. Also, there are houses of the people in many Eupseong but not all of them.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elements and its overall construction of Eups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riginal land registration map(1913). For this purpose, the author underlines to set-up target period for reconstruc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early 19th century in Joseon as completion period of Eupseong landscape, and then researches distribution of Eupseong and major elements of its landscape in national scale. Based on those results, the author tries to reconstruct location of major landscape elements and layout of Eupseong landscape in the early 19th century on the original land registration map in case of Taean Eupseong, Seosan Eupseong, and Haemi Eupseong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조선시대의 읍성 취락은 중앙 정부가 지방의 각 고을에 계획적으로 건설한 행정 타운으로서 우리나라의 전통 도시를 대변한다. 읍성에는 객사, 동헌과 내아, 질청을 비롯한 다양한 행정 및 통치 시설들이 들어서 있었고 일반 백성들의 민가가 들어서 있는 경우도 많았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주요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지적원도(1913)에 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적 재현을 위한 복원 대상 시기를 설정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조선 읍성 경관의 완성기를 19세기 전반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 전국의 읍성 분포 및 주요 읍성 경관 요소의 전국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이 작업을 토대로,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사례로 읍성 경관 완성기의 읍성 내 주요 경관 요소와 그들의 위치, 전체적 공간 구성을 1910년대의 지적원도 위에 나타내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