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ufacturing worker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7초

근로자의 건강영향인지와 사망만인율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해소계수 산정 - 제조업 현장근로자를 중심으로 - (Estimation of Job Stress Relieve Coefficient through Recognizing Health Effects of Workers and Death Rate per 10,000 workers - A manufacturing worker -)

  • 한만형;천영우;이익모;황용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81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kind of change in death rate when job stress is solved by calculating job stress relieve coefficient.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fourth working condition survey.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effects recognition and Death rate per 10,000 workers. After that the recognizing and non - recognizing groups were categorized by health effects recogni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nfirmed by cross tabulation analysis. Results: Regress analysis P-value is 0.011 and $R^2$ is 0.979. Death rate per 10,000 worker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on - health impact recognizing group. The relieve factors were (1) work culture(2.859) (2) physical environment(2.184), (3) improper reward (1,839), (4) relationship conflict(1.646), (5) job requirement(1.613), (6) job autonomy(1.354), (7) job instability(1.334), And (8) organizational system(1.201). The higher the relieve coefficient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n - health impact recognizing group when there is no job stress factor. Conclusions: When job stress is resolve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health impact recognition is reduced, which can lead to an increase in death rate. bu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Job stress can cause accidents by reducing the safety behavior of accidents. The job stress management plan should simultaneously consider reduc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health impact recognition.

소규모 사업장에서 내부 이해관계자들 간의 연계가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 사업주의 안전의지,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 근로자 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Linkage among Internal Stakeholders in Small Businesses on Industrial Accident: Focusing on the Safety Commiment of the Business Owner, Safety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and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 최진우;이익모;김홍관;김덕한;천영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56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impact of business Owner's safety commitment on industrial accidents and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management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and worker particip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067 manufacturing sites with 20 to 50 employees in the 10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SPSS waw use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 Hypothesis vertif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securing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ructural model using AMOS. The direct impact of three latent variables on industrial accidents was confirmed: the business owner's safety commitment, the management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and the worker participation. The employer's safety will and the management supervisor's safety leadership do not directly affect industial accidents, but it has been verified that worker participation has a diret impact on industrial accident reduction.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afety leadership and worker participation of the management. Supervior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by mediating with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management supervior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worker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n industrial accidents by dividing the stakeholders constituting the workplace into three classes: business owners, superviors, and workers, but the results suggest that employers and all workers inside the workplace may be organically linked to achieving the goal of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n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erplaces,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in their respective location by forming an organic community among internal stakeholders.

헤모글로빈 부가체를 이용한 염료제조 근로자의 노출평가 (Biological monitoring of dye manufacturing workers by hemoglobin adducts)

  • 장규엽;이경종;김치년;윤영식;노재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39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monoacetylbenzidine(MABZ) and benzidine(BZ) hemoglobin adducts among workers who worked at benzidine based dye manufacturing company, and exposed by benzidine and benzidine based dye. The hemoglobin adducts were compared with work environment assessment result for evaluating the usefulness of biological monitoring. The mean BZ hemoglobin adducts among the first synthesis worker's hemoglobin adducts were $40.69{\mu}gBZ/g$ Hb and those of dry and packing workers were $22.14{\mu}gBZ/g$ Hb. The mean of MABZ hemoglobin adducts among 1st synthesis workers were $255.84{\mu}gMABZ/g$ Hb, dispersion worker's hemoglobin adducts were $76.17{\mu}gMABZ/g$ Hb and synthesis worker's hemoglogin adducts were $28.66{\mu}gMABZ/g$ Hb. Work environment assessment results during past 3 years were $0.0065mg/m^3$ and $0.5659mg/m^3$ of benzidine based dye concentration in ambient air of drying and packing only. Dye producing process was categorized by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benzidine and benzidine based dye. BZ and MABZ hemoglobin adducts were $19.55{\mu}gBZ/g$ Hb, $119.80{\mu}gMABZ/g$ Hb among workers who exposed by benzidine dihydrochloride and $16.32{\mu}gBZ/g$ Hb, $316.56{\mu}gMABZ/g$ Hb among workers who exposed by benzidine based dye. BZ hemoglobin adducts were not detected among control group and MABZ hemoglobin adducts were $5.33{\mu}gMABZ/g$ Hb.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other exposed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nzidine dihydrochloride exposed process and benzidine based dye exposed group. BZ and MABZ hemoglobin adducts were $2.23{\mu}gBZ/g$ Hb, $76.17{\mu}gMABZ/g$ Hb and $3.46{\mu}gBZ/g$ Hb, $21.33{\mu}gMABZ/g$ Hb. So hemoglobin adducts of MABZ were 5 ~ 30 time higher than those of BZ(P<0.003). Above results indicate that work environment assessment didn't detected benzidine and benzidine based dye in ambient air but biological monitoring detected those of hemoglobin adducts. Two group's hemoglobin adducts exposed benzidine dihydrochloride and benzidine based dye were high level bu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ose were not detected in control group.

  • PDF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 연구 (A study of ubiquitous-RTLS system for worker safety)

  • 김영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1C호
    • /
    • pp.1-7
    • /
    • 2012
  • 산업현장에서는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정 과정에 자동화를 진행하고 있지만 전 공정에 자동화를 구축하기 어려운 반자동화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Ubiquitous-Wireless Sensor Network(이하 U-WSN) 기반 위치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측청하고, 3차원 삼각측량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계산 할 수 있지만 무선 신호는 철과 구조물이 많은 산업현장에서는 신호의 반사, 멀티패스 등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작업현장에 적합한 원형편파 패치 안테나를 적용한 Line Of Sight(이하 LOS)에서 안테나 방사 패턴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오차를 개선한다. 둘째, 3차원에서 위치를 계산 할 수 있는 3차원 위치계산 방법과 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한 위치 정확도를 개선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항만부두 크레인에 적용하여 정확성 및 실효성을 검증 하였고 본 시스템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행동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moking Behaviors among Small 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09-8515
    • /
    • 2015
  • 본 연구는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2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흡연율은 35.2%이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과 흡연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한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총점과 하위영역(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에서의 스트레스요인 점수가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현재 흡연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에서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스트레스군에서 흡연과의 관련성이 더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50인 이하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Occupational Stres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under 50 Members)

  • 김동현;조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05-413
    • /
    • 2012
  • 본 연구는 50인 이하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한 검진기관에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는 50인 이하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856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여러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 변수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특히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음주상태, 수면시간, 여가활동여부, 직종, 직급, 근무기간, 주당 근무시간, 외래 및 입원경험 여부,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 등이 지적되었으며,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 및 작업환경과 직무내용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신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16
  •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 이승호;정도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69-1076
    • /
    • 2012
  • 본 연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방안을 개선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5개의 제조업 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0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제조업 근로자의 76.6%가 교육장을 가지고 있었으나, 산업안전보건교육은 약 44.3%의 근로자가 현장사무실에서 교육을 받고 있었다. 교육 수단은 대부분 주입식 강의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은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에 대한 고려 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제조업의 근로자에게 실시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은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를 고려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제조업체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상사-부하 교환관계 및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Demand, Leader Member Exchange,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on Job Embeddedness of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이연향;이지현;전소연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2-18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job embeddedness of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61 worker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P city and Y city with the help of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dministered between June 10 and June 30,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OVA, a $Scheff{\acute{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embeddednes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jobs and types of employment, satisfaction with salary, stress level,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ole clarity of job demands (r=.45), leader member exchange (r=.48),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r=.27), and job embeddednes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embeddedness were found to be leader member exchange (${\beta}=.43$),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beta}=.22$), and job demand (${\beta}=.15$). These variables explained 35.0% of the total variance in job embeddedness.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job embeddedness of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increase job demand, leader member exchange,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IT융합기반의 연료필터 제조공정 자동화 (Automation of Fuel Filter Manufacturing Process Via IT Convergence)

  • 윤석창;한우현;윤달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4-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연료 필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IT기반의 갱추리 자동화 장치를 개발한다. 불량 제품의 분석, 수율 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자동화 장치와 연동된 IT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구축한다. 3개월간 시료 10,000개 생산시의 불량률 비교 측정한 결과 불량률이 0.65%에서 0.45%로 감소하였다. 또한 공구 모니터링을 통하여 공구 교환 시기의 알림과 로더의 정확한 소재의 수입으로 소재의 불량이 감소하였고, 소재 한 개에 대하여 수입에서 배출까지 공정 시간을 비교한 결과 94.7초에서 78.8초로 감소하여 생산성 증가하였다. 수작업으로 하던 소재의 수입/배출을 자동화로 구축하여 공정시간이 20.2% 감소한다. 또한 작업자 안전과 이송시간 감소는 생산성 향상과 직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