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ndibular set-back surger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하악전돌증에서 하악지 시상분할골절단 및 Screw고정후 골성회귀에 관한 연구 (SKELETAL RELAPSE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SCREW FIXATION)

  • 이창국;김명래;최장우;윤정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63-569
    • /
    • 1996
  • Skeletal and dental changes were examined in 38 patients of mandibular prognathism who been treated by a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SSRO) and internal fixation using titanium mini-screws.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over 8 months after the surgeries, and postoperative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compared at 2 months and at 8 months. Linear measurements of the "Pog-most posterior screws" and angular measurementsts of "SN-Pog'were compared to figure out the change of bony fragments. The significancy of data were tested by un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ixation screws were changed in cephalometric position as little as $0.32{\pm}2.51mm$ in SSRO and $0.15{\pm}1.00mm$ in SSRO & Le Fort I Osteotomy.(P<0.05) 2. Mandibular set-back over 5mm resulted in less stability of the fixation screws and higher relapse tendency. 3. The internal fixation using two screws along the inferior border and one on the superior ridge is considered to be very resistant to postoperative relapse of the repositioned bony segments.

  • PDF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측사위경두개방사선사진(Oblique Transcranial Radiograph)을 이용한 하악전돌증환자의 하악지 시상골절단술후 하악과두위치변화 분석 (OBLIQUE TRANSCRANIAL RADIOGRAPHIC ANALYSIS OF CHANGES IN CONDYLE POSITION FOLLOWING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SM)

  • 권대근;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32-45
    • /
    • 199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condyle position and the relationship of condyle position change and post surgical relapse following th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mandible setback in 25 patients by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used oblique transcranial and cephalometric radiographs taken before operation, immediate after operation, and at least 6 months post operatively. 1. In oblique transcranial view, posterior joint space was decreased immediate after operation and increased 6 months after operation. To compare the measurement before and 6 months after oper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over all joint spaces(P>0.05). 2. The joint spaces changed under the 0.2mm were 30%, 0.2mm to 1.0mm were 60.7%, above 1.0mm were 9.3%. This result reveals that condyle position was relatively reproduced to pre-operative state. 3. Statistically, the amount of mandible set back didn't influence the post operative relapse(P>0.05). 4. Statistically, the amount of mandible set back didn't influence the condylar displacement(P>0.05), and the amount of joint space change didn't influence the post operative relapse.(P>0.05) The changes in joint space is in the standard tracing error or within the adaptive capacity of the individual, it was too small to influence the stability of surgery.

  • PDF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의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계측을 중심으로)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LTERA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 박규태;이상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25-34
    • /
    • 1997
  • This study was made with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of 28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at were performed to setback surgery of mandible. The 28 patients were selected by four standards as follows. 1) Set-back amount of mandible is below 10 mm 2) No extrusion and intrusion of posterior tooth or alteration of interincisial angle at period of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3) Change of mesial segment location of mandible on lateral cephalometrics 4) No genioplasty And 28 patients were divided to three group(1,2,3 group) by degree of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to Burstone's horizontal plane.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hich of 1 group was smaller than $7^{\circ}$ and 2 group was between $7^{\circ}$ to $15^{\circ}$ and 3 group was larger than $15^{\cir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larger, the degree of mandibular prognathism was not severe. 2. On comparsion of preoperative and immediate postoperative cephalometric analysis, specific relationship of occlusal plane angle and set-back amount of mandible was not present. 3.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smaller, the alteration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increased tendency. As the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larger, the alteration of post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was decreased tendency. 4. The relapsed degree of B point distance to Vertical plane was not relationship to the degree of preoperative occlusal plane angle.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양악 수술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홍주;최홍란;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284-2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oft tissue changes using twent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ho treated with bimaxillary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dentofacial deformitie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impaction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1), the other was downward and advancement of maxilla with mandibular set-back (Group 2).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ne year cephalometric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s to UI, Li to LI, sPog to Pog were 1:0.60, 1:0.79, 1:0.47, 1:0.63 in group 1 respectively, and 1:0.59, 1:0.48, 1:0.83, 1:1.09 in group 2 respectively. Soft tissue changes were highly predictable at the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area. 2. The ratio of vertical changes of soft tissue to hard tissue at Nt to ANS, Li to LI were 1:0.72, 1:0.06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s to hard tissue movements at LI(h) was 1:-0.82 in group 1 and at UI(h), LI(h) were 1:0.48, 1:0.01 in group 2. These ratios of group 1 were greater than those of group 2. 4. The direction of horizontal change of Li was the same as that of hard tissue change.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Li to LI was 1:0.47 in group 1 and oth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changes of upper lip thickness and length were -1.6mm, -1.4mm in group 1, and -1mm, -2.7mm in group 2. 6. The ratios of thickness of upper lip to ANS, UI, LI were 1:-0.83, 1:-0.37, 1:0.11 in group 1. There was similar trend in group 2,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ction of changes in soft tissue of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were 79%, 47%, and 63% in group 1, and 48%, 83%, and 109% in group 2. There was a tendency to decrease in thickness and increase in length of the upper lip.

  • PDF

하악골 후퇴 수술 환자의 연조직 측모 예측의 정확성: Quick Ceph Image $Pro^{TM}$(ver 3.0)와 $V-Ceph^{TM}$(Ver 3.5)의 비교 (Accuracy of soft tissue Profile change prediction in mandibular set-back surgery patients: a comparison of Quick Ceph Image $Pro^{TM}$ (ver 3.0) and $V-Ceph^{TM}$(ver 3.5))

  • 김명균;최용성;정송우;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6-226
    • /
    • 2005
  • 본 연구는 Quick Ceph Image $Pro^{TM}$(ver 3.0)와 국내에서 개발되어 사용 중인 $V-Ceph^{TM}$(ver 3.5) 2 종의 비디오 이미지 예측 프로그램의 수술 후 연조직 측모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수술 전 교정 치료를 받고. 하악골 후퇴 수술(body osteotomy 또는 SSRO)을 시행한 남녀 환자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21.4\pm4$세이고, 수술 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은 수술 전 평균 21.1일에 수술 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은 수술 후 평균 335.7일에 촬영되었으며, 예측치와 실측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Quick Ceph과 V-Ceph 모두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에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오차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오차는 상순과 하순. 턱과 연관된 항목에서 크게 나타났다 (p<0.05). Quick Ceph은 A'. Ls, Li의 수평적 위치 및 각 부분에서의 연조직 두께(U1-Ls, L1-Li, Pog-Pog')의 수평거리 예측에서, V-Ceph은 하순의 수직적 위치 예측에서 오차가 컸다 (p<0.05) V-Ceph의 경우 하악골의 이동양이 증가할때 Sn의 수직적 위치, Ls의 수평적 위치 상순의 연조직 두께 (U1 -Ls)처럼 상순과 연관된 계측치에서 예측오차가 컸으며, Quick Ceph의 경우 하악골의 이동양이 증가할 때 하순의 수평위치 및 하순의 두께에서의 예측오차가 작았다 (P<0,05) 또한, 연조직의 두께에 따른 오차를 평가한 결과, Quick Ceph의 경우 상순과 하순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각각에 관련된 연조직 예측의 오차가 컸으며 (P<0.05). V-Ceph의 경우 하순과 턱의 연조직 두께가 두꺼울수록 턱의 연조직 예측의 오차가 크게 관찰되었다 (p<0.05). 그러나 본 연구에서의 모든 예측오차 값은 3mm 이내로 계측되었으며, 이러한 오차 범주는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생각된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양악 수술 환자의 술후 측모 예측을 위한 Video imaging (Power $Ceph^{\circledR}$ Ver 3.3)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profile change Prediction by video imaging (Power Ceph $^{\circledR}Ver$ 3.3) in Class III two jaw surgery patients)

  • 권미정;백형선;이원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301
    • /
    • 1999
  • 악교정 수술의 계획에 있어서 수술 후 경조직의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과 실제 측모 사진을 병합하여 수술 후 측모 변화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 여러 종류의 video imaging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 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임상적인 활용에 앞서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video imaging프로그램의 하나인 Power $Ceph^{\circledR}$ (Power Soft Co. Ver 3.3)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양악수술을 시행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30명(남 14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예측도와 실제 술후의 측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량 및 술식별로 분류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비교에서 24개의 계측항목 중 1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계측항목 중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대부분 상악에 관련된 연조직으로 하악에 관련된 연조직에 비해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상악 및 하악의 이동량에 따른 비교에서 이동량이 적은 군이 이동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4. 이부 성형술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Video imaging(Power $Ceph^{\circledR}$ Ver 3.3)프로그램에 의한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시 그 차이는 대부분 2mm 이내로써 임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 PDF

구순구개열 환자를 위한 상악 악교정 수술 (Le Fort I maxillary osteotomy for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신영민;권대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7호
    • /
    • pp.468-475
    • /
    • 2015
  • Cleft 상악수술은 근본적으로 재발 성향을 가지며 Lefort I 후에 대부분 횡적으로 완전하게 안정되어 있지않고 움직임이 존재하므로 악간 고정기간을 통상적인 수술에서보다도 좀 더 충분히 두는 것이 좋다. 수술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비대칭적인 piriform aperture 나 alar base를 correction하기 위하여 골이식이 고려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심스럽게 반흔조직을 절개해 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Cleft 환자의 경우 상순이 얇고 수술에 의한 전방이동효과가 적기때문에 상악 수술시 이를 적극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cleft 환자의 pterygomaxilla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가 일반인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숙지하여 상악 수술에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하악과두 위치변화 분석 (EVALUATION OF CONDYLAR POSITION USING COMPUTED TOMOGRAPH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최강영;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70-593
    • /
    • 1996
  • 본교실에서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0명(남자 9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와 술전, 술직후,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 및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재발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 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거리(MM')는 $84.45{\pm}4.01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1.89%5.1 $9^{\circ}$좌측 $11.65{\pm}2.09^{\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2mm, 내측점은 7m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3{\pm}3.96mm$ 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8.12{\pm}3.43^{\circ}$ 좌측 $78.09{\pm}6.12^{\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 2. 술전후 과두위치 변화(T2C-T1C)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관찰에 따른 회귀성향(TLC-T2C)에서는 LMD, LLD(p<0.05), RLD, RMD(p<0.01), mm'(P<0.001)는 모두 감소하였다. 3. 측면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술직후와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T3-T2)에서 하악의 초기재발은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으며(p>0.05) 하악전치의 경우만 평균 0.33mm 전방이동하였다(p<0.05). NN'L1, NN'Pog, NN'Gn, NN'Me, over-jet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NN'Ll 1.2%, NN'B 5.0%, NN'Pog 2.0%, NN'Gn 9.1%, NN'Me 10.3%의 총재발량을 보였다. 4. 하악골의 술전, 술후 변화량(T2-T1)이 총재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하악골 변화량(T2-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과 총재발량(TL-T2),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와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그리고 술전 하악골 외형(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에 대하여 단순 및 복잡회귀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총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재발(NN'Ll, NN'8, NN'Pog, NN'Gn, NN'Me)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좌측과두에서는 NN'Ll, NN'Me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7,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술전 하악골외형(T1)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좌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수직고경이 크며, 전돌된 양상으로 나타났다(p<0.05) . 8. 술전 하악골 외형(T1)이 총 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NN'L1, NN'B, NN'Gn, NN'Me, over-jet 둥의 계측점에서 하악골이 전돌된 양상을 보일수록 NN'B에서의 총재발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 수평피개량(over-jet)이 클수록 NN'B, NN'Pog, NN'Gn, NN'Me에서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과두보존술을 이용하여 과두를 안정화시키고 난후 악골 형태를 재구성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생기는 하악과두 이동은 미미하여 술후 재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 PDF

전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양측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후 안정성에 관한 임상적 분석 (CLINCAL ANALYSIS OF SKELETAL STABILITY AFTER BSSRO FOR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ANTERIR OPEN BITE)

  • 김현수;권대근;이상한;김진수;강동화;장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52-16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atients visited oral maxillo-facial surgery, KNUH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skeletal and dento-alveolar stability after surgical-orthodontic correction treated b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open bite versus non-open bit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40 patient,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a mean age 22.3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open bite and non-open bit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cephalometric records of 40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open bite: n = 18, non-open bite: n = 22) were examined at different time point, i.e. before surgery(T1), immediately after surgery(T2), one year after surgery(T3).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as performed in 40 patients. Rigid internal fixation was standard method used in all patient. Through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ephalometric records, we were able to achieve following results of post-surgical stability and relapse. 1.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of pre-operative stage(p>0.05). 2. Mean vertical relap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open bite were $0.02{\pm}1.43mm$ at B point and $0.42{\pm}1.56mm$ at Pogonion poi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non-open bite, $0.12{\pm}1.55mm$ at B point and $0.08{\pm}1.57mm$ at Pogonion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vertical relapse(p>0.05). 3. Mean horizontal relap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open bite were $1.22{\pm}2.21mm$ at B point and $0.74{\pm}2.25mm$ at Pogonion poi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non-open bite, $0.92{\pm}1.81mm$ at B point and $0.83{\pm}2.11mm$ at Pogonion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horizontal relapse(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open bite and non-open bit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in post-surgical mandibular stability(p>0.05). and we believe this is due to minimized mandibular condylar positional change using mandibular condylar positioning system and also rigid fixation using miniplate 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pse tendency observed at chin points,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mandibular relapse w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of mandibular set-back(p=0.05, r>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