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arin orang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지베렐린 엽면살포가 '궁천조생' 감귤의 착화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GA3 on the Flower Bud Formation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e (C. unshiu Marc. cv. Miyagawa))

  • 강석범;문영일;한승갑;김용호;채치원;최영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3-347
    • /
    • 2013
  • BACKGROUND: Control of alternate bearing satsuma mandarin in Jeju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optimum price of fruit and get the sustainable income of farmers. Unlike orange, Satsuma mandarin is well known to sensitive on alternate bearing.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know the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GA_3$ on the flowering and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C. unshiu Marc. cv. Miyagawa). METHODS AND RESULTS: To experiment, the treatments consist of control, different concentration of $GA_3$ (25, 50 and 100 mg/L),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and mixture of various concentration of $GA_3$ (25 and 50 mg/L)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which it was applied on 15 year-old Miyagawa satsuma mandarin at December 29, 2011. Foliar application of $GA_3$ in winter reduced the flowering of satsuma mandarin. Flower-leaf ratio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100 mg/L $GA_3$, while no differences observed in low concentration of $GA_3$ (25 and 50 mg/L).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0.19 in application of $GA_3$ 25 and 50 mg/L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mixture. Number of leaves per fru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foliar application of $GA_3$ also it reduced the fruits remarkably. Soluble solid contents and Hunter's a of peel color ratio showed no difference among $GA_3$ single treatments, but it was reduced in $GA_3$ 25 and 50 mg/L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mixtures significantly. From the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higher $GA_3$ concentra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flowers on the alternate bearing of satsuma mandarin. However, it was found that lower concentration of $GA_3$ with machine oil emulsion mixture 100 times can reduce flowering. CONCLUSION(S): The foliar application of $GA_3$ (100 mg/L) can alleviate alternate beraring. Also, mixture of lower concentration of $GA_3$ with machine oil emulsion 100 times can retard flowering more significantly while it needs further confirmation.

과실류에 잔류하는 Ethylenethiourea 분석 (Determination of Ethylenethiourea in Fruits)

  • 김은희;장미라;김진아;김태랑;육동현;황인숙;김정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7-281
    • /
    • 2011
  • 본 연구는 과실류에 잔류하는 ETU 분석을 위해 LC/APCI-MS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한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였다. 시료 중 존재하는 ETU 성분 추출로 사용된 용매는 $CH_2Cl_2$이며, 시료 전처리 시 cys-HCl 0.4 g, $Na_2CO_34g$을 사용할 때 최적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분석 시 $C_{18}$ column으로 분리되어 나온 ETU의 머무름 시간대에서 어떠한 간섭현상도 보이지 않았으며 232 nm에서 최고의 흡수파장을 보였다. 귤 시료에 ETU를 첨가한 결과값의 직선성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2$=1). 정밀성과 정확성은 0.05-1.0 mg/kg에서 RSD$\leq$10%이며, 회수율은 평균 80%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배, 포도, 바나나의 회수율도 마찬가지로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방법으로 시중에 유통중인 과실류를 구입하여 모니터링을 한 결과 ETU는 오렌지 과피에서 4건이 검출되었고 최고 잔류치는 $73.6{\mu}g/kg$ 이었다. 귤 과피는 3건 검출 되었고 최고 잔류치는 $29.8{\mu}g/kg$이었다. 본 연구의 과실류에 잔류하는 ETU 분석법은 시료 전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처리 단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오염도를 줄였다. 기존에 발표된 논문에 비해 전처리 시간은 약 20분 정도 소요되며, 분석 시 재현성, 정밀성 등을 고려할 때 과실류에 존재하는 ETU 분석법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산(濟州道産) 감귤발효주(柑橘醱酵酒)의 양조특성(釀造特性) (Citrus Wine-making from Mandarin Orange Produced in Cheju Island)

  • 고정삼;고남권;강순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416-423
    • /
    • 1989
  • 제주도산 온주밀감을 이용한 투명하고 방향성이 있는 과실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료의 화학분석과 처리방법, 우수균주의 선발, 발효중의 당의 변화, 발효주의 성분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원료 감귤의 껍질 부분은 25.6%였으며, 100 메쉬를 통과한 압착쥬스의 비율은 55.9%였다. 쥬스 중에는 총당 함량은 8.85%, 총산 함량은 1.43%, 휘발산 함량이 0.065%였다. 발효력시험, 과실주의 화학분석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4274를 우수균주로 선정하였으며, 압착쥬스에 가당하여 $24^{\circ}\;Brix$로 조절한 다음 $20^{\circ}C$에서 발효를 시켰다. 일주일간의 주발효기간이 경과한 후 부유물이 서서히 침전하기 시작하였으며, 한달 후 투명한 과실주가 얻어졌다. 발효전에 효소를 처리한 경우는 발효액이 매우 투명하였고, 부유물의 침전이 빨리 일어나 과실주의 수율이 향상되었다. 발효주의 화학분석 결과 총가용성 고형물량은 $8^{\circ}\;Brix$였으며, 주정농도는 $13.3{\sim}14.4%$였고, 총산함량은 $0.78{\sim}1.11%$, 엑스분은 $2.25{\sim}3.29%$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 향기 및 맛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우리나라 여대생의 식이와 혈청이 ascorbic acid 수준의 상관관계 평가 - 섭취량 계산방법에 따른 비교 연구 -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ascorbic acid in diet and serum)

  • 계승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1-18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ascorbic acid in 96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Dietary intake level was estimated with three day diet records. Serum ascorbic acid were analyzed with fasting blood. Nutrient intakes was calculated using three different food composition databases ; analysis data of cooked food items ; analysis data of raw foods ; published food composition table. Ascorbic acid intake levels calculated with different food composition databases differed by 15% Using analysis data of cooked foods resulted in the lowest intake level 49.26 mg per day. Main sources of ascorbic acid investigated were Cheju mandarin orange juice and hard persimmon orange juice and Kimchi. Mean value of serum ascorbic acid level was 1.04 mg/dl and 4.2% of subjects were in marginal risk or deficient range. It was found to significantly correlate asscorbic acid intake with serum ascorbic acid conten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results calculated using analyzed data was higher than that using published data. Serum levels and mean daily intake levels of ascorbic acid in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ascorbic acid content of cooked foods should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Tables in Korea.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 lower risk of ascorbic acid deficiency.

  • PDF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ts Mechanisms of Hesperidin in an Asthmatic Mouse Model Induced by Ovalbumin

  • Chang, Jeong-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3-90
    • /
    • 2010
  • Hesperidin, a member of the flavanone group of flavonoids, can be isolated in large amounts from the rinds of some citrus species [e.g., Citrus aurantium L. (bitter orange), Citrus sinensis L. (sweet orange) and Citrus unshiu Marcov. (satsuma mandarin)],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rcinogenic, antihypotensiv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Despite the efficacy of these polyphenolic compounds as immune modulators, the effects of the flavonoids are poorly understood about allergic eff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hesperidin could influence on Th1 and Th2 balance. Allergic reactions includ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osinophils 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an increase i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to the lung tissue around blood vessels and airways, airway luminal narrowing, the development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The administration of hesperidin before the last airway OVA challenge resulted in a significant inhibition of all asthmatic reactions. Accordingly, this study may provide evidence that hesperidi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amelioration of the pathogenetic process of asthma in mice.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immunopharmacological role of hesperidin in terms of its effects in a murine model of asthma, and also broaden current perspective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immunopharmacological functions of hesperidin.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Satsuma mandarin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 구경형;이경아;최정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1-250
    • /
    • 2015
  • 본 연구는 온주 감귤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제주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 방법별 품질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제주산 온주 감귤의 훈련된 패널요원에 의해 묘사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외관 특성(광택 강도, 색 강도, 껍질 두께, 손상 정도, 껍질의 조직감), 3종의 냄새(신내, 단내, 신선한 냄새), 6종의 맛(신맛, 단맛, 쓴맛, 신선한 맛, 싱거운 맛, 이미), 4종의 텍스쳐(경도, 알갱이의 경도, 다즙성, 펄프감) 및 3종의 후미(신맛, 단맛, 쓴맛)가 선발되었다. 유기농 하우스재배 및 무농약 노지 재배 감귤과 관행재배 감귤의 품질 특성 중 고형분 함량의 경우 유기농 하우스 감귤의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고, 큰 감귤이 작은 감귤보다 고형분 함량이 적었다. 유기농 하우스 재배 귤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pH와 약간 높은 산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감귤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 분석결과 감귤 껍질와 과육을 씹은 후 남는 펄프 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형분 함량은 당산비, 감귤 과피의 색 강도, 단맛, 신선한 감귤맛, 과육 알갱이의 강도, 단 후미와 1% 유의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쓴맛, 싱거운 맛, 이미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48.39%와 26.77%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75.16%였다. 주성분 F1은 가용성 고형분함량, 당산비, 과피의 광택 강도, 색 강도, 신향, 단향, 단맛, 쓴맛, 신선한 감귤맛, 싱거운 맛, 이미, 과육 알갱이의 강도, 후미의 단맛과 쓴맛이었고, F2는 감귤의 크기, pH, 산도, 과피의 손상도, 과피의 조직감, 신맛, 과육의 강도, 과육을 씹었을 때 남는 펄프 함량, 후미의 신맛이었다. 또 주성분 F3는 과피의 두께와 다즙성이었다. 즉 동일 지역의 동일 품종으로 재배된 유기농 하우스 재배 감귤과 관행 재배 시료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미숙 온주밀감을 이용한 통 밀감 분말과 착즙액의 성분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jor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hole Fruit Powder and Juice Prepared from Premature Mandarin Orange)

  • 강영주;양민호;고원준;박승림;이봉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3-788
    • /
    • 2005
  • 매년 제주지역에서 적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숙과 5-10만톤을 자원화하기 위하여 8, 9, 10월에 수집된 미숙감귤을 마쇄한 후 전자파 가열건조한 통 밀감 분말과 착즙 액에 대하여 적과 시기별 일반성분, 식이섬유, 유리 당, 유기산, flavonoid 분석을 하였다. 숙도가 높을수록 미숙감귤분말의 지방, 회분, 단백질, 총산은 감소하였으나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식이섬유는 총 식이섬유(TDF)가 8월 53.1%, 9월 49.7%, 10월 39.9%로 함량이 높으며, 중성 식이섬유(NDF), 산성 식이섬유(ADF)의 경우도 숙도가 낮을수록 함량이 높았고 착즙 액은 모두 1% 이내로 적었으며 시기별 차이도 뚜렷치 않았다. Flavonoid는 미숙감귤분말의 narirutin과 hesperidin이 각각 8월 1317.8mg% 및 6129.5mg%에서 10월 881.0mg% 및 44221.2mg%로 감소하였으며 neohesperidi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당은 숙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높아·졌으며 8월의 경우 glucose>fructose>sucrose순이었으나, 10월로 갈수록 sucrose>fructose>glucose순으로 변하였다. 유기산은 미숙감귤분말의 경우 citric acid가 8월 27.86%에서 10월 11.41%로 낮아졌고 ascorbic acid는 0.081%에서 0.12%로 미량이지만 과실이 익어갈수록 높아졌으며 착즙액도 길은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과 전자공여작용은 미숙감귤분말과 착즙 액이 각각 8월 21.7mg%과 78.2mg% 및 44.2% 및 61.6%로 숙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8월 미숙감귤분말 추출액과 미숙감귤 착즙 액의 각각 아질산염소거작용은 8월 미숙감귤분말의 경우 pH 1.2에서 57.2%의 비교적 높은 소거 능을 보였다. 따라서 미숙 통밀감 분말은 식이섬유 및 flavonoid 소재원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납의 In Vitro 흡수에 미치는 식이 섬유의 억제효과 (A Suppressive Effect of Dietary Fiber on in Vitro Absorption of Lead)

  • 이서래;이경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3-67
    • /
    • 1989
  • 식이섬유가 중금속인 납의 흡수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법으로 흡수실험을 실시하였다. 식이섬유중 cellulose는 억제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었고 guar gum과 carboxymethyl cellulose는 약간 나타났으며 citrus pectin과 sodium alginate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섬유질 식품중 쌀겨, 밀기울, 배추, 무우, 미역은 납의 흡수억제 효과가 컸으며, 귤, 사과, 김은 효과가 다소 적었다.

  • PDF

SSR Marker를 이용한 감귤속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한 DNA Profile Data Base 구축 (A Database of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Based DNA Profiles of Citrus and Related Cultivars and Germplasm)

  • 홍지화;채치원;최근진;권용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42-153
    • /
    • 2016
  • 국내외에서 재배되고 있는 감귤속 식물 108 품종 및 유전자원과 SSR 마커를 활용하여 유전적 유사도 분석을 통한 품종식별력 검정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귤 8품종을 203개의 SSR 마커로 검정하여 반복 재현성이 높은 뿐만 아니라 다형성 정도가 높은 18개를 선정하였다. 이들 마커와 국내외에서 재배되고 있는 감귤 108품종을 검정하였을 때 마커당 평균 대립유전자수는 9.28개로 나타났고, 5-14개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PIC 값은 분자표지에 따라 0.417-0.791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606으로 나타났다. 감귤류 108품종에 대하여 계통도를 작성하였을 때 감귤류 식물의 분류학적 특성 및 품종 육성의 계보도에 따라 13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졌다. 감귤류 식물 품종중 오렌지나 온주 밀감의 경우 대부분의 품종이 SSR 마커의 유전자형에 의해 구분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귤속 식물의 품종별 SSR DNA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감귤속 식물의 유전자원 특성평가와 육종가의 지식재산권 보호의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식초양조(食醋釀造)에 있어 밀감과피즙(果皮汁)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Orange Peel in the Spirit Vinegar Brewing)

  • 김용호;박윤중;손천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08-116
    • /
    • 1981
  • 밀감과피(果皮)를 이용(利用)한 주정초(酒精醋)를 생산(生産)하는데에 필요(必要)한 기초질료(基礎質料)를 얻기위(爲)하여 실험(實驗)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수율(果皮收率)은 29.0%였다. 2. 초산(醋酸)발효 배지중(培地中)의 밀감과피즙(果皮汁) 함유량(含有量)은 25%내외(內外)가 적당(適當)하였다. 3. 배지중(培地中)의 밀감 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가 70% 이상인 경우에는 초산(醋酸)발효가 저해되었으며 밀감과 피즙 농도가 90%인 경우에는 밀감 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 25%에 비(比)하여 초산생성(醋酸生成)의 최고산도가 약(約) 1% 저하되었다. 4. 초산(醋酸)발효 배지중(培地中)의 밀감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를 25%로 하여 통기(通氣) 발효를 할 경우 평균(平均) 산생성속도(酸生成速度)는 0.062g/100ml.hr. 대수기의 산생성속도(酸生成速度)는 0.15g/100ml.hr., 이론치에 대한 실제치의 산화수율(酸化收率)은 91.4%였다. 5. 초산(醋酸) 발효액에서 oxalate, malate 등(等)이 검출 되었다. 6. 밀감 과피즙(果皮汁) 함량 25% 배지(培地)를 사용(使用)할 경우 생성(生成)된 식초(食醋)의 품질(品質)은 상당히 양호(良好)하였다.

  • PDF